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imal methods

검색결과 798건 처리시간 0.028초

보튤리눔 톡신-A가 백서의 임의 피판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otulinum Toxin-A on the Survival of Random-Pattern Cutaneous Flap in Rat)

  • 김영석;이재수;유원민;탁관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360-366
    • /
    • 2008
  • Purpose: Botulinum toxin type A(BoTA) can block the release of vasoconstriction cotransmitters as well as acetylcholine in nerve terminal. The authors observed that BoTA increases flap survival by preventing sympathetic collapse of peripheral vessels. Methods: 10 Sprague 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n=5), and BoTA group(n=5). $3{\times}10cm$ sized random pattern cutaneous flaps were elevated on the dorsal side in both groups. In BoTA group, BoTA was injected into the flap via intradermal to subdermal route, 7 days before the flap elevation. Flap survival rates (survival area/total area) were measured 7 days after the elevation. Cutaneous blood flow was measured in proximal, middle and distal compartments of the flap using laser Doppler flowmetry initially, preoperatively, at immediate postoperation, and 7 days after flap elevation, respectively. Hist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7 days after the flap elevation. The number and shape of the vessels were evaluated under microscope. Results: Mean flap survival was $53.18{\pm}6.58%$ in control group and $93.79{\pm}6.06%$ in BoTA group, display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008, p<0.05). In the control group, blood flow to the middle and distal compartments of the flap decreased significantly immediately after flap elevation. In the BoTA group, blood flow to the middle compartment did not decrease(p=0.002) and slightly decreased in the distal compartment(p=0.001). Cutaneous blood flow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compartments of the flap in BoTA group than in control group, 7 days after the flap elevation. I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greater number of vessels were noted in the BoTA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Botulinum toxin A can increase the survival of the random pattern cutaneous flap in rats by preventing the sympathetic collapse of peripheral vessels.

Influence of Radiologically Evident Residual Intimal Tear on Expansion of Descending Aorta Following Surgery for Acute Type I Aortic Dissection

  • Kim, Yun Seok;Kim, Jeong Heon;Kim, Joon Bum;Yang, Dong Hyun;Kang, Joon-Won;Hwang, Su Kyung;Choo, Suk Jung;Chung, Cheol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1호
    • /
    • pp.6-12
    • /
    • 2014
  • Background: Although a residual intimal tear may contribute to the dilatation of the descending aorta following surgical repair of acute type I aortic dissection (AD), its causal relationship has not been elucidated by clinical data due to the limited resolution of imaging modalitie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41 patients (age, $55.2{\pm}11.9$ years) who were evaluated with dual-source computed tomography (CT) imaging of the whole aorta in the setting of the surgical repair of acute type I A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a composite of the aortic aneurysm formation (diameter >55 mm) and rapid aortic expansion (>5 mm/yr). Results: On initial CT, a distal re-entry tear was identified in 9 patients. Two patients failed to achieve proximal tear exclusion by the surgery. Serial follow-up CT evaluations (median, 24.6 months; range, 6.0 to 67.2 months) revealed that 14 patients showed rapid expansion of the descending aorta or aortic aneurysm formation. A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sidual intimal tear (odds ratio [OR], 4.31;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 to 19.31) and the patent false lumen in the early postoperative setting (OR, 4.64; 95% CI, 0.99 to 43.61) were predictive of the composite endpoint. Conclusion: The presence of a residual intimal tear following surgery for acute type I AD adversely influenced the expansion of the descending aorta.

Anaortic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Patients with Takayasu's Arteritis

  • Na, Kwon Joong;Lee, Kyung-Hak;Oh, Se Jin;Hwang, Ho Young;Kim, Ki-B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4호
    • /
    • pp.274-278
    • /
    • 2013
  • Background: Coronary involvement in Takayasu's arteritis is a rare but fatal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Takayasu's arteritis patients who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CABG). Materials and Methods: Of 2,280 patients who underwent isolated CABG from January 1998 to June 2012, Takayasu's arteritis was identified in 5 patients. There were 3 female patients, and the mean age was $58{\pm}9$ years. Takayasu's arteritis was diagnosed during preoperative evaluation for coronary artery disease in 4 patients, and the initial manifestation was angina pectoris in 4 patients. All of the patients underwent anaortic off-pump CABG (OPCAB) using the in situ left or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ies (ITA); 3 patients had severe stenosis of the proximal left subclavian artery and the in situ right ITA was used instead. Medical treatment for inflammatory arteritis during the perioperative and follow-up period was performed if indicated. Early, 1-year, and 5-year angiographic results and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There was no surgical mortality, and all of the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s on postoperative $8{\pm}2$ days. Early postoperative (postoperative $2{\pm}1$ days) angiography demonstrated a graft patency of 100% (12 of 12 distal anastomoses). One-year ($13{\pm}3$ months) angiography was performed in 4 patients, and all of the grafts were patent (100%, 9 of 9 distal anastomoses). Conclusion: By performing anaortic OPCAB in patients with Takayasu's arteritis, we were able to avoi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manipulating an atherosclerotic and severely calcified ascending aorta. The early and mid-term graft patency of OPCAB in Takayasu's arteritis was maintained when concomitant with medical treatment.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골절편 전위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Clinical and Radiographical Follow-up for Residual Displacement of Fracture Fragments after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in Humeral Shaft Fractures)

