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ve Voices about Science Month Festival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다섯 목소리

  • Published : 2007.10.30

Abstract

The Science Month Festival which is held in our schools provides students with more access to science to expand their science base. However current Science Month Festival is recognized as a pro forma event without it's educational ideal. For this reason, the Science Month Festival has been criticized. This study was aimed to reconsider Science Month Festival by straining at the voices of subjects which were connected to it directly or indirectly. The results showed that every subject didn't make public discourse which makes mutual connections dialectically. Therefore, the voices of dissatisfaction couldn't make alternative plans to solve the problems. Finally, we proposed transac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discourses in subjects for substance for the Science Month Festival.

해마다 4월이면 각 급 학교에서 치뤄지는 과학의 달 행사는 학생들에게 과학을 접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과학의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과학의 달 행사는 본래의 교육적 목적을 상실한 채 '때가 되면 해야만 하는' 하나의 행사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과학의 달 행사는 이에 대한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과학의 달 행사와 관련된 주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과정을 통해,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각 주체들은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해 각각의 목소리가 변증법적으로 관련되는 공적 담화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과학의 달 행사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는 불만으로 그칠 뿐, 이에 대한 생산적인 대안을 형성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의 달 행사의 이념이 실현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각 주체들 간의 사적 공적 담화를 기반으로 한 교호작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수정 (1997). 역대 자연환경 탐구대회의 내용 분석과 발전 방향 고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341-350
  2. 김무길 (2005). 존 듀이의 교호작용과 교육론. 서울: 원미사
  3. 박성래 (1993). 한국인의 과학정신. 서울: 평민사
  4. 법제처, 1973, 각종기념일등에관한규정. 2007. 6. 5 인용: http://www.moleg.go.kr
  5. 윤홍은 (2006. 5). 때만 되면 하는 학교 행사, 재방송은 이제 그만, 우리교육, 5, 43-45
  6. 이은용 (2004. 3. 31). 과학의 달을 국민축제로. 전자신문. pp. 19
  7. 이혁규 (2003)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한 교실 붕괴 현상의 이해와 진단. 교육인류학연구, 6(2), 125-164
  8. 정경인 (1995). 1930년대 과학지식보급운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채동현, 이수영 (2003). 과학동산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1(2), 263-288
  10. 현원복 (1977). 일제하의 과학교육정책과 과학대중화운동. 민족문화연구, 12, 37-43
  11. Dewey, J., & Bently, A. F. (1991). Knowing and the known. In J. A. Boydston (Ed.), John Dewey: the later works, 1925-1953, vol. 16: 1949-1952, Carbondale and Edwardsvil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Press
  12. Doll, W. E. (1993). A post-modem perspective on curriculum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3. Doll, W. E., & Gough, N. (2002). Curriculum visions. New York: Peter Lang Publishing, Inc.
  14. Gadamer, H-G. (1975). The truth and method. New York: Seabury Press
  15. Pinar, W. F. (2004). What is curriculum theory
  16. Mahwah, N. 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Prigogine, I. (1984). Order out of chaos: man's new dialogue with nature. 신국조 역 (1993), 서울 : 고려원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