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 treatment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9초

낙엽송(落葉松) 심재(心材)의 CCA와 CCFZ 처리특성(處理特性) 및 자상처리(刺傷處理)에 의(依)한 CCA 처리도(處理度) 개선(改善) (Treatment Characteristics of Japanese Larch Heartwood with CCA or CCFZ and Improving its CCA Treatability by Incising Techniques)

  • 강승모;김규혁;백기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60-66
    • /
    • 1995
  • The treatability of Japanese larch heartwood was assessed by pressure treatment of non-incised dimension material with CCA or CCFZ. The effectiveness of incising(conventional, high density, and needle incising) for improving CCA treatability on refractory Japanese larch heartwood was also investigated. Preservative retention and penetration were somewhat greater with CCFZ treatment, although those was generally poor in both preservatives. The retention gradients for both CCA and CCFZ-treated stock were essentially the same shape. Treatment of non-incised material with CCA acheived the recommended treatability for using treated wood at the regions of hazard class H2 in the Japanese Agricultural Standards. However, Japanese larch heartwood would require incising as a pretreatment for enhancing treatability, if CCA-treated larch is intended to be used at the regions of hazard class H3 and H4. As expected, incising resulted in a considerable improvement of preservative treatability, particularly penetration, and the effect of incising on the improvement of treatability was excellent at the sequence of needle incising, high density incising, and conventional incising. Among incising techniqu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high density and needle incising enhanced CCA treatability beyond the point where it did meet a minimum requirements specified by the Japanese Agricultural Standards for using CCA-treated Japanese larch at the regions of hazard class H3 and even H4.

  • PDF

야외시험을 통한 난주입수종의 방부성능 평가 및 국내 목재보존산업에서의 시사점 (Evaluation of Preservative Efficiacy for Refractory Wood Species in Field Tests and Its Implication for Korean Wood Preservation Industry)

  • 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544-558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야외시험을 통하여 난주입수종의 방부성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난주입수종의 방부처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캐나다 방부목재 표준규격 CSA O80 Series-08 중 주거용 방부목 그룹 C와 D에 따라 방부 처리된 웨스턴 헴록과 스프루스의 방부성능을 야외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제조된 샘플들은 자상처리를 실시한 후 alkaline copper quaternary (ACQ)와 copper azole (CA)로 방부처리를 실시하였다. 성능시험용 시편들은 2010년 11월 경남 진주에 조성된 야외시험장에서 AWPA E7-09와 AWPA E18-06 방법에 따라 지접부 및 지상부 성능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매년 정기점검을 통해 시편들의 부후 및 흰개미 가해상태가 조사되었다. 2017년 3월까지 약 6년 5개월 동안의 국내 야외시험 결과를 살펴보면 무처리 시편에서는 부후와 흰개미 가해가 심하게 발생되었지만 방부처리된 시편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목재사용환경에서 5 mm 침윤깊이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목재방부산업에서 난주입수종의 활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려되었으면 하는 부분을 침윤도와 보유량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목재 내 Copper Azole 보유량이 목재부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pper Azole Retention Level to Wood Decay)

  • 이현미;손동원;이한솔;황원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1호
    • /
    • pp.112-121
    • /
    • 2015
  •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압주입 처리용 구리 붕소 아졸화합물계의 목재 방부제 Copper Azole (CuAz)의 목재내 주입량별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가지 주입량으로 CuAz-2 방부제를 가압주입한 시편을 이용하여 갈색부후균인 부후개떡버섯에 의한 방부효력시험을 실시한 후 질량감소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CuAz-2 처리 시편을 부후개떡 버섯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후개떡버섯에 의한 무처리재는 40% 이상의 질량감소율을 보여주었고 실내 부후에 의한 CuAz-2 약제의 방부효력을 나타내는 값은 $1.79{\sim}3.32kg/m^3$이었다. CuAz-2의 주입량에 따라 횡단면, 방사단면, 접선단면에서의 목재조직은 무처리 시편과 비교하여 부후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횡단면에서는 조재와 만재부분에서 수직수지구, 방사조직의 부후가 많이 관찰되었고, 방사단면에서는 방사가도관, 방사유세포, 벽공 부분이 부후되어 파괴되었고, 접선단면에서는 방사조직, 수평수지구가 심하게 부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주입량에 따른 부후 현상이 크게 차이가 난 점 등을 고려하여, 현재의 CuAz-2 주입량에 대한 적정성 검토가 국내 환경에 대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낙엽송 원주상 소경목의 원목성상과 방부 처리성 (Effects of Post Individualities on Treatability of Small Diameter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with ACQ and CCA)

