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ilat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6초

Pollen Morphology of the Genus Rhododendron (Ericaceae) in Korea

  • Park, Joon-Moh;Song, Un-Sook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663-672
    • /
    • 2010
  • The pollen morphology of eleven species and three forms of the genus Rhododendron (Ericaceae) in Korea was examined using light, scanning electron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pollen grains are grouped in permanent tetrahedral tetrads; viscin threads are present on the tetrads. The hexacolporate tetrads are of tricolporate monads whereby the apertures form in pairs at six points in the tetrad. The exine sculpture pattern is rugulate, scabrate or verrucate on mesocolpium but psilate, rugulate or microscabrate around the aperture on apocolpium. The exine of Korean Rhododendron pollen consists of tectum, columella, foot layer and endexine. The surface of viscin threads is more or less smooth. The threads are sometimes tangled together and occasionally divided into strands. Six types are recognized based on the pollen morphology. The types are: (1) Micranthum-type (rugulate mesocolpium and psilate apcolpium), (2) Tomentosum-type (rugulate mesocolpium and apocolpium), (3) Aureum-type (scabrate mesocolpium and rugulate apocolpium), (4) Brachycarpum-type (scabrate mesocolpium and rod shaped-microscabrate apocolpium), (5) Schlippenbachiitype (scabrate mesocolpium and round-microscabrate apocolpium) and (6) Weyrichii-type (verrucate mesocolpium).

Pollen Morphology of Genus Sedum in Korea

  • Kim, Jeong-Hee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245-252
    • /
    • 1994
  • Pollens of 20 species of Sedum were investigat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pollen morphology of Sedum was rather variable, within particular species or even within a single inflorescence. Differences occurred in the number and shape of apertures and surface sculpture. Besides 3-colporate, various aperture types including 2-syncolporate, 3-syncolporate, 40stephanocolporate, 5-stephanocolporate, zonate, and irregular types were found in a single specimen. Also, striate-rugulose and psilate sculpture were found in S. viviparum.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ollen morphology and the floral formula. Pollen characters appeared to be not useful for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Korean Sedum.

  • PDF

한국산 고란초과 식물의 포자 형태 (Spore morphology of Korean Polypodiaceae)

  • 임진아;김철환;곽민주;선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9
    • /
    • 2006
  • 한국산 고란초과의 포자 형태를 광학 및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기재하고 속검색표를 작성하였다. 포자는 방사상칭의 삼지형인 주걱일엽을 제외하고는 모두 좌우상칭인 단지형이다, perispore는 모든 종에 존재하며 미역고사리속, 일엽초속, 밤일엽속, 주걱일엽속, 창고사리속 및 콩짜개덩굴속은 perispore와 exospore가 서로 유사하지만, 고란초속의 경우는 두터운 perispore에자상 돌기와 두상 돌기가 혼재하여 평활상의 exospore와 차이를 보인다. 석위속의 석위와 애기석위는 perispore와 exospore의 표면무늬가 서로 유사하지만 세뿔석위와 우단일엽은 perispore가 각각 난선상과 유두상 돌기를 가져서 exospore와는 크게 다르다. 그리고 exospore가 추문상의 무늬를 갖는 군은 미역고사리속과 주걱일엽속이며, 일엽초속은 불규칙한 유두상 돌기가 있는 난선상, 고란초속과 창고사리속은 평활상이지만 창고사리속의 경우, 드물게 유두상 돌기도 분포한다. 밤일엽은 미립상 혹은 소형의 유두상 돌기가 밀생하고 콩짜개덩굴은 복잡한 망상무늬를 갖는다. 한편 석위속은 분류군에 따라 유두상 돌기가 있거나 또는 평활상이다.