  • 염재광;임동주;정의엽;손수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07-114
    • /
    • 2013
  • 목적: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을 시행한 후 잔존한 전위에 대해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상완골 간부 골절에 대해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전위가 10 mm 이상, 20 mm 미만인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4.1세(43~70세), 남자 3예, 여자 5예였다. 수술 직후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전위와 각형성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추시 방사선 사진으로 이의 호전 정도와 골유합, 합병증 여부를 확인하였다. 술 후 견관절 및 주관절의 운동 범위와 통증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고,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1주였다. 최종 추시 견관절 및 주관절의 운동범위는 대부분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1예에서 견관절 강직으로 인하여 관절경적 관절낭 이완술 및 도수 조작술 후 운동범위를 회복하였으며, 일시적인 견관절 통증 1예, 주관절 통증 1예가 있었다. 2예에서 근위 나사못의 빠짐이 있었으나 모두 골유합을 얻었다. 결론: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전위에도 불구하고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관혈적 정복 또는 추가 고정은 필요하지 않았다.

간섭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상완 이두건 대흉근 상부 건 고정술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Biceps Long Head Tenodesis Above the Pectoralis Major Using an Interference Screw)

  • 최상수;강홍제;김정우;김종윤;김동문;김광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94-99
    • /
    • 2013
  • 목적: 간섭나사(interference screw)를 이용한 관절경적 상완 이두건 대흉근 상부 건 고정술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간섭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상완 이두건 장두의 대흉근 상부 건 고정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한 경우는 20예였다. 결과는 VAS, ASES, 상완 이두건 구의 통증, 고정실패 및 변형 정도로 판단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모든 환자에서 수술 전에 비해 VAS, ASES점수는 의미 있게 호전되었으나(p<0.05), 5예(17%)에서 견관절 전방 통증 및 상완 이두건 구의 압통이 존재하였고, 3예(10%)에서 고정실패로 인한 Popeye 변형이 존재하였다. 또한, 회전근 개 파열을 동반하지 않는 군에서 파열을 동반한 군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p<0.05). 결론: 상완 이두건 근위부 병변에 의한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간섭나사를 이용한 관절경적 상완 이두건 장두의 대흉근 상부 건 고정술은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유용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되나, 17%에서 상완 이두건구에 압통이 존재해 이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 Novel Method to Measure Superior Migration of the Humeral Head: Step-off of the C-line

  • Park, Kyoung Jin;Eun, Hyeon Jun;Kim, Yong Min;Yoo, Jun Il;Lim, Chae Ou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9권3호
    • /
    • pp.125-129
    • /
    • 2016
  • Background: Superior migration of humeral head has been conventionally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cromiohumeral distance (AHD), We sought to devise a novel measurement system more reliably and accurately than AHD. We described a structural landmark called 'C-lin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step-off of the C-line (SOC)' compared to that of AHD. Methods: The C-line formed from the medial margin of the proximal humeral head continuing up to the inferior margin of the articular glenoid and then to the lateral border of the scapula. The superior migration of the humeral head triggered by a rotator cuff tear introduces a discontinuity in this C-line. We measured the distance of this discontinuity. We enrolled 144 patients who underwent a rotator cuff repair. We selected 58 controls who didn't have any cuff lesions apparent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radiographs derived from standardized true anteroposterior views of the shoulder, we measured the SOC and the AHD. We used t-tests for statistical analyses. Results: A rotator cuff tear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SOC and a decrease in AHD. In control group, the mean SOC was $1.29{\pm}1.71mm$ and AHD was $9.71{\pm}2.65mm$. In cuff tear group, the mean SOC was $3.15{\pm}3.41mm$ and AHD was $8.28{\pm}1.76mm$. The mean SOCs of the patient group in relation to the mean SOC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ear size, the SOCs of medium tear and lager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p<0.05). Conclusions: The SOC may be a similarly effective to diagnose cuff tears of medium size and larger compared with AHD.

타액 오염하에서 수복방법에 따른 컴포머의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LEAKAGE ACCORDING TO RESTORATION METHOD OF COMPOMER UNDER SALIVA CONTAMINATION)

