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ocorm-like bodie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8초

Role of chlorocholine chloride on the in vitro PLBs organogenesis of Phalaenopsis 'Fmk02010'

  • Mehraj, Hasan;Alam, Md. Meskatul;Habib, Sultana Umma;Shimasaki, Kazuhik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73-173
    • /
    • 2017
  • Phalaenopsis orchi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lowers in flower industr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sponse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chlorocholine chloride (CCC) for the in vitro regeneration of protocorm like bodies (PLBs) of Phalaenopsis 'Fmk02010'. We used fiv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CC and these were 0 (control), 0.01, 0.1, 1 and $10mgL^{-1}$ in modified MS medium and cultured for 42 days. We added two major salts ammonium nitrate ($412.5mgL^{-1}$) and potassium nitrate ($950.0mgL^{-1}$) to the MS medium for the modification. Maximum numbers of PLBs were found from media with $0.01mgL^{-1}$ of CCC (15.667) and maximum fresh weight (0.211 g) as well. The 100% PLB formation rate was also found from $0.01mgL^{-1}$ of CCC. We found 58.83% variation in number of PLBs ($R^2=0.5883$) and 47.44% variation in fresh weight ($R^2=0.4744$) to the different CCC concentrations. Our study suggested that increase in the CCC concentration negatively affect the PLBs organogenesis of Phalaenopsis. We can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very low concentration of CCC in plant culture medium can increase the number, formation rate and fresh weight of PLBs of Phalaenopsis.

  • PDF

Role of chlorocholine chloride on the in vitro PLBs organogenesis of Phalaenopsis 'Fmk02010'

  • Mehraj, Hasan;Alam, Md. Meskatul;Habiba, Sultana Umma;Shimasaki, Kazuhik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77-177
    • /
    • 2017
  • Phalaenopsis orchi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lowers in flower industr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sponse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chlorocholine chloride (CCC) for the in vitro regeneration of protocorm like bodies (PLBs) of Phalaenopsis 'Fmk02010'. We used fiv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CC and these were 0 (control), 0.01, 0.1, 1 and $10mgL^{-1}$ in modified MS medium and cultured for 42 days. We added two major salts ammonium nitrate ($412.5mgL^{-1}$) and potassium nitrate ($950.0mgL^{-1}$) to the MS medium for the modification. Maximum numbers of PLBs were found from media with $0.01mgL^{-1}$ of CCC (15.667) and maximum fresh weight (0.211 g) as well. The 100% PLB formation rate was also found from $0.01mgL^{-1}$ of CCC. We found 58.83% variation in number of PLBs ($R^2=0.5883$) and 47.44% variation in fresh weight ($R^2=0.4744$) to the different CCC concentrations. Our study suggested that increase in the CCC concentration negatively affect the PLBs organogenesis of Phalaenopsis. We can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very low concentration of CCC in plant culture medium can increase the number, formation rate and fresh weight of PLBs of Phalaenopsis.

  • PDF

다양한 배지종류, sucrose 농도 및 갈변억제물질 처리에 의한 팔레놉시스 PLB 증식 및 재분화 체계확립 (Establishment of proliferation and regeneration system of PLBs in Phalaenopsis by treatments of a variety of types of medium, sucrose concentrations and anti-browning agents)

  • 노희선;김종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23-228
    • /
    • 2014
  • 팔레놉시스 PLB (protocorm-like bodies) 조직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및 신초재분화 체계 확립을 위하여 다양한 증식배지, 액체배지와 고체배지의 효과, sucrose 농도 등이 PLB 증식과 신초 재분화에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활성탄소, citric acid 및 ascorbic acid 등이 팔레놉시스 PLB 배양시 갈변화 현상을 감소하는데 효과가 있는지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난과 식물에서 증식배지로 널리 사용되는 VW, HCa, Orchimax 및 Kudson C 배지 중 VW 배지가 PLB 증식에서 타 배지와 비교해서 최소 1.3배에서 최대 2배의 증식효율 그리고 신초 재분화에서도 50% 이상 높은 효율을 보여 주었다. 최적 배지로 선정된 VW배지에 apple powder 및 banana powder를 첨가한 VWAB 배지를 기반으로 액체 및 고체배양에서 PLB 증식효율과 신초재분화율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Sucrose 농도를 0 ~ 50 g 처리한 실험에서는 PLB 증식과 재분화 효율 둘 다 10 g 처리구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팔레놉시스 PLB 증식 및 재분화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갈변화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활성탄소, citric acid와 ascorbic acid를 처리한 실험에서는 활성탄소 1 g이 1.5%의 가장 낮은 갈변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향후 팔레놉시스 PLB를 이용한 대량증식 및 재분화 체계 확립에 크게 기여하리라 판단된다.

