• 제목/요약/키워드: pusan clay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5초

유기화제로 3-aminopropyltriethoxysilane 을 이용하여 라텍스법으로 제조된 SBR/organoclay 컴파운드의 혼련 온도에 따른 팽윤도 및 기계적 물성 (Swelling Ratio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BR/organoclay Nanocomposites according to the Mixing Temperature; using 3-Aminopropyltriethoxysilane as a Modifier and the Latex Method for Manufacturing)

  • 김욱수;박득주;강윤희;하기룡;김원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5권2호
    • /
    • pp.112-12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filler-rubber interaction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lay의 유기화제로 3-aminopropyltriethoxysilane(APTES)을 사용하여 styrene butadiene rubber(SBR)/organoclay nanocomposite를 라텍스법으로 제조하였다. 컴파운딩시 혼련 온도에 따라 bis(triethoxysilylpropyl)tetrasulfide(TESPT)를 첨가하여 APTES에 의해 생성된 hydroxyl group과 TESPT의 ethoxy group 사이에 실란화 반응 정도에 따른 filler-rubber interaction 향상 정도를 연구하기 위하여 X-선 회절법을 이용한 silicates의 층간구조분석, 모폴로지(morphology), 적외선분광법, 팽윤도 및 기계적물성을 평가하였다. XRD분석과 TEM이미지로 관찰한 결과 silicates 층간에 APTES가 삽입된 구조를 형성하였고 고무기질 내에 organoclay의 분산이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외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APTES-MMT를 분석한 결과 APTES에 의해 silicates 표면에 다량의 hydroxyl 그룹이 형성되어 TESPT의 ethoxy group과 실란화 반응이 가능하였다. SBR/APTES-MMT 컴파운드에 TESPT를 첨가시 SBR/APTESMMT 컴파운드보다 300% 모듈러스가 약 1.3 배 정도 증가하였다. 이는 APTES의 hydroxyl group과 TESPT의 ethoxy group 사이에 실란화 반응이 이루어져 filler-rubber interaction이 향상된 결과였으며, 컴파운딩시 혼련온도 증가에 따른 모듈러스 향상 효과는 미미하였다. 결과적으로 SBR/APTES-MMT 컴파운드의 경우 고무 기질 내에 silicates의 분산 정도와 가교도 증가에 따라 모듈러스가 증가하였으며, SBR/APTES-MMT 컴파운드에 TESPT를 첨가시 filler-rubber interaction이 향상되어 모듈러스가 더욱 증가하였다.

해조류(海藻類)의 가공(加工) 및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1. 미역분말쥬스제조(製造)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weeds 1. Preparation of Powdere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Mixtures for Juice Type Beverage)

  • 이응호;차용준;김정균;권칠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2-386
    • /
    • 1983
  • 영양적(營養的) 또는 약리적(藥理的)으로 우수(優秀)한 미역의 효율적인 이용방안(利用方案)의 하나로서 미역분말쥬우스를 가공(加工)하여 화학적조성(化學的組成) 및 색소안정성(色素安定性)에 관해 실험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방법(加工方法)은 생미역을 물로 씻어 이물질(異物質) 및 토사(土砂)를 제거하고 난 후 3%식염 및 1%탄산마그네슘 혼합용액(원료(原料)의 10배량)에서 $85^{\circ}C$, 20초간 데친 다음 물기를 빼고 열풍건조기(熱風乾燥機)($50{\sim}53^{\circ}C$, 풍속 3m/sec, 습도 21.4%)에서 3시간동안 건조(乾燥)시켰다. 그리고 난 후 200mesh까지 분쇄(粉碎)하여 중량비(重量比)로서 분말미역 0.8%, 식염 9.75%, 설탕 1.25%, 아스코르브산 0.2% 그리고 미싯가루 0.25% 첨가하여 미역분말제품으로 하였다. 2. 가공중 제품의 화학적(化學的) 성분변화(成分變化)는 아미노질소가 증가하였고, 회분함량(灰分含量)은 19%, 알긴산은 5.5%정도 감소한 것 이외에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고, 생미역에 대한 제품의 색소잔존율(色素殘存率)은 chlorophyll은 91.6%, total carotenoid는 89.5%로서 상당히 양호(良好)하였다. 3. 관능검사결과(官能檢査結果) 색깔, 냄새, 맛 및 분산성(分散性)은 양호(良好)하였으며, 특히 미싯가루 첨가에 의한 미역의 강한 이취(異臭)를 차폐(遮蔽)시킬 수 있었다.

