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liferation, migration

검색결과 591건 처리시간 0.032초

비타민 C, Silicon, 철분, Proline 및 Lysine의 처리가 피부 섬유아세포의 증식 및 Collagen I과 III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 비교 (Effect of Ascorbic Acid, Silicon, Fe, Proline and Lysine on Proliferation and Collagen Synthesis in the Human Dermal Fibroblast Cell (HS27))

  • 김선아;이진아;김정민;김현애;김영애;윤혜정;조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492-149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HS27 피부 섬유아세포에 비타민 C, silicon, 철분, proline 및 lysine을 혈청 및 피부 내 농도 범위로 처리한 후 세포의 증식을 비롯하여 콜라겐 I과 III의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을 비교하였다. 비타민 C는 처리 기간 및 농도와 무관하게 세포 증식 및 mRN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콜라겐 type I 및 III의 단백질 발현은 각각 5-50 ${\mu}M$, 10-50 ${\mu}M$ 농도에서 5일 처리 시 683.9%, 182% 이상으로 발현을 증가시켰다. Silicon의 3일 및 5일 농도별 처리는 세포증식과 콜라겐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다소 감소시키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철분의 3일 및 5일 처리는 혈청 내 농도(11-35 ${\mu}M$)에서 콜라겐 mRN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세포 증식 및 콜라겐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다. 또한 철분의 5-30 ${\mu}M$의 농도 처리는 5일 처리보다 3일 처리 시 발현수준이 훨씬 컸다. 콜라겐의 구성 아미노산인 proline 및 lysine은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단기간의 콜라겐의 합성 증가는 철분의 섭취가 적합하나 장기간의 섭취에는 비타민 C의 섭취와 더불어 철분의 섭취가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In vitro 실험을 통한 벼세포 추출물의 창상 치유 효능 평가 (Evaluation of the Wound-healing Activity of Rice Cell Extracts in Vitro)

  • 김지훈;김선미;박진호;박찬미;최홍열;이후민;박제권;권순조;김동일;장규호;최용수;임상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85-29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과 고압 열수 추출에 의해 준비된 벼세포 추출물의 창상 치유 효능 평가를 위해, 인간 섬유아세포와 각질세 포에 추출물 처리하여 세포 독성, 세포 이동능, collagen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추출물은 처리한 범위에서 두 세포에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구에 비해 증식을 최대 25%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위적으로 세포에 창상을 낸 후 세포 이동능을 평가하였을 때, 비처리군에 비해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230−450% (섬유아세포), 170−350%(각질세포) 이동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상 치유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collagen의 유전자와 단백질 모두 추출물 처리시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에탄올 추출물 100 mg/ml 처리시에는 양성 대조군인 vitamin C (500 μM)와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벼세포 추출물이 창상 치유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고 있다.

FNC, a Novel Nucleoside Analogue, Blocks Invasion of Aggressive Non-Hodgkin Lymphoma Cell Lines Via Inhibition of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 Zhang, Yan;Wang, Chen-Ping;Ding, Xi-Xi;Wang, Ning;Ma, Fang;Jiang, Jin-Hua;Wang, Qing-Duan;Chang, Jun-Bia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6호
    • /
    • pp.6829-6835
    • /
    • 2014
  • Chemotherapy is the primary therapy for malignant lymphoma (ML). However, the clinical outcome is still far from satisfactory. Consequently, a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modulating cancer cell invasion, migration and metastasis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chemotherapeutic agents. FNC, 2'-deoxy-2'-${\beta}$-fluoro-4'-azidocytidine, a novel cytidine analogue, has demonstrate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s on proliferation of several non-Hodgkin lymphoma (NHL) cell lines. A previous study indicated that FNC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Raji and JeKo-1 cells in dose-time dependent effects with $IC_{50}$ values of $0.2{\mu}M$ and $0.097{\mu}M$, respectively.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anti-invasive properties of FNC on NHL cells and its potential mechanisms of action. Cell adhesion and transwell chamber assays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anti-invasive effects of FNC on Raji and JeKo-1 cells. Real-time PCR and Western blotting were employed to qualify the expression of ${\beta}$-catenin, the glycogen synthase kinase-3 beta (GSK-$3{\beta}$), E-cadheri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an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The results revealed that FNC remarkably inhibited the adhes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two human aggressive non-Hodgkin lymphoma cell lines in a dose dependent manner. Furthermore, ${\beta}$-catenin, MMP-2, MMP-9, VEGF mRNA and protein levels were decreased after FNC treatment, while GSK-$3{\beta}$ and E-cadherin increased. Our studies thus provide evidence and a rationale that FNC may offer an effective chemotherapeutic agent by regulating the invasion and metastasis of aggressive non-Hodgkin lymphoma via inhibition of the Wnt/${\beta}$-catenin signaling pathway.

