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ion of forest are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9초

산촌지역 인구변동의 특성 분석과 장래 추계 (A Study on Population Change and Projection in Korea Mountainous Area)

  • 민경택;김명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70-678
    • /
    • 2014
  • 이 연구는 코호트 변화율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산촌지역 인구변동의 특성을 분석하고 장래 산촌인구를 추계한 것이다. 분석대상이 되는 산촌은 산림청에서 지정한 산촌진흥지역으로, 산림면적 비율 70% 이상, 인구밀도 111인/$km^2$, 경지면적 비율 21% 이하인 읍 면으로 정의한다. 산촌의 인구변동 특성을 살펴보면 지난 20년 간 산촌 인구는 급격히 감소하였고 노령화 지수는 상승하였다. 연령별로는 10~30대 젊은 층의 인구 유출이 많고 40대 이상 장년층의 유입이 증가하였다. 젊은 세대 인구가 감소하는 것은 교육과 취업을 위해 도시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며, 장년층 인구 증가는 귀농 귀촌에 대한 관심 증대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산촌인구는 2030년에 68만 명, 산촌의 노령화 지수는 1,035로 상승하여 국토의 균형 발전과 산림의 지속가능한 경영에 문제를 초래할 것이다. 따라서 산촌경제 활성화와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산촌의 인구 추이와 미래 전망 (A Sudy on Population Change and Projection in Korean Mountainous Area)

  • 장주연;배재수;설아라
    • 농촌계획
    • /
    • 제25권4호
    • /
    • pp.99-107
    • /
    • 2019
  •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change from 2000 to 2018 in 466 mountainous areas using resident registration data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nd projected the population in those areas through 2050 with the cohort change ratio method. The population had dramatically decreased from 2000 to 2009. With the slowing population decrease after 2010, the population has increased gradually since 2014. Especially the population of ages over 65 in 2018 had increased 34% compared to 2000, while the working age population had decreased 29%. This shows that population aging becomes serious problems in the mountainous area. Assuming the cohort change ratios from 2010 to 2015 and child-woman ratio in 2015 remain constant, it appeared that the projected population of the mountainous area dropped to 1.26 million in 2030 and 820,000 in 2050. It is expected to have a population with an inverted pyramid structure showing a gender imbalance with more females in 60's and 70's. Although it continues to show the recent population growth in mountainous area, population in mountainous area is expected to consistently decreas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policies and strategies to promote an influx of people into mountainous area for maintaining functionality and sustainability of mountainous areas.

숲가꾸기 사업에서의 산림 바이오매스 발생량 추정(제2보) - 산림면적 전망에 의한 추정 -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Arising from Forest Management Operation II - Estimation based on the projection of forest areas -)

  • 안병일;이균식;김철환;이지영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4호
    • /
    • pp.25-32
    • /
    • 2009
  • Forest biomass can be used as various types of raw materials such as pulp, wood pellets, solid charcoals and so on. This paper estimates the nation wide amount of forest biomass based on the projection of forest areas for its effective and economic use. Several trend equations are used in projecting the forest areas. In 2009, the forest biomass arising from thinning is estimated be 6,591,575 $m^3$. The estimates of forest biomass in 2015 and 2018 are 6,375,627 $m^3$ and 6,284,779 $m^3$, respectively. Since the forest areas are projected to be declining, the biomass generated by thinning will decrease. This implies that the new alternatives for supplying raw materials for biofuels must be prepared before then.