Protocorm-like body를 이용한 호접란 형질전환 연구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by Using Protocorm-Like Body)

  • 허연재;김은영;양원태;이영병;이재헌;정영수;남재성;윤대진;이기환;김도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8-383
    • /
    • 2009
  • 본 연구는 Agrobacterium을 이용한 효율적인 호접란 형질 전환 시스템의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고, 호접란 PLB의 대량증식을 위한 배지 조성은 하이포넥스 기본 배지에 활성탄 1g/l, 티아민 0.1 mg/l 및 sucrose 30 g/l을 배지에 첨가한 경우 PLB가 안정적으로 증식되었다. 계대 배양시 PLB 절단 방법이 PLB의 생존과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PLB 위쪽으로 부터 1/3 부위를 절단하여 계대 배양한 경우 90% 이상의 가장 높은 증식률을 나타났다. Agrobacterium 접종 시 균이 묻어 있는 침으로 PLB를 찔러 상처를 내는 d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Agrobacterium 배양액의 흡광도 값이 0.8일 때 형질전환 효율이 가장 높았고, 형질전환된 PLB의 선발은 1 mg/l 정도의 저농도 hygromycin을 함유한 배지에 계대배양 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호접란 형질전환체를 먼저 GUS assay를 통하여 선발하였고, 선발된 개체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여 GUS 특이적 primer와 probe로 PCR과 Southern blot 분석을 수행하고 유전자의 도입여부를 조사한 결과 GUS 염색된 형질전환체에서 정상적으로 GUS 유전자가 도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철피석곡의 기내 Protocorm Like Bodys(PLBs) 재증식 및 신초형성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및 탄소원의 영향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and carbon sources on proliferation and shoot formation of PLBs in Dendrobium candidum)

  • 장지우;김창길;;이도진;정미영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9-16
    • /
    • 2019
  • 본 연구는 철피석곡의 PLB 기내 대량증식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의 소재활용 수요를 충족시키고 아울러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철피석곡을 보존하고 수행하였다. 종자유래의 PLB 재 증식에는 H3P4 기본배지에 NAA $0.1mg{\cdot}L^{-1}$과 kinetin $0.1mg{\cdot}L^{-1}$를 혼용한 배지가 가장 적합하였다. H3P4 기본배지 내 탄소원으로 sucrose $10g{\cdot}L^{-1}$를 첨가 했을 때 PLB의 생장이 가장 양호하였다. 재 증식된 PLB로부터 shoot 형성율은 1/4MS 또는 H1P2 배지에 sucrose를 $10g{\cdot}L^{-1}$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높았고 shoot의 초장도 길어졌다.

유전자총을 이용한 형질전환 심비디움 식물체 생산체계 최적화 (Optimization of particle gun-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in Cymbidium)