사람 구강암세포에서 쿼세틴에 의한 항암 및 항전이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anticancer and antimetastasis effect by quercetin in human oral cancer cells)

  • 강해미;길종진;박봉수;강현경;김인령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93-101
    • /
    • 2018
  • 본 연구는 천연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인 쿼세틴을 사람 구강암세포주인 HSC-2 세포에 처리한 후 나타나는 항암 및 항전이 효과를 보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쿼세틴은 HSC-2 세포의 세포생존율 과 세포증식율이 감소하였으며, 이 세포 사멸의 경로는 세포 자살 프로그램인 세포자멸사의 경로를 통하여 일어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사멸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던 농도인 쿼세틴 $100{\mu}M$ 처리군부터 HSC-2 세포의 이동력 과 침습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종합적인 실험 결과를 통하여 구강암 세포에 있어서 $200{\mu}M$이상의 쿼세틴 처리는 세포자살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100{\mu}M$ 이상의 쿼세틴 처리는 세포의 이동과 침습을 억제하여 항암, 항전이 활성을 일으키는 것을 밝혔다. 그러므로 쿼세틴은 구강암에 있어 전이를 억제하고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제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오배자 BuOH층에서 분리한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의 세포간교통 회복 및 혁관형성 억제작용에 대한 효과 (Effect of 1,2,3,4,6-penta-O-galloyl-$\beta$-D-glucose isolated from Galla Rhois on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and antiangiogenic activity)

  • 허정은;이효정;송규용;차배천;김한성;유동열;유시용;김성훈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52-457
    • /
    • 2002
  • Galla Rhois is a gallnut of Rhus javanica Linne used for treatment of diarrhea, hemorrhage, cough, leukorrhea and toxic tumor etc in oriental medicine. For the evaluation of antitumor effect of Galla Rhois, activity based fractionation was done. We isolated an effective compound and identified 1,2,3,4,6-penta-O-galloyl-β-D-glucose(PGG) by photometric analysis such as NMR and MASS. Then, we studied the angiogenic activity of PGG. It showed a cytotoxicity against SK-OV-3, SK-OV-3, HT1080 with IC/sub 50/ of 50 ug/ml approximately. It also effectively inhibited proliferation of HUVEC cells treated by bFGF to 30% of control at 20 ug/ml and cell migration to 80% at 10 ug in a dose dependent fashion. Tube formation of HUVEC cells on matrigel was effectively suppressed from 2.5 ug/ml of concentration by PGG. Moreover, it effectively recovered the dysfunction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in WB-F344 rat liver epithelial cells caused by hydrogen peroxide at 4 ug/ml suggesting it potently can inhibit tumor promotion. Taken together, it indicates 1,2,3,4,6-penta-O-galloyl- β -D-glucose has antiangiogenic activity.

누에배양세포에서 인간형 재조합단백질 각질세포 성장인자 생산 (Production of Recombinant Human Keratinocyte Growth Factor from Bombyx mori (Lepidopera: Bombycidae) Bm5 Cells)

  • 한송이;진초이;권기상;윤은영;구태원;김승환;최종순;유권;권오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07-911
    • /
    • 2011
  • 인간형 재조합단백질 각질세포 성장인자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누에 배양 세포(Bm5-hKGF cell)을 만들었다. 이 세포에서 분비되어 배지에 포함된 양은 15-20 ng/ml 정도였다. Bm5-hKGF cell에 누에의 PDI를 함께 발현시키면 세포외 분비량이 2배 증가하였다. Wound healing migration assay 결과 누에세포에서 생산된 인간형 재조합단백질 각질세포 성장인자는 세포생장을 촉진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누에배양세포를 사용하여 저비용으로 양질의 인간형 재조합단백질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것을 기대한다.

In Vitro and in Vivo Wound Healing Properties of Plasma and Serum from Crocodylus siamensis Blood

  • Jangpromma, Nisachon;Preecharram, Sutthidech;Srilert, Thanawan;Maijaroen, Surachai;Mahakunakorn, Pramote;Nualkaew, Natsajee;Daduang, Sakda;Klaynongsruang, Somp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6호
    • /
    • pp.1140-1147
    • /
    • 2016
  • The plasma and serum of Crocodylus siamensis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to exhibit potent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During wound healing, these biological properties play a crucial role for supporting the formation of new tissue around the injured skin in the recovery process. Thu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wound healing properties of C. siamensis plasma and serum. The collected data demonstrate that crocodile plasma and serum were able to activate in vitro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HaCaT, a human keratinocyte cell line, which represents an essential phase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With respect to investigating cell migration, a scratch wound experiment was performed which revealed the ability of plasma and serum to decrease the gap of wounds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sistent with the in vitro results, remarkably enhanced wound repair was also observed in a mouse excisional skin wound model after treatment with plasma or serum. The effects of C. siamensis plasma and serum on wound healing were further elucidated by treating wound infections by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on mice skin coupled with a histological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crocodile plasma and serum promote the prevention of wound infection and boost the re-epithelialization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new skin. Therefore, this work represents the first study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C. siamensis plasma and serum with respect to their wound healing properties and strongly supports the utilization of C. siamensis plasma and serum as therapeutic products for injured skin treatment.