한국산 쑥속(국화과)의 화분학적 연구 (A palynological study of the genus Artemisia L. (Asteraceae) in Korea)

  • 박명순;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4-39
    • /
    • 2012
  • 한국산 쑥속(Artemisia L.) 31분류군을 대상으로 화분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화분의 분류학적 형질을 평가하고 분류군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산 쑥속의 화분 형태와 크기는 분류군간의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화분 표면의 과립 존재와 밀집 정도, 자상돌기 기부의 연결 여부 등에서 다소 차이가 있어 속내 분류군간 식별 및 일부 근연분류군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쑥속 화분의 진화경향성은 과립상의 돌기가 거의 분포하지 않는 평활형인 표면과 자상돌기 사이의 기부가 연결된 형태로부터 1) 표면에 과립상의 돌기가 다소 분포하는 과립형과 자상돌기 사이의 기부가 연결된 형태로 분화되었으며, 2) 이로부터 표면에 과립상의 돌기가 다소 분포하는 과립형과 기부는 확장하지 않아 연결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분포하는 형태로 분화되었고, 3) 이로부터 표면에 과립상이 밀집하여 심하게 주름진 과립 밀생형이 파생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화분학적 특징은 외부형태와 지리적 분포, 체세포염색체 수 등의 형질과 더불어 근연관계인 제비쑥 그룹(제비쑥, 섬쑥, 실제비쑥, 갯제비쑥)과 더위지기 그룹(더위지기, 털산쑥, 흰산쑥)의 유연관계를 잘 반영해 주었다.

한국산 개미취속 및 근연 분류군의 엽형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eaf morphology of Korean Aster L. and its allied taxa)

  • 정규영;정형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0-61
    • /
    • 1999
  • 한국산 개미취속(Aster) 및 근연의 17분류군을 대상으로 잎의 외부형태학적 형질 및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이들의 분류학적 가치를 파악하였다. 잎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에서 엽형은 타원형, 주걱형, 피침형, 선형, 난상삼각형의 5유형으로 동일분류군내에서는 일정하였으며, 분류군간에는 몇가지 유형으로 뚜렷히 구분되었으므로 분류군의 식별형질로 유용하였다. 엽연의 거치는 전연, 예거치, 치아상거치, 결각상거치의 4유형으로 구분되었으나 일부 분류군들에서 개체간에 변이가 나타나므로 이들 식별형질로는 선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해부학적형질에서 표피세포의 크기와 형태, 기공의 크기와 단위면적당 분포수, 표면의 cuticle 침적양상은 분류군 간에 뚜렷한 차이점을 보이지 않으나, 기공의 표면존재여부, 기공의 크기, 단위면적당 기공의 분포수, 표피세포의 크기에 의해 일부 분류군들이 구분되었다. 모용은 형태와 모용표면의 무늬양상 및 구성세포의 배열 등에 의해 단열성 과립상 원추형, 단열성 평활상 원추형, 단열성 평활상 사상형, 구형, 2열성 낭상 두상형의 5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동일분류군내에서 다양한 생육환경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인 형태가 동일함으로 좋은 식별 형질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산 석패과 유생의 형태하적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orphology of the Freshwater Unionidae Glochidia (Bivalvia : Palaeoheterodonta ) in Korea))

  • 박갑만;권오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6-62
    • /
    • 1993
  • Six species of freshx\water Unionidae mussels in Korea, Anodont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Unio douglasiae, U. douglasiae sinuloatus, Lamprotula gottschei, Lanceolaria acorohyncha were compared in regard to the various 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ultra structures of shells and glochidia.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the orter demibranchs of all the females of six species have served as marsupial(gravid)pouch. However, all the foru demibranchs were used as the marsupium in some female individuals of L. gottschei. The glochidia of 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were separated one by one with the mucous strings and U. douglasiae sinuolatus were round-subtriangular in shape, and those of L. gottschei were subelliptical in shape. Each of the glochidial shell valves of six species had a hook studded with many spines on the superior face on valve. The glochidial shell valve had two or three rows of large spines; A. arcae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had two rows and three rows in U. douglasi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The numbers of sensory hairs of A. arcaeformis flavotincta and A. woodiana were all eight, those of U. douglasi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were six. and that of L. gottschei was four. The external and internal surfaces of the glochidial shell valves of A. A. arcadformis flavotincta, A. woodiana, and L. gottschei had foveolate and psilate in U. douglaseae, U. douglasiae sinuolatus and L. acrorhyncha.