  • 노희선;김미선;이유미;이이레;이상일;김종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293-300
    • /
    • 2011
  • 실험은 심비디움 원괴체 (PLB: protocorm-like bodies)를 재료로 유전자총을 이용한 효율적인 형질전환 조건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PLB 조직에 제초제저항성 유전자인 bar 유전자와 reporter 유전자인 gus를 포함하고 있는 pCAMBIA3301 벡터를 이용하여 유전자총으로 형질전환 하였다. 형질전환 벡터에 포함되어 있는 제초제저항성유전자 (bar)를 이용하여 선발하게 되므로 선발배지에 첨가될 제초제로서 PPT (Phosphinotricin)의 적정 농도를 찾고자 실험한 결과, 5 mg/l에서 최적의 대부분의 PLB의 생육이 억제되고 신초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기반으로 유전자총 실험에 맞는 최적 조건을 찾는 실험을 수행하여 1.0 ${\mu}m$ gold입자크기, 헬륨가스 압력은 1,100과 1,350 psi사이에서는 차이가 없다는 전제 하에 물리적 피해가 덜 가는 1,100 psi를 조건으로 선택하였고, 유전자총과 목표물과의 거리는 6 cm 그리고 DNA 농도는 1회 유전자총 발사횟수당 1.0 ${\mu}g$ 조건을 최적조건으로 하였다. 이 조건을 기반으로 100개의 PLB를 형질전환 하면 평균적으로 6 ~ 8개의 PLB가 제초제 저항성을 나타내는 개체로 성장하고 최종적으로 2개체 정도가 온실에서 순화과정을 거쳐 완전한 형질전환 식물체로 생산된다. 이외에도 유전자총 실험 전에 0.2 M sorbitol과 0.2 M mannitol을 혼합처리하여 4시간 동안 배양시키면 2배 이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결론적으로 100개의 PLB를 형질전환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3.2 ~ 4.0개 정도의 형질전환 심비디움 식물체가 나오는 효율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험을 통해 생산된 형질전환 심비디움 개체들은 PCR 분석을 통해 유전자 도입을 확인하였고, 형질전환 개체 중 임의로 선발된 5계통들의 잎을 Basta 0.5% 용액에 침지한 결과, 3 계통은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중 1계통은 아주 강한 저항성을 보여주었다. 본 실험 결과들을 바탕으로 환경저항성 등의 유용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 심비디움 식물체 개발에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In vitro regeneration of Lycaste aromatica (Graham ex Hook) Lindl. (Orchidaceae) from pseudobulb sections

  • Mata-Rosas, Martin;Baltazar-Garcia, Rosario J.;Moon, Pamela;Hietz, Peter;Luna-Monterrojo, Victor E.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2호
    • /
    • pp.157-163
    • /
    • 2010
  • A protocol for in vitro propagation from pseudobulb sections of Lycaste armomatica (Graham ex Hook) Lindl., an ornamental and fragrant orchid, was developed. The effect of four cytokinins: kinetin (K), metatopolin (mT), $N^6$-benzyladenine (BA), and thidiazuron (TDZ), in equimolar concentrations, was investigated. Shoot formation from apical and basal pseudobulb sections was obtained in all treatments. A few medial sections cultured in media supplemented with BA formed protocorm-like bodies. Shoot formation was greater from the basal section than the apical, and mainly occurred in explants cultured in media containing TDZ. The highest average numbers of shoots per explant were achieved from basal sections cultured in media supplemented with TDZ at 4.4, 8.87 and 2.2 ${\mu}M$, forming on average 9.9, 8.6 and 7.3 shoots per explant, respectively. Since the medial pseudobulb section was the worst explant for propagation of L. aromatica, we recommend that pseudobulbs be divided into two sections; the basal half should be cultured i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TDZ at 4.4 ${\mu}M$ and the apical half with TDZ at 2.2 ${\mu}M$. Subculturing individual shoots in MS medium without plant growth regulators allows further development and rooting. A survival rate of more than 90% under greenhouse conditions was achieved. This research represents a direct contribution to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this valuable natural resource.

Plantlet Regeneration and PLBs Propagation of Bulbophyllum auricomum Lindl.

  • Aung, Win Theingi;Lian, Thang Tung;Aung, Zaw Phyo;Bang, Keuk Soo;Baek, Seung 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08-514
    • /
    • 2022
  • Bulbophyllum auricomum Lindl. is very popular among orchid growers due to the attractive fragrance of its flowers and has become an endangered orchid in Myanmar.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n aseptic technique that can be used to conserve this endangered orchid species. The seeds of B. auricomum Lindl. were obtained from artificial pollination and cultured in MS basal medium for seed germination. The effect of coconut water and BAP in MS basal medium on callus induction was investigated. The highest callus induction was found at 2.0 mg/L BAP. The maximum growth of protocorm-like bodies (PLBs) was evaluated, and the best response was observ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150 mL/L coconut water at pH 5.6. MS basal medium supplemented with 150 mL/L coconut water along with 2.0 mg/L BAP and 1.0 mg/L NAA (MCBN)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plantlets at 15℃ at the second week of culture. At the second and third week of culture,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0 mg/L BAP and 1.0 mg/L NAA (MBN) showed the best result in terms of the number of leaves and the longest leaves at 15℃ and 25℃,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showed evidence of successful in vitro propagation of B. auricomum Lindl.