  • PDF

쇄석 띠기초와의 거리에 따른 주변지반의 가속도 변화 (Acceleration Variation of Surrounding Ground according to distance from Strip-Type Crushed Stone Foundation)

  • 손수원;손태익;김수봉;김진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17-223
    • /
    • 2019
  • 국내외에서 점토층이나 준설토 등이 있는 연약지반을 개량하고, 그 지반위에 구조물을 건설하는 수요는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개발과 더불어 태풍, 산사태, 지진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빈도와 규모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지반개량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쇄석을 띠기초 형식으로 설치하였을 때의 주변지반의 가속도 변화를 1-G 진동대 실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점토를 이용하여 지반을 조성하고 기초는 쇄석을 띠형식으로 설치하였다. 주기가 다른 입력지진파에 대해 응답가속도와 응답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쇄석 띠기초와의 인접거리에 따른 가속도 변화를 분석하여 지진시 쇄석 띠기초가 주변지반의 가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Hachinohe 지진파 결과에서는 쇄석띠기초와의 거리에 비해 가속도가 큰 감소는 없지만, 두가지 지진파에 대한 최대응답가속도가 쇄석띠기초와의 거리에 반비례하였다. 응답스펙트럼 분석결과, 장주기와 단주기 입력파에서의 감쇠되는 주기가 달랐으며, 이와 같은 응답스펙트럼 변화가 가속도의 최대가속도값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Hachinohe 지진파에서는 쇄석띠기초와 멀어질수록 0.08~0.5초 사이의 주기에서 감쇠가 컸으며, Northridge 입력파에서는 쇄석띠기초와 멀어질수록 0.2초 이내의 주기에서 감쇠가 컸다.

대심도 연약지반의 현장계측을 이용한 장기침하거동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ng-term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Thick Clay Deposits Using Field Monitoring)

  • 권현욱;임종철;장지건;강상균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1-28
    • /
    • 2018
  • 대심도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상부에 개설되는 도로 등 각종 시설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용개시 후 잔류 침하량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설계관리기준의 설정과 예측 값 산정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난 수십 년 동안 낙동강 하구 일원 등 대심도 연약지반상의 지반개량을 통해 조성된 부지에서는 설계단계에서 예측한 잔류 침하량을 크게 상회하는 침하가 발생하여 많은 시설물의 파손과 아울러 사회적인 논란을 야기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용하중 개시 이후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잔류 침하에 대한 기초적이며 실무적인 연구를 위해, 대심도 연약지반개량을 통해 조성된 부지에서 약 10년에 걸쳐 측정한 침하계측결과를 이용하여 장기 침하거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계측된 잔류침하량은 점성토층의 두께의 차이로 지점별로 차이가 있으나 침하양상은 모든 계측결과가 유사하였으며, 쌍곡선 함수식을 이용한 장래 잔류침하 예측결과와는 매우 좋은 일치를 보였다. 또한, 하부 미개량층에서 발생한 침하량이 전체침하량의 대부분(62-76%)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개량층을 대상으로 허용침하량을 규정하고 있는 국내의 현실에 좀 더 신중한 고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요 하구역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유기탄소 함량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rain Size and Organic Carbon Content of Surface Sediments in the Major Estuarine Areas of Korea)

  • 김부근;양주연;최혁;박광규;신경훈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8권4호
    • /
    • pp.158-177
    • /
    • 2023
  • 하구역은 강과 하천을 통해 육상과 해양을 연결하는 전이수역으로 해양으로 공급되는 많은 물질들은 연안환경의 일차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이러한 연안생태계는 생물량에 의해 제거되는 탄소인 블루카본의 탄소 저장소로서 기후변화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서-남해 하구역(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과 동해 용승해역에서 지난 6년간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와 유기탄소 함량의 변화와 두 인자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2015-2020년) 동안 서-남해 하구역과 동해 용승해역 표층퇴적물의 평균입도와 유기탄소 함량은 계절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각 해역의 다양한 해양환경 및 수리역학적 조건에 의해 두 인자들이 조절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된 모든 시료채취의 동시성이 없는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연구지역에서 분석된 모든 퇴적물 평균입도들의 평균값과 유기탄소 함량의 평균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각 하구역과 동해 용승해역을 구분한다. 동일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각 하구역에서는 아마도 같은 과정에 의한 퇴적물 점토입자의 퇴적이 유기탄소 축적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동해 용승해역은 하구역과 다르게 추가적인 유기탄소 축적의 요인이 나타난다. 국내 주요 하구역들이 연안환경에서 중요한 탄소저장소로서 평가되기 위해서는 탄소 저장량 계산을 위한 추가적인 자료(퇴적률, 전밀도 등)가 요구된다.

환경영향평가에서 부유사 농도 추정 방법 제안 (Proposal for Estimation Method of the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in EIA)