  • 김영숙;홍순일;윤정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52-60
    • /
    • 2006
  • 국산목재시장에서 유통되는 낙엽송 원주상 소경목(직경 10 cm 정도)의 목재 특성(연륜 특성, 심 변재 분포, 할열 분포 등)이 ACQ와 CCA의 처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시장에 유통되는 낙엽송 원주상 소경목은 약 13~16, 17~20개의 연륜수를 갖는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2~3과 4~5 mm의 연륜폭을 갖는 원목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주상 소경목의 재면에 심, 변재가 혼재되어 나타나는 비율은 전체 공시목의 54%였으며 나머지는 심재만이 재면 노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원주상 소경목에 발생하는 할열 수는 재면에 1~6개, 횡단면에 1~4개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할열의 크기는 재면에서 1~14 mm, 횡단면에서는 8~14 mm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가압처리 결과, 재면에 심 변재가 혼재되어 나타날 때에는 방사방향의 평균침투도는 ACQ에서 $4.3{\pm}4.19mm$, CCA에서 $8.5{\pm}4.98mm$로 침투도에 변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심재의 경우에는 ACQ에서 1.3 mm, CCA에서 1.1 mm로 매우 작은 침투도를 나타내 두 약제 모두 산림청 고시 사용환경 H3기준에 미달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심재에 대해 인사이징 처리하고 가압 처리 하였을 때 인사이징 부위의 접선방향 침투도는 ACQ의 경우 약 0.7 mm, CCA는 약 0.6 mm로 두 약제 모두 인사이징의 침투도 개선 효과가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한편 심재에서 연륜수가 많을수록 약제의 평균 흡수량은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연륜수와 평균 흡수량 간에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r=0.5345). 재면에 심재만이 노출된 경우에는 횡단면과 재면의 할열수 및 할렬크기와 흡수량사이에 상관계수가 각각 r=0.1301과 r=0.1802로 모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판(合板)의 방부처리(防腐處理)가 그 접착강도(接着强度) 및 방부력(防腐力)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the Preservative Treatment of the Plywood on it's Shear-strength and Decaying Properties)

  • 심종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
    • /
    • 1974
  • 본(本) 연구(硏究)는 합판(合板)의 부후(부후)하는 성질(性質)를 개선(改善)하기 위하여 방부처리(防腐處理)를 실시(實施)하였을 때 그 접착강도(接着强度)와 방부력(防腐力)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내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다. 그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종합(綜合)하면 다음과 같다. 1. 합판(合板)을 제작(製作)하여 그 합판(合板)을 직접(直接) 방부처리(防腐處理)하였을 때나 또는 단판(單板)을 미리 방부처리(防腐處理)하여 합판(合板)을 제작(製作)하였을 때나 모두 합판(合板)의 접착강도(接着强度)는 감소(減少)하지 않았다. 2. 합판(合板)을 마레니트(Malenit)로 처리(處理)하였을 때의 내부효력(耐腐効力)은 명확(明確)히 나타났으며 방부처리(防腐處理)를 하지 않은 합판(合板)이나 소나무 변재부(邊材部)와 비교(比較)하였을때 내부효력(耐腐効力)이 큰것으로 나타났다. 3. 방부효력(防腐効力) 실험결과(實驗結果) 동일(同一) 공시재(供試材)라 하여도 접종(接種)한 균종(菌腫)에 따라 중량감소(重量減少)에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반대(反對)로 동일균(同一菌)을 접종(接種)하였을 때라도 공시재(供試材)의 종류(種類)에 따라 균(菌)의 호혐(好嫌)에 차이(差異)가 나타났다.

  • PDF

아보카도 씨와 씨 껍질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as a Potential Natural Preservative)

  • 여지윤;이충현;박소영
    • 생약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9-54
    • /
    • 2021
  • As the consumption of avocado fruits and avocado oils is steadily increasing, the amount of avocado seeds which are thrown away as by-products is also inceasing. Thus, the possibility of use of avocado seeds as natural preservatives was studied focused on the antioxidant effect. The extraction of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with 100% ethanol by maceration showed highest antioxidant activities and lowest IC50 values compared to 80% ethanol extract. Furthermore, 100% ethanol extract of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includ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polyphenols than 80% extract. However, total flavonoid content of 100% avocado seed extract was not signigicantly different from 80% seed extract, whereas that of 100% avocado seed husk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80% seed husk extract. In case of acid values, heating of oil alone for 120 and 180 mi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id values, whereas the treatment of oil with seed and seed husk extract signficantly decreased the acid valu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tioxidant effects of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protected the oil against heat-induced acidification. Thus, avocado seeds and seed husks have a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an natural antioxidant and natural preservative which could be used commercially.