Colchicine과 oryzalin 처리에 의한 Cymbidium hybrids의 기내 배수화 효율 증진 (Improvement of Chromosome Doubling Efficiency in Cymbidium Hybrids by Colchicine and Oryzalin Treatment)

  • 황숙현;김미선;박소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900-910
    • /
    • 201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난과식물 중 하나인 심비디움의 배수체 육종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되었으며, 기내 심비디움의 PLBs에 colchicine과 oryzalin을 처리방법과 농도, 기간을 다양하게 하여 배수체 유도에 최적의 조건을 찾고자 수행하였다. Colchicine은 50, 100, 300, $500mg{\cdot}L^{-1}$농도로 1, 2, 3주간 처리하였고 oryzalin은 3, 5, 10, $20mg{\cdot}L^{-1}$농도로 1, 2, 3주 또는 3, 6, 9일간 처리하였는데 oryzalin에 비해 colchicine을 처리했을 때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배수성을 검정해본 결과 Cymbidium Showgirl 'Silky'의 경우, colchicine은 $50mg{\cdot}L^{-1}$농도로 1주간 처리 시 6배체 획득효율이 60%, oryzalin은 $5mg{\cdot}L^{-1}$농도로 2주간 처리 시 6배체 획득효율이 4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ymbidium Mystery Island 'Silk Road'(Silk Road-4)의 경우, colchicine은 $50mg{\cdot}L^{-1}$농도로 1주간 처리 시 6배체 획득효율이 16.7%, oryzalin은 $10mg{\cdot}L^{-1}$농도로 3일간 처리시 6배체 획득효율이 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즉, 두 hybrid 모두 oryzalin보다 colchicine을 처리했을 때 염색체 배가에 더 효율적이었다. 또한 처리 전 PLBs를 뾰족한 핀셋으로 10회 찌르는 방법을 통해 염색체 배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자총을 이용한 팔레놉시스 형질전환 효율향상에 삼투압 조절제 및 발사횟수차이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smoticum treatments and shooting chances on the improvement of particle gun-mediated transformation in Phalaenopsis)

  • 노희선;김종보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216-222
    • /
    • 2014
  • 본 연구는 팔레놉시스의 원괴체유사체를 재료로 효율적인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PPT 제초제에 저항성을 가지는 bar 선발유전자와 노화지연 형질을 보이는 ORE 7 유전자를 함유하는 pCAMBIA 3301:ORE7 벡터를 이용하여 유전자총 형질전환 시 발사횟수 증가 그리고 유전자총 실험 전후에 삼투압조절제 처리를 하여 실험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2회 발사처리가 1회나 3회 발사횟수와 비교하여 1.5 ~ 2.5배 이상의 형질전환 효율을 보여 주었으나, 신초 재분화율이 낮고 갈변율은 높은 현상을 보여 주었다. 다양한 삼투압 조절제 처리에 의한 형질전환효율 향상 실험에선 0.2 M mannitol과 0.2 M sorbitol 이 2가지 조절제 혼합처리가 단용처리나 무처리구에 비해 형질전환 효율과 신초재 분화율에서 최소 1.5 ~ 3배 이상의 효율을 보여 주었고, 갈변율도 2배 이상 낮게 나타났다. PCR 분석을 통하여 bar 유전자와 ORE7 유전자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임의로 선발한 형질전환 팔레놉시스 21개체를 대상으로 real-time PCR 분석을 통해 4개체가 1 copy의 목적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17 개체들은 2 copy 이상의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생산된 형질전환 팔레놉시스 개체들은 순화과정을 거쳐 화분으로 이식하여 생육과정을 거쳐 꽃이나 잎에 변이가 없는 개화과정을 보여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