중간(中間) 측정(測定) 주기(週期) (3-5년)를 이용(利用)한 인공림(人工林)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추정(推定) 함수(函數)의 유도(誘導) (Derivation of Basal Area Projection Function for Forest Plantation Using Medium (3-5years) Measurement Cycles)

  • 이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463-469
    • /
    • 2000
  • 이 연구는 다른 수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생장을 보여 상업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뉴질랜드 사우스랜드 지역에 조림된 미송(美松) (Pseudotsuga menziesii Mirb. Franco)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추정 함수 유도에 관한 것이다.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함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간 측정 주기의 영구 표본점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대수차분(代數差分) 방정식을 이용하여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함수식을 유도하였다. 모수(母數) 추정은 SAS의 비선형 루틴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다양한 생장 추정 함수 모델을 적용한 후 잔차를 분석하여 평균제곱오차가 가장 작고 잔차 패턴이 편의가 없는 생장식을 선발하여, 추가 독립변수를 적용하여 모델의 추정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추정 생장 함수 중 지위지수(地位指數) 및 간벌주기를 독립변수로 포함한 Schumacher 다형곡선(多形曲線) 생장식이 가장 정밀한 추정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생장과 지위지수(地位指數)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의된 간벌주기는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식의 정도(精度)를 높이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dicting Tree Felling Direction Using Path Distance Back Link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 Rhyma Purnamasayangsukasih Parman;Mohd Hasmadi, Ismail;Norizah Kamarudin;Nur Faziera Yaakub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9권4호
    • /
    • pp.203-212
    • /
    • 2023
  • Directional felling is a felling method practised by the Forestry Department in Peninsular Malaysia as prescribed in Field Work Manual (1997) for Selective Management Systems (SMS) in forest harvesting.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ee felling in Peninsular Malaysia is conducted during the pre-felling inventory 1 to 2 years before the felling operation. This study aimed to predict and analyze the direction of tree felling using the vector-based path distance back link method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nd compare it with the felling direction observed on the ground. The study area is at Balah Forest Reserve, Kelantan, Peninsular Malaysia. A Path Distance Back Link (spatial analyst) function in ArcGIS Pro 3.0 was used in predicting tree felling direction. Meanwhile, a binary classification was used to compare the felling direction estimated using GIS and the tree felling direction observed on the ground. Results revealed that 61.3% of 31 trees predicted using the vector-based projection method were similar to the felling direction observed on the groun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dynamic changes of natural constraints might occur in the middle of tree felling operation, such as weather problems, wind speed, and unpredicted tree falling direction.

임분(林分) 생장(生長) 모델의 모수(母數) 추정(推定) 능력(能力) 향상(向上)을 위(爲)한 생장(生長) 측정간격(測定間隔)의 선택(選擇) (Selection of Growth projection Intervals for Improving Parameter Estimation of Stand Growth Model)

  • 이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40-49
    • /
    • 1998
  •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한 모수(母數) 추정을 통한 생장(生長)모델의 현실성을 향상시키는데 이용되는 생장 측정간격(임목의 측정 초기 연령 $T_1$과 재측정 연령 $T_2$의 기간)의 적합한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계획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생장식을 데이터에 적용한 후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생장식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여러 생장식을 분석한 결과 최적의 생장식으로 판명된 더미 변수를 포함하는 변형 Schumacher 방정식을 임분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생장식과 평균수고(平均樹高) 생장식을 얻기 위하여 이용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자료는 뉴질랜드 남섬 전역에서 측정된 업송(業松)(Pseudotsuga menziesii Mirb.Franco)의 생장 측정기간이 변형되지 않은 데이터와 모든 가능한 생장 측정기간을 포함하는 변형된 2종류의 데이터이었다. 단기의 측정기간에서부터 장기의 측정기간의 범위를 포함하는 데이터(모든 가능한 생장 측정기간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할 때 흉고단면적 생장식과 임분 평균수고 생장식에서 모수 추정의 정확성이 증가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 PDF

Individual-based Competition Analysis for Secondary Forest in Northeast China

  • Li, Fengri;Chen, Dongsheng;Lu, Ju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5호
    • /
    • pp.501-507
    • /
    • 2008
  • The data of crown width with 4 directions, DBH, tree height, and coordinate for sample trees were collected from 30 permanent sample plots in secondary fore st of the Maoershan Experimental Forestry Farm, Northeast China. In this paper, the competition of individual trees in stand were discussed for secondary forest by using iterative Hegyi competition index and crown overlap index that represented the competitive and cooperative interactions among neighboring trees. Active competitors of subject tree in the competition zone were selected to calculate the iterative competition index. Using the results of crown classification based on the equal crown projection area, a new distance dependent competition index called crown overlap index (COI) was developed for secondary forest. The COI performed well in describing the crown competition rather than crown competition factor (CCF). The individual-based competition index discussed in this paper will provide more precise for developing individual tree growth models for secondary forest and it can also use to adjust the stand structure for spatial optimal management.

