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web service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8초

공공기관 업무관리시스템 성과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e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A Model to Measure the Success of a Web-based Information System at a Government Agency - the Chungwadae Case)

  • 배이철;홍일유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8권1호
    • /
    • pp.97-115
    • /
    • 2008
  • Introduction The e-government is concerned with using Internet and Web technologies to exchange information and services with citizens, businesses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and it centers on three functions, namely informational, interactive, and transactional [UN, 2001]. Many developed countries like the U.S.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e-government projects, since they enable both more effective public services for citizens and more efficient internal operations. Korea is among these leading countries that are planning to leverage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provide for integration of work processes and information as well as convenient access to information and services. For this reason, evaluating e-government projects is becoming a crucial issue for both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However, most research to date has primarily focused on a model of success of an e-government system designed for citizens, overlooking internal systems specifically created for employees working in a public organization.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pose a model to measure the success of a Web-based information system designed for use by internal users at Chungwadae, the executive branch of Korea's central government. The paper is also aimed at applying the model to the assessment of the present system being used at Chungwadae in comparison with the preceding system. Evaluating an e-Government System The most widely cited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oday is that of DeLone and McLean[1992, 2003, 2004]. The original model states that the success of an information system can be measured using six dimensions, including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use, user satisfaction, individual impact, and organizational impact. Although the ultimate success of an information system may be reflected in the impact that the system has upon individuals as well as an organization, aspects of using the system such as system use and user satisfac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system success, because the system would be a sheer failure if users don't like and use the system. As a response to criticisms given by numerous researchers, the authors adapted their model to fit the emerging Web-based environment. The revised model[DeLone and McLean, 2003] they offered included an additional quality dimension, namely service quality, and combin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impacts into net benefits which can also influence user satisfaction. The e-government system success model can be built around this updated model. Our model incorporates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s in the DeLone and McLean model. However, the 'system use' dimension has been replaced by perceived usefulness, as suggested by Seddon[1998]. In addition, because the e-government systems that this paper focuses on are internal public systems used in government agencies, the 'net benefits' dimension has been replaced by perceived work efficiency. Based on the proposed model, a total of nine hypotheses have been formulated which we tested using an empirical analysis. Methods A questionnaire form has been created with items that are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n the model. The questionnaire has been handed over, in person, to 65 members of Chungwadae staff who are now actively using the E-Support System, the present information system created to support internal work at Chungwadae. We made arrangements to meet with each individual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our survey, and helped to fill out the survey form with explanations. Of the 65 copies that were delivered, only 33 were returned, and 30 responses of these have been adopted for our analysis, since three were not valid. The extremely small sample size was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staff members who had adequate experience required of this study. Results We gather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zed them using a regression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es. As shown in the table below,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ree dimensions of an information system’s quality are positively related to user satisfaction. However, information quality and system quality we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usefulness, while service quality was not. In addition, perceived usefulness is not positively related to user satisfaction, implying that a user may find a system useful, but may not be satisfied with it. Finally, user satisfac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both a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work efficiency. This suggests that workers' positive experience with the system is important to guarantee favorable work efficiency.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the proposed model proved useful in measuring the success of an internal information system used by a government agency.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and usefulness of the model in the paper, we applied the model to the assessment of the present internal system used at Chungwadae in comparison with the preceding syste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t system outperforms the preceding one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way. Future research will have to focus on applying the model to Korea's governmental agencies other than Chungwadae and examine whether it proves applicable in different types of governmental organizations.

표준화 관련 가상 세미나 서비스를 위한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Virtual Seminar Service System related to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 이상민;이준섭;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08-112
    • /
    • 2000
  • 최근 표준화가 정보통신분야에서 전략적 도구로 인식됨에 따라 수 많은 관련 회의 및 세미나가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시간 및 공간상의 제약과 관련 일정정보의 부재로 인해 현실적으로 원하는 모든 곳에 참여하지 못한다. 또한 실제 참석한 후에, 해당 세미나에 대한 체계적인 정리를 원하더라도 직접 세미나를 주재한 사람이나 관련기관을 만나지 못하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대규모 세미나의 경우 타 분야에서 진행된 관심분야에 참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웹 상에서 시간과 장소에 투명한 표준화관련 세미나를 동영상으로 제공하고, 이와 관련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가상 세미나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 기반의 가상 세미나 서비스를 구현을 위해 필요한 관련 기반 기술들을 제시하고, 기본 설계 및 구현결과를 제시한다.

