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autops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심리부검에 대한 고찰과 제언 (Recommendation for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 권호인 ;고선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4호
    • /
    • pp.623-641
    • /
    • 2016
  • 심리부검이란 주변인의 진술과 기록을 통해 자살자의 심리행동 양상을 파악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심리부검은 자살의 원인을 통합적으로 밝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살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다. 국내에서도 각 지자체와 지역사회 자살예방센터를 중심으로 확대 실시되고 있으나 다양한 실행주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심리부검의 타당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살률 감소를 위한 장기 정책 목표를 바탕으로 국내외에서 실시된 심리부검의 절차, 심리부검에 포함할 내용, 선행 연구결과를 검토한 후, 향후 심리부검을 실시할 때 고려할 점을 제언하였다.

청소년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방법론에 대한 고찰 (A Methodological Review of Psychological Autopsy for Adolescents)

  • 권호인;김란;방수영;홍현주;권용실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3호
    • /
    • pp.121-127
    • /
    • 2014
  •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suicide prevention centers have been trying to implement psychological autopsy. This effort has focused on adult suicide so far ;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its application to adolescent suicide. Therefore, in this study,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of Korea were reviewed, and a methodology for adolescents' psychological autopsy was suggested. 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psychological autopsy in adolescent suicide, cooperation with each area of the government and implementation of bodies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central system, which disseminates the standardized interview to the community and manages the data nationwide, should be prepared.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agnosis and to obtai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 structured interview should be adopted as the psychological autopsy, as well as considering the use of social media. Investigation of specific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through psychological autopsy can enable de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point for effective suicide prevention.

심리적 부검을 통한 전북지역 자살 실태에 관한 연구 (Suicide in Jeonbuk region: Psychological autopsy study)

  • 이만석;김명식;권호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1권2호
    • /
    • pp.119-13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부검을 통해 전북지역의 자살실태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2013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 1년간 전북지역에서 발생한 자살사망자 중 심리적 부검에 동의한 42건의 사례로, 사망자의 직계가족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리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살 사망자중 71%가 과거의 자살시도 경험이 있었으며, 50%에서 자살가족력이 보고되었다. 자살의 추정원인으로는 정신 질환(38%)이 가장 빈번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대인관계 문제(31%), 가정 문제(11%)순이었다. 사망자가 진단받은 정신 질환은 우울증이 가장 빈번하였는데, 대부분이 과거에 치료를 받았지만 사망 당시에는 치료를 받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이 정신 질환과 정신질환에 대한 적절한 개입 실패와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과거 자살시도나 자살 가족력이 있는 대상에 대한 집중적 자살예방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한국 농촌지역 자살에 대한 심리부검 연구 (An Study of Psychological Autopsy of Suicides in Korean Rural Area)

  • 최명민;김도윤;김가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1호
    • /
    • pp.55-8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자살사망자가 많은 한국사회 중에서도 자살률이 높은 농촌지역 자살사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파악하고 이에 기반을 둔 자살예방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여 자살원인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심리부검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측면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요인에 초점을 두며 유가족 지원사업을 병행하도록 기획되었다는 점에서 기존의 심리부검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유가족이 동의한 25사례를 조사분석한 결과 농촌지역 자살위기자의 전형적 특성을 파악하고 남성노인, 여성노인, 청장년층 귀향자 유형에 따른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을 규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자살원인과 경로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농촌지역 자살의 심리사회적 요인 상호작용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단기별 농촌지역 자살예방 대책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한국형 심리부검 기반 이차원적 자살유형 연구: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Two-Dimensional Suicidal Type Based on Psychological Autopsy: A Focus on Suicidal Behaviors and Suicidal Risk Factors)

