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on-inducing effect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2초

이산화탄소 해양지중저장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Impacts of CCS Marine Geological Storage Demonstration Project on the National Economy using Input-output Analysis)

  • 이주석;최은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8권1호
    • /
    • pp.71-79
    • /
    • 2016
  • In this study, we attempt to examin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CCS marine geological storage demonstration project in Korea using Input-Output analysis utilizing the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issued in 2013. In particular, this study defines the $CO_2$ ocean storage industry and then added the inter-industry relation table and treated the $CO_2$ ocean storage industry as exogenous. In addition, this study assumed two scenarios based on the means of $CO_2$ transport, which are pipe and ship. After defining the industry and scenario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 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the industries associated with the $CO_2$ ocean storage industry based on a demand-driven model. The results pertaining to the scenarios are estimated as follows: total production-inducing effects, value added inducing effects,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s are calculated as 1.9044 won, 1.2487 won and 16.7224 people/billion won, respectively.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e indirect economic impacts of the $CO_2$ ocean storage industry are ranked high: the rankings of production-inducing effects, value added inducing effects,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s are fourth, second, and fifth, respectively.

생명보험산업과 손해보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Economic Effect of life insurance and indemnity insurance Industry)

  • 정군오;임응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646-652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개인의 건강에 대해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의 건강과 관련이 높은 보험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보험산업은 크게 생명보험산업과 손해보험산업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명보험산업과 손해보험산업에 대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분석에서는 외생화기법을 사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한다. 분석결과는 손해보험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2.7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6원, 취업유발효과는 26.9명, 물가파급효과는 2.0%로 분석되었다. 반면 생명보험산업의 생산유발효과는 1.6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0원, 취업유발효과는 16.5명, 물가파급효과는 1.2%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손해보험산업이 생명보험산업의 파급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 R&D 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보건의료산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Economic Impact of National R&D Investment: Health care industry)

  • 정군오;임응순;송재국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1호
    • /
    • pp.59-83
    • /
    • 2013
  • 최근 출산율의 감소와 고령화 추세에 따른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보건의료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미 많은 선진국들은 IT관련 산업에서 벗어나 전략산업으로 보건의료(HT: Health technology) 산업을 집중육성하고 있다. 한국도 경제성장을 통하여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국민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따라 보건의료에 대한 국민적 수요가 증대됨으로 인하여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투자의 확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보건의료산업에 대한 국가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투자가 국민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수치화해보고자 한다. 위 분석은 국가 R&D 투자가 이루어지는 보건의료산업을 내생부분이 아닌 외생화시켜 타 산업분야에 대한 순수한 파급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보건의료산업의 생산 및 부가가치유발 효과는 공통적으로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와 금융 및 보험부문이 높게 나왔다. 이러한 부문은 보건의료산업과 관련이 있는 세부분류를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보건의료산업의 취업유발효과는 도소매부문이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그 뒤를 부동산 및 사업서비스, 농림수산품 부문 순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산업의 전 후방 연쇄효과는 평균인 1보다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보건의료산업이 최종수요적 원시산업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실제 2009년 보건의료산업 관련 국가 R&D투자금액을 대입하여 보건의료관련 정부연구개발비가 경제에 미치는 생산 및 부가가치 금액을 도출해본 결과 전체산업에 생산유발은 약 4,932억원, 부가가치유발은 약 2,163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하수처리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Effects of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Service Sector: An Inter-industry Analysis)

  • 박소연;임슬예;유승훈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71-182
    • /
    • 2015
  • The economic effects of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service (SWTS) sector on other sectors have been rarely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attempts to apply an inter-industry analysis to looking into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WTS sector. To this end, the most recently published 2012 input-output table is used here. In particular, the SWTS sector is specified as exogeneous to identify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WTS sector on other sectors.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quantified based on demand-driven model. Supply shortage effect and price pervasive effect are also analyzed employ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added creation effect of a unit of investment or production in SWTS sector are estimated to be 1.7076 and 0.7392, respectively. The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one billion of investment or production in the SWTS sector is computed to be 11.0498 persons. The shortage effect of the SWTS sector amounts to 0.8417 won. The overall price effect of the 10% increase in the price of SWTS sector is calculated to be 0.0115%. This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tilized in predicting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WTS sector-related activities or policy-making.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conomic Effects of The Cloud Computing Industry)

  • 김동욱;반승현;임춘성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7-51
    • /
    • 2018
  • Recently, cloud computing market is growing geometrically in both private and public area, and many global companies in various domains have developed and provided cloud computing services. In such situation, Korean government made multiple plans for domestic cloud computing industry. However, most research institutes have focused on market size and status information, which makes actual effectiveness of cloud computing service hard to recognize. In this study, we define cloud computing Industry by rearranging Input-Output table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to use Input-Output Analysis. The Input-Output Analysis was devised in 1963 by Leontief and it is used in many fields of study until now. It produces various coefficients that are able to identify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effect, labor-inducing effect, front and rear chain effect.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roduction-inducing effect, front and rear chain effect of cloud computing industry is low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However, cloud computing Industry possesses relatively high value-added effect and labor-inducing effect. It is because industry magnitude of cloud computing is smaller than other industries such as manufacturing, chemical industries. The economic effects of the cloud computing industry are not remarkable, but this result is significant to emerging markets and industries and presents the fresh way of analyzing cloud computing research field.