  • PDF

공개 소프트웨어 환경에서의 인터넷 뱅킹 서비스를 위한 PKI 기반 기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KI based Technology for Internet Banking Service in the Open Software Environment)

  • 한명묵;이철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3-20
    • /
    • 2006
  • 국내 인터넷뱅킹 환경은 Microsoft 사의 Internet Explorer(IE) 브라우저에 맞게 구축되어 있어 Linux나 FreeBSD 등과 같은 공개 운영체제 및 웹 브라우저에서는 인터넷뱅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었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SEED를 이용한 공개 소프트웨어 환경에서의 전자 지불 시스템을 위한 전자 서명 시스템을 개발한다. 국내 인터넷뱅킹은 현재 공인인증기관이 발행하는 공인인증서를 통해 인증 및 전자서명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에 맞춰 공인 인증서 유효성 검증 시스템을 분석 및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자체 개발한 웹 서버에서는 이미 가상 인터넷 뱅킹환경이 구축되어 있어 SEED가 포팅 된 모질라 환경을 가지고 있는 클라이언트에서는 인증서를 설치하여 기본 인터넷뱅킹 서비스를 가상으로 받을 수 있으며 인증서 인증 및 전자서명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구현을 통해 확인했다.

  • PDF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위한 이용자서비스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ing a Public Services Framework for the Regional Archives in Korea)

  • 장혜란;이명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1-338
    • /
    • 2008
  •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외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외국 지방기록관 웹 사이트를 통하여 이용자 서비스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개방과 공유 그리고 참여의 개념을 가진 웹 2.0 기술과 기록관 응용사례를 탐구하였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기본서비스, 확장서비스 I, 확장서비스 II, 상호작용서비스 등 4단계로 구성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였다. 단계별 모형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각 지방기록물관리기관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선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자 서비스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사회 조사와 연구,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평가, 구체적인 서비스 지침의 제정 등을 제안하였다.

네이버 데이터랩 검색어 트렌드 서비스를 이용한 온라인 포털에서의 한약재 검색 트렌드와 의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rend and Meaning of Searching for Herbal Medicines in Online Portal Using Naver DataLab Search Trend Service)

  • 김영식;이승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14
    • /
    • 2021
  • Objectives : From January 2020, when the first confirmed case of COVID-19 in Korea, the use of health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is expected to increase.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general public's interest in Korean herbal medicines for health car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search trend of Korean herbal medicines after the COVID-19 epidemic. Methods : Using the "Naver DataLab (http://datalab.naver.com)" service of a Korean portal site Naver, search volume was investigated with 606 Korean herbal medicines as keywords. The search period was from January 2020, right after the onset of COVID-19, to June 2021. The search results were sorted by the peak search volume and the total search volume. Results : 'Cheonsangap (천산갑, 穿山甲, Manitis Squama)' was the most searched Korean herbal medicine in the peak search volume and total search volume with least bias. Conclusions : The problem of supply and demand of Korean herbal medicines of high public interest was identified. Broadcasting and media exposure were the factors that had a big impact on the search volume for Korean herbal medicines.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arch volume for Korean herbal medicines increased rapidly due to media expos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about Korean herbal medicines, improve public awareness, and manage stable supply and demand based on continuous search trend monitoring.

응급통신관리 정보시스템 구축과 ASP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Medical Dispatch Information System using ASP)

  • 최근명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7
    • /
    • 2002
  •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attracts more public attention as the economy of Korea is rapidly growing up and the standard of living is elevated. Especially, the interest and demand o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that consists of the important part of primary medical service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of patients are gradually increased. However, as compared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such as America in this area, Korea actually fell behind in the utilization of IT (Information Technology)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emergency service system as well as has a problem in the general service system.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to introduce EMD (Emergency Medical Dispatch) system that takes a great role as the core part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that is not systemized in Korea yet.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e implementation model of EMD ASP system using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in EMD system to flexibly deal with the change of IT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system as well as to significantly reduce cost through wire/wireless high speed Internet network that is politically promoted in Korea on the basis of EMD. The system analysis and design was executed by HIPO (Hierarchy Plus Input Process Output) analysis that was the conceptual design technology for EMD information system modeling based on ASP and DFD (Data Flow Diagram). This study proposed DB table configuration and data schema to implement the application of web browser interface in EMD system through ERD(ER-Diagram) of EMD ASP system. Finally, this study described how to implement and utilize EMD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in the future as suggesting the concrete models for the implementation of high value-added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system as applying ASP concept to EMD system of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area.