붉가시나무 간벌강도에 따른 지상부 탄소고정량에 관한 연구 (Aboveground Carbon Storage of Quercus acuta Stands by Thinning Intensity)

  • 이상태;손영모;이경재;황재홍;최재채;신현철;박남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82-288
    • /
    • 2005
  • 본 연구는 전라남도 완도수목원의 붉가시나무 간벌처리구 임분의 4년 뒤 지상부 탄소고정량을 추정하기 수행되었다 간벌 처리구별 4년 뒤의 임분 생장은 임분예측표를 이용하였으며, 지상부의 건중량 분포는 $W=aD+bD^2$의 모형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간벌 처리구별 지상부 생체량은 대조구(148.4 ton/ha), 약도처리구(105.6 ton/ha), 중도처리구(68.7 ton/ha) 그리고 강도처리구(39.1 ton/ha) 분포를 보였다. 붉가시나무의 4년 뒤 간벌처리구별 탄소고정량은 건중량에 0.5를 곱하여 구하였으며, 대조구(74.2tonC/ha), 약도처리구(52.8tonC/ha), 중도처리구(34.3 tonC/ha) 그리고 강도처리구의 탄소고정량은 38.2 tonC/ha으로 조사되었다.

충주 및 주변지역 산지습지의 판별 및 식생 구조 (The Discrimin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Several Mountainous Wetlands in Chung-ju and Around Area)

  • 김형국;정영선;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5-65
    • /
    • 2008
  • This study was surveyed to analyz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ous wetlands in Chung-ju city and around area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6. 6 sites of total 15 potential mountainous wetlands were discriminated throughout field survey. By classification system of mountainous wetlands presented in manual of forest wetlands research, types of wetlands were classified into slant and a flat. Many sites were covered with land plants as Pueraria thunbergiana and so on. To understand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ous wetlands, Height,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DI (Dominance Index), Sociability and Constancy were surveyed and Based on this result, a projection chart was drawn. As results, Salix koreensis in tree layer and Persicaria thunbergii and Impatiens textori in herb layer were surveyed as broadly distributed species.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vegetation condition of mountainous wetlands. But, it will be needed studying on classification system of mountainous wetland type and functional assessment for conservation or management of wetlands.

영천 측백림의 직경 및 흉고단면적 생장추정 (Estimation of Diameter and Basal Area Growth Pattern for Thuja orientalis Stand Grown in Yeongcheon)

  • 이상현;이회선;김현;최수임;조영진;임호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29-33
    • /
    • 2007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62호)인 충북 영천리 측백나무(Thuja orientalis)림의 직경과 흉고단면적 생장모형을 추정하여 측백림의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45본의 표준목을 선발하여 생장추를 이용하여 목편을 채취한 후 기초(non-overlapping) data와 데이터 재배열을 통한 overlapping data를 이용하여 최적의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추정식을 선정하였다. 동형 및 다형의 비선형 생장식을 데이터에 적합한 결과 overlapping data를 이용한 다형 방정식이 우수한 적합성을 보였다. 흉고직경 생장은 Schnmacher 다형 방정식인 $D_2={\exp}({\ln}(D_1)(T_1/T_2)^{0.4495}+3.8535(1-(T_1/T_2)^{0.4495}))$, 흉고단면적 생장은 Schnmacher 다형 방정식인 $BA_2={\exp}({\ln}(BA_1)(T_1/T_2)^{0.1235}+11.3793(1-(T_1/T_2)^{0.1235}))$가 가장 우수한 식으로 판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측백림의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생장식은 천연기념물인 측백림의 관리 경영에 필요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