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science education

검색결과 1,667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과 미국 공공도서관의 취학 전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들려주기"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Storytelling Program for Preschoolers in the Public Libraries of Korea and America)

  • 정혜경;김현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95-320
    • /
    • 2005
  • 이야기 들려주기는 예술의 한 분야로서 글을 모르는 취학 전 어린이에게 취학 준비과정으로 매우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현재 여러 공공도서관에서 취학 전 어린이를 위한 이야기 들려주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만 그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없다. 이는 무엇보다도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아울러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오래 전부터 이야기 들려주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미국 공공도서관의 실태를 조사, 검토하여 한국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비교한 후 이야기 들려주기의 네 가지 구성 요소인 프로그램, 어린이 사서, 취학 전 어린이 및 도서관 환경에 초점을 맞춰 한국 공공도서관 실정에 맞는 효율적인 프로그램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and Innovation Experience in The Training of Public Administration Specialists

  • Smyrnova, Iryna;Akimov, Oleksandr;Krasivskyу, Orest;Shykerynets, Vasyl;Kurovska, Ilona;Hrusheva, Alla;Babych, Andr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3호
    • /
    • pp.120-126
    • /
    • 2021
  • The article analyzes the possibility of using information and innovation experience in training public administration specialists, and also explores the system of training public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specialists abroad. It was determined that in the European Union, Japan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three concepts of qualified personnel training will be developed: the concept of specialized training is focused on the present or near future and is relevant for the respective workplace; the concept of multidisciplinary training is effective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as it increases intra-production and non-production mobility of an employee; the concept of learner-centered learning with the aim of developing human qualities.

보건소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도 및 교육 요구 (Awareness and educational needs towards the multicultural family in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

  • 장선희;이광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9-196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 towards multicultural family and educational needs to provide information on community oral health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s were 74 recruited from 126 dental hygienists in 14 public dental clinics in Jeonbuk Provinc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64 dental hygienists in charge of dental health care. Data were anlat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Results :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ad no impact on their positiv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there existed differences by age, rank and period of services in the channel of information acquisition. They got 3.5 out of five in multicultural awareness showing a positive way. The types of medical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y revealed that they provided oral health education, dental checkup services and simple treatment covered by health insurance. Health insurance accounted for 15.4 percent of dental services. The obstacles to dental services in multicultural family were communication problems, poor concern for oral health and cultural gaps. They got 3.86 out of five points in educational needs for multicultural family who need the dental education most. The multicultural family showed the higher score in every question. Conclusions : Public health center dental clinics should help dental hygienists to acquire information on multicultural family. Public health center should provide the easy access way of dental health checkup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일본의 과학 영재교육 (Scientific Talent Education in Japan)

  • 박인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9-127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way of teaching the scietific talent in Japan. This study was conducted only by the printed matter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1. Japan at present has neither systems nor laws for offical scientific talent education. 2. Japanese's scientific knowledge and way of rational thinking had been widespread among the general public by elementary education from one hundred ten years or so ago. 3. In addition, the instrument subjects such as foreign language and mathematics were well educated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and the preparatory courses of college. 4. Especially, the third and the first preparatory courses of a college(Daisan Koukou and Daiitchi Koukou) and Kyoto University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cultivation of liberal spirit in education, which turned out to be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for scientific talent education.

  • PDF

Teaching Assistants as a Prerequisite for Best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in Saudi Arabia

  • Bagadood, Nizar H.;Saigh, Budo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101-106
    • /
    • 2022
  • The Saudi Arabian Special Education Regulations define the role and requirements from teaching assistants within the educational process. Although all public special education programs are subject to such regulations, their implementation in practice sometimes appears contradictory. Therefore, special educators frequently encounter a range of problems when they fail to comply with such regulations. This article discusses how teaching assistants influence the teaching practices delivered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A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was conducted using 22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ults suggest a need to focus on the role of the teaching assistant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to ensure exposure to effective learning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a number of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 in terms adopting appropriate provisions are suggested.

학제제정(1895)부터 1910년까지의 과학교육과정과 관.공립학교에 있어서의 과학교육담당자 (Science Curricula from the Time of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System(1895) to 1910 and People in Charge of Science Education at Public Schools)