  • 공석배;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3-80
    • /
    • 2007
  • 소아 환자의 인접면 우식을 치료할 때 컴포머는 불소를 방출하는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구강내 환경은 항상 습윤한 상태로 타액은 컴포머와 치질 사이의 접착을 방해할 수 있다. 수복시에 타액이 게재하게 되면 미세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그로 인해서 수복의 실패가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컴포머를 수복할 시에 타액의 영향과 수복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하였다. 컴포머로서 Dyract $AP^{(R)}$(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Dentin bonding agent로는 Prime and $Bond^{(R)}$ NT (Dentsply, Germany)를 사용하였고, 광중합을 위해서 Elipar Trilight (3M ESPE, USA)를 사용하였다. 구강내 환경을 재현하기 위해서 saliva pool을 제작하였다. 소구치 2개를 인접하여 시편을 제작한 후에 2급 와동을 형성하여 수복 환경을 다르게 하여 컴포머를 충전한 후에 500회 thermocycling하였다. 그 후 0.5% methylene blue 용액에 24 시간 동안 담근 후에 실체 현미경을 통해서 교합면과 치은면에서의 미세누출 정도를 측정하였다.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Test를 이용하여 각 군간 유의성을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교합면에서의 각 군간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5). 2. 치은면에서 $Oraseal^{(R)}$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타액 오염을 시키지 않은 4군과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3. 치은면에서 1군과 2군 사이에는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p>0.05). 4. 치은면에서 $Oraseal^{(R)}$을 이용하여 수복한 3군이 1, 2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더 낮은 미세누출 정도를 보였다(p<0.05).

  • PDF

감각통합 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작업수행(놀이)에 미치는 영향: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를 사용한 사례보고 (The Effect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Postural Control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Play) of the Preschool Child With Postural Disorder: Case Study Using Goal Attainment Scale (GAS))

  • 류성운;김인선;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1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과 작업수행(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은 2012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임상과정에 참여한 만 5세 8개월의 남아이다. 평가결과에 따라 치료목표, 치료계획을 제시하였고 11회기 동안 치료가 진행 되었으며 아동의 활동과 적응반응을 기술하였다. 각 회기별 목표를 목표성취척도(Goal Attainment Scale)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2012년 12월 재평가하였다. 결과 : 치료 후기 아동은 배와위굴곡자세를 20초 이상 유지하여 신체근위부 안정성이 향상되었고, 신체활동놀이 한 가지에 지속적으로 주의집중하여 노는 것이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고유-전정감각 중심의 감각통합 중재가 취학 전 자세조절장애 아동의 자세조절 향상과 함께 작업수행('신체활동놀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폐외 악성 종양의 기관지내 전이 (Endobronchial Metastasis of Extrapulmonary Malignancies)

  • 김도훈;박무석;정재호;정재희;김세규;장준;김성규;김영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3호
    • /
    • pp.285-293
    • /
    • 2002
  • 배 경 : 폐는 악성 종양이 흔히 전이되는 장소로 흔히 폐실질, 흉막, 혹은 임파선으로 주로 전이되며, 기관지내 전이는 흔하지 않아 악성 종양의 기관지내 발생율은 2%정도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로 확인된 증례들을 대상으로 기관지내 전이암에 대한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91년 6월부터 2001년 5월까지 10년 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에서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로 폐외 악성 종양의 기관지내 전이가 확인된 27예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 치료, 경과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평균연령은 53세이고, 남자가 17예, 여자가 10예이었다. 원발 종양은 대장암이 가장 많았으며, 자궁경부암, 위암, 유방암의 순서이었다. 원발 종양의 진단에서부터 기관지내 전이를 발견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45.5개월이었으며, 유방암이 85.3개월로 다른 종양들에 비해 길었다. 임상 증상은 기침이 가장 많았고, 흉부 X-선 소견은 폐문부 종괴음영, 단일결절, 무기폐가 많았다. 치료는 수술,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을 시행하였고, 생존기은 평균 12.3개월이었다. 결 론 : 기관지내 전이암은 임상에서 흔한 질환이 아니며, 증상, 방사선 소견, 기관지경 소견 등이 원발성 폐암과 유사하다. 따라서 악성 종양의 병력이 있으면서 지속적인 증상이 있거나 비전형적인 병리소견을 보일 때에는 기관지내 전이암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여야 한다.

한국인과 이집트인의 치열궁 형태 비교 (Comparison of arch form between Koreans and Egyptians)

  • 장갑수;석경은;;김윤지;김성훈;국윤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334-34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이집트인의 Angle씨 I급, II급,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하악치열궁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인 부정교합자 368명(114 Class I, 119 Class II, and 135 Class III)과 이집트인 부정교합자 94명(35 Class I, 32 Class II and 27 Class III)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하악 치열 모형을 복사한 사진에서 13개의 인접한 접촉면에서 가장 협측에 위치한 점들을 좌표화한 후 하악 치아의 두께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브라켓 점들을 설정하였고 4개의 선 계측과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치열궁 형태를 tapered, ovoid, squared의 3가지로 분류하여 두 인종 간 분포 특성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이집트인은 한국인보다 대구치 간 폭경과 견치 간 폭경이 유의성 있게 좁았으며 ($p$ < 0.001), 대구치 간 장경과 견치 간 장경이 더 짧았다 ($p$ < 0.001). 이집트인에서는 3가지의 치열궁 형태가 동등한 비율로 나타났으나 ($p$ = 0.46), 한국인에서는 square arch form (46.7%)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tapered arch form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18.8%). 본 연구의 결과는 기성품의 초탄성 호선을 선택할 때 인종 간의 차이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