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ineb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6초

Propineb의 안전사용(安全使用) 기준(基準) 설정(設定)을 위한 잔류분석(殘留分析) (Residue Analysis to Establish an Index for the Safety Use of Propineb)

  • 최원석;양재의;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9-214
    • /
    • 1992
  • 이 실험은 참깨에 대한 Propineb의 안전(安全) 사용기준(使用基準)을 설정하기 위하여 보호(保護) 살균제(殺菌劑)인 Propineb(56%)와 직접(直接) 살균제(殺菌劑)인 Oxadixyl(8%)의 혼합제(混合劑)를 경엽 살포하였을때, 그 시용량(施用量)과 시용시간(施用時間)에 따라 참깨시료중에 잔류(殘留)하는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을 측정하였다. 공시농약의 처리는 수확전 3, 7, 15, 30, 45, 60일에 하였으며 Propineb는 각 처리구당 $0.028g/m^2$의 수준으로 시용(施用)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깨 중 Propineb의 회수율(回收率)은 84-96%이었으며, 최소(最少) 검출(檢出) 한계(限界)는 0.03mg/kg이었다. 2. 처리횟수 및 처리기간에 따른 참깨 시료중의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은 $0.14{\sim}1.38mg/kg$ 범위였다. 3.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은 처리 횟수가 많을수록, 또 처리 일수가 수확일에 가까울수록 많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4. 참깨시료중에 Propineb의 잔류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했으며 이는 First-Order Kinetics에 따랐다. 5. 참깨시료중 Propineb의 잔류량은 6회 사용, 수확 3일전에 처리하였을 경우에 1.38mg/kg이었으며, 이는 FAO/WHO에서 설정한 최대(最大) 잔류허용량(殘留許容量)인 2mg/kg보다 낮았다. 6. 본 실험에서 측정한 Propineb의 반감기(半減期)는 $12{\sim}16$일이었다.

  • PDF

살균제 Propineb의 제조 공정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al Preparation Condition of Fungicide Propineb)

  • 신희관;우제완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72-279
    • /
    • 2004
  • 1,2-Diaminopropane을 출발물질로 하는 원예용 살균제 propineb의 제조공정을 최적화하였다. 독성 부 반응물인 1,2-propylenethiourea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전이 촉매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product의 수율과 순도가 획기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phosphonium 염계 상전이 촉매인 tetraphenylphosphonium bromide를 사용한 경우 생성물의 순도 96%, 수율 95% 및 부반응물 함량 1.7%로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propineb의 현수성과 수화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AES를 수화성 계면활성제로, APS를 현수성 계면활성제로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최적 조건은 AES $3.1\sim4.0%$, APS $4.0\sim5.0%$이었다.

Efficacy of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in the Suppression of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the Causal Agents of Seed Decay in Soybean

  • Oh, Jeung-Haing;Kang, Nag-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216-220
    • /
    • 2002
  • Seed decay of soybean caused by Diaporthe phaseolorum, Colletotrichum truncatum and Cercospora kikuchii is a serious disease when soybean is harvested under warm and wet weather conditions. Benomyl has been used for controlling the disease, however, benomyl application may be limited due to common occurrence of resistance. The efficacy of 21 fungicides against the pathogens was evaluated in vitro. Among the fungicides tested, benomyl, carbendazim, fluazinam, iprodione+propineb, thiophanate-methyl, and triflumizole were found effective and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control the seed pathogens. Fluazinam completely inhibited mycelial growth at a concentration of 100 $\mu\textrm{g}$/$\textrm{m}{\ell}$ for D. phaseolorum; and at a concentration of 500 $\mu\textrm{g}$/$\textrm{m}{\ell}$ for C. truncatum and C. kikuchii. $EC_90$ values of fluazinam were similar to that of benomyl. Because fluazinam, iprodione+propineb, and triflumizole were found effective against the seed pathogens, these were subjected for field-testing. Suppression of pod and seed infection by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was as high as that of benomyl without any reduction in agronomic characters of soybean. This study shows that fluazinam and iprodione+propineb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benomyl to control seed pathogens, manage resistance, and ensur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oybean seeds.