  • 추태호;김영환;박봉수;권재욱;조현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0-36
    • /
    • 2017
  • 평상시 및 홍수시 하천에 유출되는 토사로 인한 SS(Suspended Solid)농도는 실측을 원칙으로 하여야 하나, 환경영향평가, 하천기본계획 등에서와 같이 각종 개발사업에 따른 SS농도의 변화를 제시하기 위해서는 실측이 아닌 추정이 필요하지만 추정 방법이 규정된 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RUSLE법에 의한 토사유출량과 특정 빈도 홍수량 산정결과를 이용하여 하천내의 SS농도를 추정하는 수문학적 방법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SS는 실트 점토질 토사 및 콜로이드 입자 등이 해당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토사유출량 중에서 일반적으로 부유토사에 해당하지 않는 모래를 제외하고, 실트 또는 점토질의 토사에 한해 부유사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농도 추정을 위한 유량은 평상시 유량은 1~2년, 홍수시 유량은 30~100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한편, 확률강우량 분석 소프트웨어는 Fard2006을 사용하였는 바, 2년빈도 미만에 대해서는 강우데이터와 Gumbel분포형 빈도계수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에 의해 실트 및 점토의 토사유출량과 홍수량에 의한 유출용적을 이용하여 SS농도를 추정한 결과, 개발전 자연상태 및 개발중 나대지 상태에서의 SS농도는 유의한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유로경사에 따라 토사유출량의 차이가 큰 점에 착안하여 SS농도를 유로경사로 나눈 값은 지형인자가 다르더라도 비교적 일정한 범위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보다 많은 유역에 대하여 연구가 진행된다면 SS농도 추정방법에 대한 지침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하구 점성토 지층의 층서와 퇴적환경 (Depositional Environments and Sequence Stratigraphy of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 김성욱;이승원;이정완;조기영;김윤태;김진섭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82-887
    • /
    • 2006
  • Sedimentological, geochemical, geophysical and micropaleontological analyses of 10 borehole cores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sequence stratigraphy of late Quaternary sedimentation in the estuary of the Nakdong River. Holocene Formation in study area is classified into five sedimentary units. Early Holocene freshwater lower pebbly sandy deposit(Unit I), lower muddy deposit(Unit II), middle thin sandy deposit(Unit III), upper muddy deposit(Unit VI), and upper sandy deposit(Unit V), in ascending order contolled by global sea-level change since interglacial period(about 15,000 yrs B.P.). Unit I deposited in erosional environments before marine trangression. Unit II and Unit VI composed of clay were deposited in cold and worm currents for marine trangression., respectively.

  • PDF

전남 고흥군 우각산 일대의 습윤지수와 암석의 풍화정도와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Wetness Index and Weathering degree of Rocks in Woogak Mounyain, Koheung-gun, Jeonnam-do)

  • 김성욱;김국락;한지영;윤원섭;김춘식;김인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82-889
    • /
    • 2004
  • Wetness index obtained from topography data of Woogak Mountain was compared with chemical alteration index(CAI), clay minerall contents of rock, and magnetic susceptibility changes of outcrops, and they show a close interrelationship. It is shown that the wetness index can be used as a quantitative indicator of the weathering degree of rocks. Moreover, wetness index simulate quantitatively the hydrologic condition of the local area.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wetness index can be used as the data that calculate the weathering speed of rock and weathering grade in the study of weathering sensitivity of rock.

  • PDF

녹산국가공단 조성지 일대의 토목 지질 (Geology of Nogsan National Industrial Engineering Estate)

  • 안명석;김종대
    • 화약ㆍ발파
    • /
    • 제18권3호
    • /
    • pp.99-106
    • /
    • 2000
  • The geology of Nogsan industrial estate area, Pusan, Korea consists mainly of andesitic rocks, rhyolitic rocks and hornblende granite. They are then intruded by basic and acidic dikes. All of the igneous activities in this area are in Cretaceous time, that is the lower part of Silla group in Gyoungsang basin. Andesitic volcanic rocks are distributed in two separate basines: Saengok basin and Doodong basin. Although both basines contain andesite and andesitic breccia(Kab), younger andesitic activity was more active to the western Doodong basin giving very little influence on the eastern Saengok basin. Sediments in the area are quarternaly alluvium and colluvium. Alluvium is very thick and consists mainly of silt and clay deposited as delta deposits at the mouth of Nakdong river. Colluvium in the area is short distributary channel deposits. The area is largely filled with socks and sediments to build industrial estates especially on the delta deposits at Shinhodong area and on the shoreline mud bed between Yongwondong and Shinhodong. A careful investigation to avoid the possibility of a large scale mud flow is suggested because it could be trigered by many reason such as an earthquake or a flood on the land where a heavily loaded salt-water may soaked into the muddy bed lying on the granitic basement gently dipping toward the ocean. Althouth the area is in the Yangsan fault zone no ground evidence of fault can be seen despite the RESTEC sattlite image gives excelent traces of linearments in the area.

  • PDF

다공성 세라믹의 발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loating of Porous Ceramic)

  • 김귀식;김현관;정지현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8-113
    • /
    • 2013
  • In this study, lightweight aggregate was made from basalt stone powder sludge. Clay and glass powder were respectively added from 0 to 20 wt% and from 0 to 100 wt%. The glass powder helped to form glassy phase which trapped generating gas in the materials. $CaCO_3$ helping bloating process was added from 0 to 10 wt%. It was possible to produce lightweight aggregate at range from $1150^{\circ}C$ to $1200^{\circ}C$. The specimen was heated in furnace at 1100, 1150 and $1200^{\circ}C$ for 15 min, respectively, to sinter aggregates. Chemical composition of materials were determined, an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cluding specific gravity, water absorption. Lightweight aggregate which was heated at $1200^{\circ}C$ had specific gravity of $0.53g/cm^3$, water absorption of 3.08%, and this value satisfied KS L 8551 stand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