  • PDF

통합형디지털참고봉사를 위한 기반 연구: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in Korea University Libraries)

  • 김휘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69-186
    • /
    • 2003
  • 국내 대부분의 대학도서관이 디지털참고봉사를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용률은 매우 저조하다. 저조한 원인에는 주제전문 사서의 부족, 홍보부족 기타 관리자의 인식부족 둥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학도서관들의 환경에서 이러한 문제를 각 도서관 별로 해결하기는 어렵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도서관의 디지털참고봉사를 통합하는 방법을 제기하였다. 디지털참고봉사를 통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주제전문사서 양성, 이용자들이 인지하기 쉬운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개발, 관리기관 설립 등이 필요한데, 이 중에서도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이 우선적으로 준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ano 모델과 PCSI Index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for the Elderly in Public Libraries Using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PCSI Index) and Kano Model)

  • 엄재은;김성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115-14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의 품질 속성을 Kano 모델에 근거하여 분류하고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도출해 서비스 품질의 우선 개선순위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의성군 A 도서관을 이용하는 노인이용자를 대상으로 LibQUAL+의 22개 문항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Kano 모델에 기반하여 LibQUAL+의 3가지 영역으로 부문별 품질 요인들을 분류하고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통해 각 서비스 품질마다 이용자가 느끼는 만족 지수와 불만족 지수를 산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잠재적 고객 만족개선지수(PCSI Index)를 구해 실제 요구사항이 충족되었을 때 이용자 만족이 얼마나 개선될 수 있는지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 품질 속성은 매력적 품질 9개, 일원적 품질 7개, 무관심 품질 1개, 당연적 품질 5개로 분류되었다. 서비스 품질 개선 순위에서 1위는 '도서관 전자자료의 자유로운 교외접속', 2위는 '연구, 학습에 필요한 인쇄 및 전자저널 소장', 3위는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도서관 홈페이지'로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는 노인 서비스 제공 시 우선적으로 관리 및 개선해야 할 품질 요인을 제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해운 B2B e-marketplace의 전자적 신뢰, 사이트몰입 및 서비스 거래의도와의 관계성 (The Relationship with Electronic Trust, Web Site Commitment and Service Transaction Intention in Public Shipping B2B e-marketplace)

  • 김용만;김석용;이종환;심규열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113-139
    • /
    • 2007
  • 본 연구는 해운산업의 해운 B2B e-marketplace가 네트워크 관점에서 해운 이해관련 당사자들 간에 전자적 신뢰를 도출할 수 있는 운영적 특성과 웹사이트의 특성 그리고 전자적 신뢰를 매개 메커니즘으로 하여 사이트 몰입과 서비스 거래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나아가 이러한 해운 B2B e-marketplace가 협력적 거래커뮤니티로 발전해나가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해운 B2B e-marketplace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기본 변수들을 규명하고자 공변량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해운 무역업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웹사이트 특성요인 두 개 중에 지각된 보안성만을 제외하고 지각된 사이트 품질 및 운영특성 요인들은 상호변수들 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외생요인들 중에는 지각된 거래 공정성이 전자적 신뢰를 가장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거래규칙과 관련하여 상대방 한쪽에만 유리하다면 장기적인 거래가 이루어질 수가 없기 때문에 거래의 일정한 규칙에 대한 이해관련당사자들이 공정성을 제대로 인식한다면 해운 전자시장의 성공적인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거래의 지각 효율성도 전자적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바, 이는 거래비용의 절감과 상대방과의 거래 관계를 연결시켜주는 거래 프로세스 과정이 신속하고 간소함으로써 기존의 OFF-LINE 보다 더 많은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켜주기 때문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전자적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거래의 원활한 정보 입수를 위한 거래 참가자들에게 커뮤니티를 개설해줌으로써 이로 인한 정보도 얻고 이들을 유인하는 정보를 제공해줌으로써 전자적인 신뢰를 높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이러한 전자적 신뢰 형성을 관련 기업들로 하여금 지속적인 참여의지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그 사이트에 대한 몰입을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자적 신뢰로 인하여 미래의 관련 기업들이 거래관계를 맺고 관련 기업들과 지속적인 거래를 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해준다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전자신뢰의 형성은 궁극적으로 사이트 몰입과 해운서비스 거래의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해운 B2B e-marketplace에 참여하는 해운 이해관련 당사자들은 미래에 현재의 거래를 맺고 있는 기업과 지속적인 거래 유지를 위해서는 해운 B2B e-marketplace를 운영하는 가상중개인의 전자적 신뢰형성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또 다시 입증시켰다.

  • PDF

GeoNet : Web-based Remotely Sensed Image Processing System

  • Yang, Jong-Yoon;Ahn, Chung-Hyun;Kim, Kyoung-O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65-170
    • /
    • 1999
  • Previous technology of remote sensing was focused on analyzing raster image and gaining information through image processing. But now it has extended to diverse fields like automatic map generation, material exploitation or monitoring environmental changes with effort to utilizing practical usage. And with rapid expansion of information exchange on Internet and high-speed network, the demand of public which want to utilize remotely sensed image has been increased. This makes growth of service on acquisition and processing remotely sensed image. GeoNet is a Java-based remotely sensed image processing system. It is based on Java object-oriented paradigm and features cross-platform, web-based execution and extensibility to client/server remotely sensed image processing model. Remotely sensed image processing software made by Java programming language can suggest alternatives to meet readily demand on remotely sensed image processing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remotely sensed data. In this paper, we introduce GeoNet and explain its archite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