고단백질 함유 대두와 완두 중 Propineb 잔류분석을 위한 제단백 효과 (Improve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Propineb Residues in Glycine max (L.) Merrill and Pisum sativum L. using Deproteinization Process)

  • 함헌주;최정윤;허장현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6-216
    • /
    • 2022
  • BACKGROUND: Dithiocarbamate fungicide propineb can be analyzed quantitatively by derivatization reaction followed by HPLC/UVD, which has high reproducibility and stability. However, the presence of high protein in soybeans and peas affects the derivatization process resulting in extremely low recoveri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nalytical method for analysis of propineb in soybeans and peas by applying a deproteinization process using chloroform-gel method. METHODS AND RESULTS: The deproteiniz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up to 6 times for soybeans and 5 times for peas using 50 mL chloroform. After 4 times of deproteinization process followed by a derivatization reaction with methyl iodide, the recovery yields of propineb in both pulses were >90%. However, the recovery yield tended to decrease when the deproteinization process was performed more than 5 times. The metho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as 0.04 mg/L. The recovery conducted in triplicate at 10 times and 50 times of the LOQ ranged from 87.2 to 95.0 % with a coefficient of variation <10%.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4 times of deproteinization process using the chloroform-gel method was effective when derivatizing and analyzing dithiocarbamate fungicides in pulses with high protein content. However, depending on the initial protein content present in the pulse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covery: the lower the protein content, the higher the recovery rate of propineb.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remove high content of protein as analytical interference substance from agricultural samples.

감나무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 Mancozeb 및 Propineb에 대한 감수성 (Sensitivity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Persimmon to Benzimidazoles, Mancozeb and Propineb)

  • 임태헌;최용화;이동운;한상섭;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0
    • /
    • 2009
  • 감 과수원으로부터 분리한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대한 carbendazim, thiophanate-methyl, mancozedb 및 propineb 등 총 4종의 살균제의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Carbendazim($415{\mu}g/m{\ell}$)과 thiophanate-methyl($750{\mu}g/m{\ell}$)에 대하여 90%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각각 68.2와 35.5%로 나타났으며 두 약제 사이의 교차 저항성을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2=0.7862$). Mancozeb와 propineb에 대하여 91%이상의 균사생육 억제율을 보인 균주의 비율은 각각 90%과 53.6%이상으로 조사되었으며, 두 약제가 교차 저항성의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2=0.0174$). 시험에 사용한 두 종의 benzimidazole계 살균제와 mancozeb와 propineb 사이의 교차 저항성은 조사한 결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균제 살포횟수 감소를 위한 딸기 탄저병 방제프로그램 (Fungicide Spray Program to Reduce Application in Anthracnose of Strawberry)

  • 남명현;김현숙;남윤규;;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295-301
    • /
    • 2011
  •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해 발생하는 딸기 탄저병에 대한 여러 살균제의 방제효과를 in vitro, 비닐하우스와 노지 육묘포장에서 검정하였다. Benomyl의 $EC_{50}$ 값은 균주 간에 저항성과 감수성 그룹으로 확연히 구별되었다. Iminoctadine tris는 mancozeb나 propineb과 같은 보호살균제보다 낮은 EC50값을 보였으며 mancozeb, propineb, azoxystrobin의 효과는 균주에 따라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비닐하우스에서, 9종의 살균제를 병원균 접종 전과 후 딸기 '설향' 품종에 처리하였을 때 모든 약제는 무처리에 비해 방제효과가 좋았다. Propineb, mancozeb, azoxystrobin은 병원균 감염 전 처리 시 방제효과가 우수했던 반면 metconazole과 prochloraz-Mn와 같은 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ing 살균제들은 낮은 탄저병 이병율을 보였다. 2009년과 2010년 노지 육묘포장에서 감소된 살균제 처리 프로그램에 따른 탄저병 방제는 captan 처리 프로그램과 비슷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prochloraz-Mn 등과 같은 탄저병에 효과적인 살균제를 기반으로 작성된 처리 프로그램은 딸기 농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탄저병 방제를 위한 더 많은 선택을 제공할 것이다.

활성탄에 대한 프로피네브 농약의 흡착동력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Adsorption Kinetic Characteristics of Propineb Pesticide on Activated Carbon)

  • 이종집;조정호;김흥태
    • 청정기술
    • /
    • 제17권4호
    • /
    • pp.346-352
    • /
    • 2011
  • 활성탄에 의한 프로피네브 농약의 흡착특성을 초기농도, 접촉시간과 온도를 고려한 회분식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Langmuir 식과 Freundlich 식을 사용하여 흡착등온선과 상수값을 구하였다. 흡착평형관계는 Freundlich 등온식이 잘 맞았으며, 흡착등온선의 기울기 값으로부터 활성탄에 의한 프로피네브의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사일차반응속도식과 유사이차반응속도식을 사용하여 동력학적 실험값을 평가한 결과, 유사이차반응속도식이 더 잘 맞았으며, 속도상수 ($k_2$) 값은 프로피네브의 초기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활성화에너지, 표준엔탈피, 표준엔트로피 및 표준자유에너지를 평가하였는데, 조사된 표준자유에너지값은 298, 308 및 318 K에서 각각 -7.28, -8.27 및 -11.66 kJ/mol로 나타나 흡착공정이 자발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엔탈피변화량은 54.46 kJ/mol 로 양의 값을 나타내어 활성탄에 대한 프로피네브의 흡착이 흡열반응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APD 및 약제저항성을 이용한 감귤 검은점무늬병균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of Phomopsis citri with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Fungicide Resistance)