Ginsengenin derivatives synthesized from 20(R)-panaxotrio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ntitumor activity targeting HIF-1 pathway

  • Guo, Hong-Yan;Xing, Yue;Sun, Yu-Qiao;Liu, Can;Xu, Qian;Shang, Fan-Fan;Zhang, Run-Hui;Jin, Xue-Jun;Chen, Fener;Lee, Jung Joon;Kang, Dongzhou;Shen, Qing-Kun;Quan, Zhe-Sh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738-749
    • /
    • 2022
  • Background: Ginseng possesses antitumor effects, and ginsenosides are considered to be one of its main active chemical components. Ginsenosides can further be hydrolyzed to generate secondary saponins, and 20(R)-panaxotriol is an important sapogenin of ginsenosides. We aimed to synthesize a new ginsengenin derivative from 20(R)-panaxotriol and investigate its antitumor activity in vivo and in vitro. Methods: Here, 20(R)-panaxotriol was selected as a precursor and was modified into its derivatives. The new products were characterized by 1H-NMR, 13C-NMR and HR-MS and evaluated by molecular docking, MTT, luciferase reporter assay, western blotting, immunofluorescent staining, colony formation assay, EdU labeling and immunofluorescence, apoptosis assay, cells migration assay, transwell assay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assay. Results: The derivative with the best antitumor activity was identified as 6,12-dihydroxy-4,4,8,10,14-pentamethyl-17-(2,6,6-trimethyltetrahydro-2H-pyran-2-yl)hexadecahydro-1H-cyclopenta[a]phenanthren-3-yl(tert-butoxycarbonyl)glycinate (A11). The focus of this research was on the antitumor activity of the derivatives. The efficacy of the derivative A11 (IC50 < 0.3 µM) was more than 100 times higher than that of 20(R)- panaxotriol (IC50 > 30 µM). In addition, A11 inhibited the protein expression and nuclear accumulation of the hypoxia-inducible factor HIF-1α in HeLa cells under hypoxic conditions in a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A11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HeLa cells, while promoting their apoptosis. Notably, the inhibition by A11 was more significant than that by 20(R)-panaxotriol (p < 0.01) in vivo. Conclusio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to report the production of derivative A11 from 20(R)-panaxotriol and its superior antitumor activity compared to its precursor. Moreover, derivative A11 can be used to further study and develop novel antitumor drugs.

유방암세포에서 세포외 소포체 분비 감소를 통한 glabridin의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 of glabridin by redu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secretion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 최상헌;황진현;백문창;조영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40-2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인간 유방암 세포 라인인 MDA-MB-231 세포에서 GD에 의해 EVs분비 억제에 의한 항암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MDA-MB-231 세포에 GD를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률을 억제하는 것을 MTT assay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ROS 염색과 apoptosis marker 단백질인 p-JNK단백질의 증가를 통해 GD에 의한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가 세포사멸에 의한 것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wound-healing assay, 세포 침윤 및 VEGF 농도를 측정한 결과 GD가 암세포의 이동, 전이 능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anosight를 통해서 MDA-MB-231 세포에서 분비되는 대조군 EVs 및 GD에 의해 변화된 EVs의 사이즈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GD를 처리한 MDA-MB-231 세포에서 분비된 EVs보다 GD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서 분비된 EVs의 단백질 및 particles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을 하였다. 그리고 GD가 MDA-MB-231 세포에서 EVs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을 대표적인 exosome marker인 TSG101, CD63의 발현 감소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GD가 암세포의 EVs 분비를 감소시켜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GD가 인간 유방암 세포인 MDA-MB-231 세포의 EVs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GD가 유방암의 화학요법 약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머위(Petasites japonicus)의 피부장벽과 항염증 효과 (Skin barri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tasites japonicus)

  • 김채현;문외숙;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58-26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머위에탄올추출물 (PJE)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UVB로 유도된 Human keratinocyte (HaCaT cell)를 통해 피부장벽과 염증 개선에 대한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Hydrogen peroxide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 1 mg/ml 농도에서 대조군인 ascorbic acid과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UVB로 유도된 HaCaT 세포의 filaggrin과 aquaporin-3의 생성능의 mRNA의 발현을 확인해본 결과, UVB 자극에 의해 줄어든 발현량이 머위 추출물 처리 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NF-𝛼와 IL-1𝛽의 mRNA 발현은 UVB 자극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머위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Migration assay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피부 각질세포의 증식과 상처의 회복율을 증가시켰음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머위가 피부 보습 및 피부장벽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