  • PDF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의 화분형태 (Pollen Morphology of the Woody Fabaceae in Korea)

  • 성은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87-108
    • /
    • 2007
  • 콩과의 화분학적 자료를 제공하고 분류학적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과 목본식물 12속 31분류군의 화분형태를 광학현미경과 주사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콩과의 화분립 형태는 단립이었으며, 적도면 입상은 약장구형 혹은 드물게 아장구형으로 나타났다. 화분립의 발아구는 적도면에서 일렬로 배열하는 삼공구형이거나 혹은 드물게, 한국에서 생육하는 콩목의 다른 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삼복개형이었다. 본 과는 표면무늬에서 평활상, 미세공상, DMIP상, 세공상, 다각형 세공상, MAP상, MPG상, PMAP상, VPPS상, VP상, 과립상, 난선상, 망상, 세망상과 같은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화분학적 특징은 개느삼속이 고삼속으로 합병되어야 함을 지지하였고, 골담초속(Galegeae족)과 Sophoreae족 내 Sophora 그룹(Maackia, Sophora, Echinosophora)이 측정된 모든 특징과 표면무늬에서 서로 상당히 유사하였다. 발아구형, 화분립형태 그리고 표면무늬의 차이점에 근거하여 콩과의 11속이 인지되었고, 한국에서 생육하는 목본 콩과의 속수준의 화분검색표와 싸리속의 화분형검색표가 작성되었다. 조사된 Coronilla속과 등나무속 내 분류군들이 표면무늬에 의해 구별이 가능했다.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airborne pollen in Korea peninsula

  • Moon, Hye-Kyoung;Kong, Min-Jung;Song, Jun-Ho;Kim, Sun-Yu;Kim, Jin-Suk;Jung, Eun-Hee;Park, Chan-Ho;Lee, Byoung-Yoon;Hong, Suk-Py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59-168
    • /
    • 2015
  • Although airborne pollen is invisible to the eye, it has been known as a major source to respiratory allergic reactions. For this reason, airborne pollen is monitoring in many countries to predict pollen concentration based on locality and season. Howev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ollen and their potential tendency as an allergen are still obscure. In the present study, we selected 52 airborne pollen samples based on previously reported data and investigated their detail pollen characteristics using LM and SEM. Major airborne pollen in Korea has sorted in 19 families (most angiosperms except four gymnosperm families), and all pollen grains are small to medium in size ($P=17.34-49.86{\mu}m$) apart from the bisaccate pollen grains of Pinaceae ($P=46.49-106.20{\mu}m$). The aperture number and shape vary from sulcate to polyporate. While the inaperture pollen has found only in gymnosperm (Cupressaceae and Taxaceae), triporate or polyporate is common pollen type in angiosperm. The sexine ornamentations could divide into several types, but the most sculpturing types are inconspicuous like psilate, rugulate and granulate. Reticulate pollen grains as a semitectum have occurred the species of genera Platanus and Fraxinus only. To estimate th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pollen features and allergen,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botanical context.

한국산 팥꽃나무과의 화분형태학적 연구 (Pollen morphology of Thymelaeaceae in Korea)

  • 정은희;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5-270
    • /
    • 2003
  • 한국산 팥꽃나무과(Thymelaeaceae Adans.)의 1속(아마풀속: 1종)을 제외한 4속(팥꽃나무속: 4종, 삼지닥나무속 1종, 피뿌리풀속 1종, 산닥나무속 2종)의 화분을 광학현미경(LM)과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였다. 화분의 크기는 $11.3-60.0{\mu}m$로 소립(피뿌리풀속)에서 중립(팥꽃나무속, 산닥나무속), 대립(삼지닥나무속)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조사된 분류군의 화분은 모두 단립으로 구형이고, 발아구의 형태는 산공형(10-20개)이다. 외표벽의 표면 무늬는 다소 차이는 있지만 삼면각(trihedral)의 부속요소(subunit)들이 원으로 배열하여 망상의 전형적인 "croton pattern"을 가지고 있다. 모든 부속요소의 중앙에는 하나의 미세돌기가 있고 부속요소의 표면은 평활상(psilate)이다. 팥꽃나무속 화분은 부속요소의 배열에 따라 세가지 유형으로 구별되어진다; (1) Type I: 부속요소들이 서로 붙어서 원을 이루고 부분적으로 연결이 끊어져 있는 형태, (2) Type II: 하나의 독립된 부속요소가 세 개의 면이 뚜렷한 삼면각을 이루는 형태, (3) Type III: 각 부속요소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나 뚜렷하지 못한 형태. 또한 한국산 팥꽃나무과에 대한 화분형질의 분류학적 적용에 대하여 간단하게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