  • 고영진;서정규;이태선;송장훈;권혁모;문덕영;문두길;한해룡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1-176
    • /
    • 1998
  • Gentic diversity of 42 isolates of Phomopsis citri was analyzed with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 and fungicide resistance. RAPD profiles of genomic DNA of the isolates of P. citri and the degrees of their resistance to the fungicides mancozeb and propineb suggested the occurrence of genetic differentiation of P. citri distributed in Cheju. The isolates showed genetically diverse RAPD profiles according to the host species collected even from the same collection site and also according to the geographic origin collected even from the same host species. High levels of resistance to fungicides mancozeb and propineb were observed among the isolates of P. citri.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APD profiles of genomic DNA and levels of fungicide resistance of the isolates, suggesting that fungicide resistance of P. citri occurred irrespective of the host and geographic origin.

  • PDF

Peony Stem Rots by Neopestalotiopsis clavispora and Sclerotinia sclerotiorum, and Antifungal Propineb and Bacillus siamensis H30-3 against the Two Fungal Species

  • Jeum Kyu Hong;Young Hee Lee;Yeon Sook Jo;Su Min Kim;Seoung Bin Lee;Juyeoung Um;Kyoung-Ok Choi;Mee Kyung Sang;Chung-Ryul Jung;Chang-Jin Park;Sung Hwan Choi
    • 식물병연구
    • /
    • 제30권2호
    • /
    • pp.114-123
    • /
    • 2024
  • In July 2022, stem rot symptom was found in a peony plant grown in a pot under a greenhouse at Jinju, Gyeongnam Province, South Korea. Two fungal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infected peony stems and cultured on 1/2-strength potato dextrose agar for identificat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ungal isolates were examined, and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β-tubulin and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α were analysed. The pathogenicity of the two isolates was confirmed in detached peony leaves, according to Koch's postulate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report of Neopestalotiopsis clavispora and Sclerotinia sclerotiorum as the causal agents of peony stem rots. Antifungal activity of chemical fungicide propineb and rhizobacterium Bacillus siamensis H30-3 was shown against the two plant pathogenic fungi N. clavispora and S. sclerotiorum.Unidentified diffusible and volatile compounds from B. siamensis H30-3 could suppress in vitro mycelial growths of N. clavispora JJ 8-2-1 and S. sclerotiorum JJ 8-2-2.

상주 지역 감나무로부터 분리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균주들의 방제 약제에 대한 반응 (Response of Several Fungicide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s Obtained from Persimmons in Sangju)

  • 임태헌;최용화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99-102
    • /
    • 2006
  • 상주 지역의 곶감용 감 생산 농가의 과수원으로부터 채집한 탄저병 감염 부위로부터 90 개의 감 탄저병균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을 분리하였다. 두 종의 benzimidazole계 약제 (thiophanate-methyl, carbendazim), 3 종의 egosterol 합성 저해제 (difenoconazole, myclobutanil, tebuconazole) 및 4 종의 보호 살균제 (propineb, mancozeb, chlorothalonil, dithianon) 등 총 9 종의 살균제에 대하여 분리한 균주들의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상용농도로 약제가 첨가된 배지에서 대조구 대비 균사생육지수를 평가함으로서 조사하였다. Carbendazim($415{\mu}g/ml$)과 thiophanate-methyl($750{\mu}g/ml$) 에 대한 반응은 각각 82%와 78%의 균주가 0.1 이하의 대조구 대비 균사생육지수를 보였다. 모든 실험 대상 균주는 myc1obutanil($40{\mu}g/ml$)과 tebuconazole ($75{\mu}g/ml$)이 첨가된 배지에서 균사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며, difenoconazole($50{\mu}g/ml$)이 첨가 배지에서는 단지 l 균주만이 0.03 의 대조구 대비 균사생장지수를 보였다. 4 종의 보호 살균제 중 propineb($1,500{\mu}g/ml$) 에 대한 감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