국내 미디어산업의 파급효과 분석 (Role of the Korea Media Industry in the Nation Economy Analysis)

  • 민용식;임응순;정군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47-255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미디어산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미디어산업의 전반적인 변혁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산업에 대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이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미디어산업을 분석하였는데,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구하였고, 공급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공급지장효과를 구하였고,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이용하여 물가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미디어산업의 1원의 생산에 대하여 경제전체에 생산유발효과는 0.5461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0.3143원 유발하였으며, 10억원당 취업유발은 5.0459명, 미디어산업에 1원의 공급지장이 생기면 국민경제전에 미치는 공급지장효과는 0.7353원으로 나타났으며, 10%의 가격상승에 의한 물가파급효과는 0.2389%로 분석되었다.

한국 조선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Nat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Korea Shipbuilding Industry)

  • 정영근;임응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9-143
    • /
    • 2011
  • 국내 조선산업은 2009년도에는 전 세계 33.1%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였다. 이는 한국이 세계 제1의 조선국가이며, 한국내에서 조선산업은 국민경제발전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기간산업이며, 한국경제를 이끌어온 조선산업에 대한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으로 수요유도형 모형과 레온티에프가격모형을 이용하였다. 이들 모형을 이용하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와 물가파급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 분석결과 조선산업에서 1원의 생산이 타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0.7891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0.3742원으로 나타났다. 조선산업에서 산출액 10억원에 의한 취업유발효과는 3.7808명으로 분석되었으며, 조선산업의 산출물 가격이 10% 상승하면 타산업에 미치는 물가파급효과는 0.0009%로 나타났다.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The Economic Impacts of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 김태영;진세준;박세헌;표희동
    • 에너지공학
    • /
    • 제22권2호
    • /
    • pp.184-196
    • /
    • 2013
  • 경제 발전과 산업의 발달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개발이 필수적이며, 그 대안으로 해양 미생물에 기초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해결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계획에 근거하여, 2030년까지 바이오에너지 부분의 50%인 500만TOE를 해양 바이오에너지에서 생산하려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경제에서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생산유발, 부가가치 유발, 취업유발에 미치는 효과 및 연구개발 유발효과 4가지를 분석하되,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기본부문 기준 403부문 중에서 66개 부문을 해양 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이라 정의한 후, 해양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한다.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에 2,23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면, 생산유발효과 3,123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865억원, 취업유발효과 1,151명, 연구개발 유발효과 47.8억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상용화에 대한 정책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정보통신산업이 운송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과 운송의 융합을 위한- (A Study on Economy Effects of ICT Industry on Transportation Industry -For Convergence of ICT and Transportation-)

  • 신용재;최성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321-329
    • /
    • 2015
  • 본 연구는 정보통신과 운송융합 탐색을 위해 정보통신산업이 운송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운송산업을 5개의 산업으로 세분화하고 ICT를 하드웨어와 통신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나눈 후, ICT 두 분류가 각 운송산업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산업연관표이고, 사용된 모형은 수요유도모형인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그리고 공급유도모형인 공급지장효과이다. 분석결과 하드웨어보다 통신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가 운송산업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드웨어는 생산유발효과, 통신 및 소프트웨어 서비스는 생산유발효과와 공급지장효과에서 크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세부 운송산업 별로, 소화물 및 기타 운송과 도로운송이 ICT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았다. 반면, 상대적으로 철도와 수상운송의 영향은 낮았지만, 투자비중 대비 ICT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따라서 ICT서비스의 투자 증대가 이 부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R&D 투자에 따른 충남지역 경제효과 분석 -금속산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Regional Economic Impact of Chungnam Following R&D Investment -Focused on Metal Industry-)

  • 정영근;임응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72-76
    • /
    • 2020
  • 중앙정부에서는 대한민국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의 발전을 꾀하고 있다. 많은 지방정부에서는 자생적 자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여러 가지 형태의 노력을 하고 있는데, 그 중 지역의 경제성장을 이끌 수 있는 지역거점 기관 조성 등이 있다. 따라서 충남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190억원을 투자하여 도내에 소재하고 있는 금속소재관련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충남 첨단금속소재 플랫폼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남에 구축되는 지역거점센터에 투입되는 비용을 바탕으로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시 산업연관분석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연차별 투입금액에 따른 효과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제시함으로써 동 사업의 효과성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생산유발효과는 322억 3천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총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138억 2천만원, 취업유발인원은 101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들은 동 사업의 추진에 대한 타당한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편익의 항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생산유발 및 부가가치유발효과가 투입대비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한 취업유발효과를 이용하여 동 사업을 통한 신규일자리 창출 및 고용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