  • 송민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93-502
    • /
    • 1998
  • 우리 나라 초등 과학 교육은 제도적으로는 1895년의 '소학교령'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실질적으로는 통감부하 일본어로 편찬된 "이과서"(1908)라는 학부 편찬 교과서로 처음으로 시행되게 된다. 학부가 '소학교령'을 발령한 것은 1895년 7월의 일이나 그를 전후하여 '사범학교, 중학교'를 비롯한 각종 전문학교 관제도 정하였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1895년 근대적인 학교 제도가 도입되고 나서 1910년까지의 제반 학교에서의 자연 과학 교육 상황에 대하여 제도의 분석 및 과학 교육 담당자의 추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1895년 '한성사범학교관제'에 의하여 설립된 한성사범학교에서는 본과에 '물리, 화학, 박물'이 속성과에는 '이과(理科)'가 부과되었으며, 1906년에 발령된 '사범학교령'에 의한 3년제 본과에는 그에 더하여 '물리화학'이 부과되고 예과가 신설되어 속성과와 함께 '이과'가 놓여졌다는 것과, 1905년 동경고등사범 '박물학부'를 졸업한 사이토킨지(제마민이(齊魔敏二))에 의해 박물 교육이 이뤄지고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1906년의 '외국어학교령'에 의해 종래 나뉘어 있던 학교를 통합하여 만든 관립 '한성외국어학교'에는 '일어부, 영어부, 한어부, 불어부, 독어부'가 있었는데 여기에서는 일어부의 2, 3학년에 '이과'가 2시간씩, 독어부에 '박물학'이 3학년에게만 2시간 부과되어 있고, 이과는 촉탁(囑託) 마츠모토소지(송본종치(松本宗治))에 의해 박물학은 하세(장각(長各))에 의해 행해졌으며, 1899년 '중학교관제'에 의해 설립된 한성중학교에서는 1893년 일본의 제국대학 '국사과(國史科)'를 졸업한 시데하라타히라(폐원탄(弊原坦))에 의해 '박물'과 '물리화학'이 교수되었고, 1906년 중학교의 명칭을 바꾸어 고등학교로 한 한성고등학교에는 박물 담당의 모리타메조(삼사삼(森寫三))가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더하여 1907년 설립된 관립 '공업전습소'에는 '물리 화학'이 부과되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즉 대한제국기의 한국의 관 공립학교에서의 과학교육은 전적으로 일본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자연 과학을 전공한 전문적인 사람들이 한국의 과학 교육을 담당하게 된 것은 대한제국말기로 그 이전에는 시데하라타히라와 같은 '비전문가'에 의해 겨우 이어져가는 과학교육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을 밝혔다.

  • PDF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librarians on the Education of Library Space Planning)

  • 박혜진;노영희;최만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1-77
    • /
    • 2020
  • 본 연구는 도서관공간구성이 필요한 환경적 요인, 도서관공간 관련 실무의 중요도, 사서가 갖추어야 할 도서관공간기획 능력이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시작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공간기획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와 사서를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 방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과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를 바탕으로 교육의 방향과 개선사항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은 공간기획 실무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도서관공간기획 과정에서 사서의 참여는 이용자 및 전문가와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방법과 교육과정을 도서관 규모와 예산에 따라 계획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도서관공간기획 관련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공간교육의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사서의 공간실무 참여와 필요성은 강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도서관 운영과 이용자들에게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과학적 창조론 비판에 대한 소고 (Brief Discussions On The Scientific Creationism Critiques)

  • 양승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5
    • /
    • 1987
  • Historically, one of the most famous and endless controversies in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is on the origin of life. Since 1859, when the 1st edition of 'On The Origin Of Species' written by Charles Darwin had been published in London. evolutionism had the support of the public and scholars Creationists. however, argue recently that the scientific creationism is supported by the vast geological, biological, palaeontological biochemical and even astronomical evidences. Strong arguments of creationists stirred up the sharpening critiques of evolutionists. In this paper. the author summarizes three recent evolutionary critiques on creationism and refutes them from creationist view. After examing the critiques. we find that they are not based on the decisive evolutionary evidences but considerable conjectures And we show that the majority of critiques stem from the lack of communication in the academic communities.

  • PDF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다섯 목소리 (Five Voices about Science Month Festival)

  • 맹승호;이선경;김찬종;이정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09-622
    • /
    • 2007
  • 해마다 4월이면 각 급 학교에서 치뤄지는 과학의 달 행사는 학생들에게 과학을 접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과학의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과학의 달 행사는 본래의 교육적 목적을 상실한 채 '때가 되면 해야만 하는' 하나의 행사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과학의 달 행사는 이에 대한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과학의 달 행사와 관련된 주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과정을 통해,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각 주체들은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해 각각의 목소리가 변증법적으로 관련되는 공적 담화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는 불만으로 그칠 뿐, 이에 대한 생산적인 대안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의 달 행사의 이념이 실현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각 주체들 간의 사적 공적 담화를 기반으로 한 교호작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감염병 유행 시 학교 보건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전략 개발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Efficienc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an Outbreak of Pandemic Disease)

  • 김영복;김혜경;김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81
    • /
    • 2012
  • Objectives: Effective and efficient response for public health crisis necessitate planning how to respond and mobilize the resources in schools. We preformed this study to develop the strategies to improve efficienc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an outbreak of pandemic disease. Methods: We tried to review the policies, regulations and response systems of all related sectors, and advanced cases associated with pandemic disease control measures by searching databases and on-line networks connected with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esults: It was important to implement a consistent and systematic approach for educational offices and schools to prevent confusion resulted from the inaccurate information. First, the systems and action plans for school health should be established to prepare and respond to an outbreak of pandemic disease. Secondly,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public health crisis should be in place. Finally, the personnel pool would be needed to provide the crisis management programs. Conclusion: In order for staffs and students to have abilities to respond in an outbreak of pandemic disease, comprehensive school health approaches and efficient educational efforts should be prepared in collaboration with related se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