Decay Resistance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 Lee, Hyun-Mi;Yang, Jae-Kyung;Kim, Jong-M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6호
    • /
    • pp.7-13
    • /
    • 2004
  • In this study, the Korean pine wood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and Italian poplar wood (Populus euramericana Guinier) was treated with a mixture of monoammonium phosphate (MAP) and boric acid. Their usability as fire retardant and as decay-resistant construction and interior materials were evaluated by testing of chemicals, corrosion rate and absorption rate, weight loss and chemical contents.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mpare treated pine wood and Italian poplar wood. According to the results, Italian poplar wood had higher specific gravity and retention of chemicals than pine wood, and treated wood showed higher decay-resistance than untreated one. Weight loss was less in treated wood than untreated one because the degree of decay was lower in the former than the latter. Corrosion rate and absorption rate met the KS standard for wood preservative performance. The chemical contents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egree of decay and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ative effect of chemical treatment was lower in Italian poplar wood than in pine wood.

탄산칼륨과 염화칼슘을 이용한 무기질 복합화 목재 중에 있어서 무기염의 생성과 방부효력 (Formation and Preservative Effectiveness of Inorganic Substances in Wood Treated with Potassium Carbonate and Calcium Chloride)

  • 윤선미;이종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26-132
    • /
    • 2001
  • 탄산칼륨 포화용액을 감압주입한 후, 염화칼숨 포화용액으로 확산처리하여 제조한 무기질 복합화 목재 중에 있어서 물 불용성의 무기염의 생성상태와 구성성분 및 이들 무기염이 생성된 목재의 방부성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탄산칼륨 포화용액을 주입한 젖은 상태의 시험편을 염화칼슘 포화용액에 24, 72, 120시간 동안 침지시킨후, 미반응 용액 및 부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흐르는 수도수에 24시간 세척하는 방법으로 무기질 복합화 목재를 제조하였다. 무기염의 생성은 염화칼슘 포화용액 주입 후, 72시간의 염화칼슘 포화용액 침지처리에서 평균 108.1%의 중량 증가율을 보여 최대치에 이르렀다. 시험편의 가도관 내강에 다량의 무기염이 생성되어 있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들 무기염은 물에 의해 용탈되지 않고 X선 분석에 의하여 다량의 Ca 원소의 특성 X선이 검출된 점으로부터 물 난용성의 탄산칼슘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처리 시험편에서는 공시균에 의하여 거의 중량감소가 발생하지 않아 가도관 내강에 생성된 탄산칼슘으로 추정되는 무기염이 목재의 방부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다목적용액에서 천연보존제로서의 Allyl 유도체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Allyl Derivate in Multi-purpose Solution as Natural Preservative)

  • 이지영;서승교;성덕용;육도진;이군자;정재용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5-10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마늘 allyl 유도체의 안질환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고, 이를 다목적용액(MPS)에 응용함으로써 천연물유래 마늘성분을 이용하여 MPS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cus aereus)에서 마늘유래 allyl 유도체인 diallyl sulfide(DAS)의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균활성이 없는 MPS에 DAS를 함께 처리하여 세균의 생육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50%의 생육저해($IC_{50}$)를 나타내는 DAS농도는 녹농균과 황색포도상구균 각각 0.25%와 0.64% 였다. MPS의 항균활성 실험에서 A사의 제품은 효과가 없었으며 B사의 제품은 두 균 모두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B사 MPS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과 그람양성 세균에 대해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DAS의 항균활성을 이용한 보존제의 개발을 위해 처리된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A사의 MPS를 사용하여 A사의 MPS에 DAS를 첨가하여 항균활성을 조사한 바 DAS의 항균활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콘택트렌즈 살균제에 대한 적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결론: 마늘의 allyl 유도체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녹농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으며, 녹농균에서 더큰 항균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성분과 같은 천연물유래 항균활성물질이 MPS의 보존제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ACQ 약제의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에 미치는 목재 조직의 영향 (Penetration of ACQ Treatment and its Effect of Degradation on Wood Tissues (Structure))

  • 이현미;이동흡;황원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576-582
    • /
    • 2013
  • 구리계 보존제 처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Douglas fir 변재와 ACQ-2 보존제를 사용하여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주입이 어려운 Douglas fir 수종에 대하여 약제의 주입이 잘된 곳과 안된 곳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 이동을 방해하는 인자를 구명하고자 방사조직 높이, 방사조직 밀도, 가도관의 길이를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전자현미경으로 측정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사조직의 높이와 밀도 그리고 가도관길이는 약제의 주입이 용이했던 부분과 주입이 안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재 구성 세포들의 벽공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음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약제의 주입이 안된 곳에서는 폐색된 벽공이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여러 농도의 ACQ로 처리한 목재 시편을 갈색부후균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 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시편의 가도관, 방사조직, 수지구 등의 조직이 부후되어 파괴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약제 처리 농도가 낮으면 부후가 진행되므로 일정 농도 이상으로 처리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