  • 육성필;서종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1호
    • /
    • pp.75-99
    • /
    • 2023
  • 본 연구는 심리부검을 통해 완결된 자살자의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지표로 자살 유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이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28명의 완결된 자살자와 관련 유가족과 지인을 대상으로 심리부검 면담을 실시했고 유형 분석에 필요한 지표변수를 최종 선정하였다. 자살위험요인 지표변수로 정신장애, 자살/자해, 중대한 신체변화, 배우자간 갈등, 직장/학교 내 적응 및 관계문제, 실직/해고, 사업실패, 무직, 심각한 재정적 문제가 선정되었다. 자살행동 지표변수로 자살의지표현, 자살유서, 구조도움요청, 자살시간/장소/방법, 과거 자살/자해 시도, 자살자 최초발견이 선정되었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3단계 분석 방법(3-step method)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석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고자 외부변수(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존재/변화, 관계변화, 가족 중 정신장애/알코올문제/신체질병, 학교/직장 만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살행동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는 5가지 계층(경제문제, 적응문제, 복합문제, 정신과문제, 사건반응), 자살위험요인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서는 3가지 계층(주거지-자살시도-가족발견형, 비주거지-비자살시도-지인발견형, 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이 탐색되었다. 자살행동 기반 3가지 유형 간에는 성별, 결혼상태, 동거여부, 관계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형 3(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동거중인 상태로, 기혼자일 가능성이 높고 대인관계 갈등이 두드러졌다. 자살위험요인 기반 5가지 유형 간에는 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관계변화, 가족 관련 문제, 학교/직장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형3(복합문제)은 상대적으로 가족 관련 문제는 없으나 개인적인 스트레스 발생과 악화가 두드러졌다. 향후 해당 유형과 유형별 영향요인에 맞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환자안전사건으로 인한 제1의 피해자 심리사회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사 프로그램 검토 (Review of Similar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a Support Program for First Victims Due to Patient Safety Incidents)

  • 표지희;최은영;이원;장승경;옥민수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8-69
    • /
    • 2021
  • Purpose:In this study, we reviewed existing victim support programs implemented in Korea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support programs for patients and guardians who have experienced patient safety incidents. Methods: We reviewed similar programs: a support program for suicide survivors operated by the Korea Psychological Autopsy Center (Korea Foundation for Suicide Prevention), a family harmony program for workers in industrial accidents operat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and the support services for crime victims provided by the Korean Crime Victims Support Association. We reviewed the contents of each website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key personnel from each institution. Results: The support program for families who have experienced suicide was developed based on the suicide prevention project at the Central Psychological Autopsy Center. The family harmony program for workers who suffered industrial accidents is operat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at the behest of the Korean Workers' Compensation and Welfare Service. The Korean Crime Victims Support Association wa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Justice in accordance with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and provides support to victims of crime. Each progra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considering the objectives and goals, defining their recruitment plans as well a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ir participants, and creating quality content that adequately addressed the struggles of their participants. Conclusion: The summarization of the various types of victim support programs in this study can be helpful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psychosocial support programs for victims of patient safety incidents.

A Multifactorial Interpretation of a Teenager's Suicide: Based on Krystal's Death in Casual Vacancy

  • Bahn, Geon Ho;Park, Joo Seo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2권1호
    • /
    • pp.3-9
    • /
    • 2021
  • Objectives: It is hard to accumulate research data on adolescents' suicide, because friends and family of the suicide completers might be reluctant to share the experience. To overcome the lack of information on adolescent suicide victims, the authors examined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adolescents' suicide from a character in a novel. Methods: Krystal, an adolescent female in the novel The Casual Vacancy by Joanne Rowling, failed to overcome her unfortunate circumstances and committed suicide. The authors analysed Krystal's case based on the guideline for patients with suicidal behaviours to address the complicated situation of her death. Results: Krystal grew up in a poor and dangerous environment. Despite the environmental hardships, she developed ego maturation with affectionate help from Mr Fairbrother, an assistant coach of the Girls' Rowing Team and a parish councillor. The sudden passing away of Mr Fairbrother brought on a crisis of identity for Krystal. In addition, a villainous character raped her and her brother drowned to death, which brought her great sorrow. She felt helpless and committed suicide. Conclusion: In spite of many risk factors for suicide, Krystal was able to keep her life with a few protective factors, a younger brother in the home,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family. After the loss of her brother, however, she collapsed in a moment. Krystal's suicide might not only be a personal choice but a breakdown of the social protection system for the youth.

현시성 자살과 그 예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Exhibitional Suicide and Its Prevention)

  • 박진호;곽정식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0-30
    • /
    • 2006
  • 현시성 자살(exhibitional suicide)이란 죽으려는 의도는 없이 타인에게 "내심의 의사"를 전달할 목적으로 "자살에 이르지 않을 것으로 스스로 인지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죽음에 이르는 경우를 말하며, 이러한 현시성 자살은 자살과 구별되는 몇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 자살의도의 진지성으로 죽고 싶은 마음이 얼마나 분명하고 진지한가에 의해, 둘째, 자살 시도 방법에 의해, 셋째, 자살하는 장소 면에서 구별된다. 즉, 현시성 자살은 죽을려는 목적이 없기 때문에 자살자에 비해 자살의도가 결여되어 있고, 덜 치명적인 방법을 사용하며, 타인에게 쉽게 발견될 수 있는 장소에서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경북대학교 법의학교실에 의뢰된 부검 분석 결과 중독사(31.5%)의 경우 적지 않은 수가 현시성 자살자로 추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시성 자살은 성인보다는 청소년, 남자보다는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연구 재료 분석 결과에서 간접적으로 증명하였다. 또한 자살 기도자 중 많은 경우가 현시성 자살에 해당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현시성 자살은 법적인 관점, 즉 생명보험과의 관계에서는 사고사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시성 자살을 사고사로 볼 경우 실제 사건에서 입증하기가 어렵고, 보험의 목적과 보험사의 자살면책기간을 둔 취지에 의하면 오히려 현시성 자살을 사고사와 구별하여야 함을 고찰하였다. 현시성 자살은 관계의 부재에서 발생하므로 주변 사람들의 조그마한 관심으로도 이러한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심리부검을 통해 테이터화하여 이를 유형화시킴으로써 통계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앞으로 일어날 유사한 자살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현시성 자살에 대한 연구가 아직 없는 상태이므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PDF

The Korea National Suicide Survey (KNSS) : Rationale and Design

  • Kim, Bora;Jung, Keum Ji;Lee, Sang Uk;Sea, Jonghan;Kim, Eun Young;Kim, Se Hyun;Jee, Sun Ha;Park, Jong-Ik;Kim, Kyungil;Ahn, Yong Min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1호
    • /
    • pp.1-6
    • /
    • 2015
  • Suicide, the fourth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 is a serious national problem. The Korea National Suicide Survey (KNSS) is the result of the first legislation to address this issue, "Article 11 of THE ACT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ND THE CREATION OF A CULTURE OF RESPECT FOR LIFE" (the "Act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e KNSS was designed by collaborators from a variety of fields : psychology, epidemiology, social welfare, and psychiatry. The KNSS was composed of four substudies that addressed the multifaceted process involved in suicide-related behavior over time, exploring general attitudes toward suicide and suicidal ideation, suicide planning, suicide attempts, and completed suicides. Study 1 examined the risk factors for suicide based on data regarding completed suicides ; Study 2 adopted the approach of a psychological autopsy ; Study 3 focused on suicide attempters ; and Study 4 explored attitudes toward suicide in the general population. The KNSS was design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uicide from a longitudinal, multifaceted perspective to serve as a basis for policies aimed at suicide prevention.

Depressive Symptoms on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Suicide Deaths in Older Middle-aged Men: A Prospective Cohort Study

  • Yi, Sang-Woo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9권3호
    • /
    • pp.176-182
    • /
    • 2016
  • Objectives: Prospective evaluation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e deaths have been mainly performed in high-risk populations, such as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orders or histories of self-har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spectively examine whether more severe depressive symptoms assessed using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were associated with a greater risk of death from suicide in a general-risk population. Methods: A total of 113 478 men from the Korean Veterans Health Study (mean age, 58.9 years) who participated in a postal survey in 2004 were followed up for suicide mortality until 2010. Results: Over 6.4 years of follow-up, 400 men died by suicide (56.7 deaths per 100 000 person-years). More severe depressive symptoms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risk of suicide death (p for trend <0.001). The unadjusted hazard ratios (HRs) in comparison to the absence of depression were 2.18 for mild depression, 2.13 for moderate depression, 3.33 for severe depression, and 3.67 for extreme depression.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men with a potential depressive disorder had an approximate 90% higher mortality from suicide (adjusted HR, 1.92; 95% confidence interval [CI], 1.38 to 2.68; p<0.001) than men without depression. Each five-point increase in the GDS score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death by suicide (adjusted HR, 1.22; p<0.001). The value of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of GDS scores for suicide deaths was 0.61 (95% CI, 0.58 to 0.64). Conclusions: Depressive symptoms assessed using the GDS were found to be a strong independent predictor of future suicide. However, the estimate of relative risk was weaker than would be expected based on retrospective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