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olar

검색결과 984건 처리시간 0.022초

Nolla stage에 의한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에 대한 연구 (THE CALCIFICATION TIMING OF THE PERMANENT TEETH BY NOLLA STAGE)

  • 안상현;양규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40-548
    • /
    • 2000
  • 본 연구는 아동의 신체적 발육이 향상되고 있는 상황을 감안하여 Nolla stage에 따른 각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 및 순서를 재평가하여 소아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고 임상적 자료로 사용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전신 상태가 양호하며, 교정치료 경험이 없는 4세에서 13세까지의 아동 258명 (남자 149명, 여자 109명)을 대상으로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Nolla의 분류법을 이용한 각 치아의 석회화 단계에 따라 남,녀별 상,하악별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olla stage에 의한 각 영구치의 석회화 시기에 대한 평균치를 산출하였다. 그중 Nolla stage 7에 의한 평균치는 다음과 같다. 남자 상악에서 중절치는 6세 9개월, 측절치는 7세 4개월, 견치는 7세 9개월, 제1소구치는 8세 8개월, 제2소구치는 9세 4개월, 제 1대구치는 6세 3개월, 제2대구치는 10세 8개월로 나타났으며, 남자 하악에서 중절치는 5세 11개월, 측절치는 6세 4개월, 견치는 7세 5개월, 제1소구치는 8세 1개월, 제2소구치는 8세 6개월, 제1대구치는 5세 6개월, 제2대구치는 10세 3개월로 나타났다. 여자 상악에서 중절치는 6세 2개월, 측절치는 6세 7개월, 견치는 6세 11개월, 제1소구치는 8세 1개월 2소구치는 8세 5개월, 제1대구치는 5세 10개월, 제2대구치는 9세 10개월로 나타났으며, 여자 하악에서 중절치는 5세 6개월, 측절치는 5세 9개월, 견치는 6세 8개월, 제1소구치는 7세 6개월, 제2소구치는 8세 4개월, 제1대구치는 5세 3개월, 제2대구치는 9세 7개월로 나타났다. 2. 치근의 1/3이 형성되는 시기로 비교하였을때의 석회화 순서는 남,녀 상,하악 모두에서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 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 순으로 나타났다. 3. 치근 형성이 완료되는 시기에 있어서는 남, 녀 모두에서 상악에서는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순으로, 하악에서는 중절치, 제 1대구치, 측절치 순으로 나타났다. 4. 여자가 남자보다 영구치 석회화 시기가 빠르게 나타났다(p<0.05). 상기 자료는 소아 치과 환자의 진단 및 치료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임상적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성인치아의 교모도를 이용한 연령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ge Estimation by Attrition of the Adult Teeth)

  • 안휘준;박준상;고명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1호
    • /
    • pp.85-99
    • /
    • 1998
  • In order to estimate the tooth-age by degree of attrition, the author has studied 605 stone models from 1996 to 1997. All of the attrition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8 degrees.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 degree of attrition in male was higher than that in female for same age group and especially, canine and first premolar showed the most prominent difference in sex. 2. The most severe attrition in posterior teeth was first molar followed by second molar, first premolar and second premolar in decreasing order of sequence. 3.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relation equations by the degree of attrition were obtained.

  • PDF

Late development of a mandibular second premolar

  • Bicakci, Ali Altug;Doruk, Cenk;Babacan, Hasa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4-98
    • /
    • 2012
  •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case of a girl with delayed odontogenesis of a lower second premolar for which she was followed up for 8.5 years. Congenital absence of permanent mandibular second premolars was observed at the initial radiographic examination at 8 years and 1 month. One year later,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 unexpected odontogenesis of a right second premolar was diagnosed on follow-up radiography. The original treatment plan was revised and a new plan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This unusual case showed that the orthodontist's clinical philosophy must be flexible because unexpected situations can arise, especially when treating growing patients.

망상골의 구조와 밀도가 치과용 임플란트와 하악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becular bone microstructure on stress distribution within premolar tooth and implant)

  • 전창수;이상업;이경중;김한성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210-217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ncellous bone microstructure on stress distribution within a premolar tooth and a dental implant against mastication force by the micro-finite element method (FEM). The mandibular specimen including a premolar was obtained from a cadaver and scanned with micro-CT to obtain CT images. FE models were reconstructed from CT images at mid-sagittal plane of the tooth. Six models were generated and analyzed for different structure and density in cancellous bone. Stress distributions fur each implant (or tooth) and the surrounding bone were compared.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microstructure of cancellous bone should be considered in finite element analysis to produce reasonable results and thus implant systems with high success rate.

미니 임플란트 고정원을 이용한 전위된 상악 견치-제1소구치의 교정치료 (Correction of a maxillary canine-first premolar transposition using mini-implant anchorage)

  • Oztoprak, Mehmet Oguz;Demircan, Cigdem;Arun, Tul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71-378
    • /
    • 2011
  • Transposition is defined as a dental anomaly manifested by a positional interchange of 2 adjacent teeth within the same quadrant of the dental arch. Maxillary canine-first premolar [Mx4-3] transposition is the most frequent tooth transposition reported in the literature. In this case report, an orthodontic correction of a transposition of the maxillary left canine and first premolar with the help of palatally located mini-implant anchorage is described. Esthetic and occlusal evaluations suggested alignment of the transposed teeth to their correct anatomic positions in the dental arch. The clinical result at the end of the treatment was satisfactory. Alignment was obtained, and intercuspation was adequate. Nevertheless, the maxillary canine showed facial recession, probably because it was initially positioned buccally. Supporting tissue was examined after treatment and no alveolar bone damage was observed.

Total arch distalization with interproximal stripping in a patient with severe crowding

  • Jung, Min-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94-201
    • /
    • 2019
  • When a patient shows severe crowding, premolar extraction should be considered to provide required available space for alignment. If the third molars have already erupted and demonstrate a poor prognosis, third molar extraction and distalization of the posterior dentition can be used instead of premolar extraction to obtain space. Interproximal stripping (IPS) may also be used to gain space in cases of crowding.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treatment of a 25-year-old man with severe crowding and mild lip protrusion. Although the crowding in the lower arch was severe enough to require first premolar extraction, distalization of the entire lower dentition with orthodontic mini-implants, extraction of the lower third molars, and IPS could successfully resolve the crowding and lip protrusion.

Dentigerous Cyst with Double Teeth in a Dog

  • Park, Sang-hun;Park, Hyunjung;Yun, Youngmin;Cheong, Jongtae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3-27
    • /
    • 2022
  • An 11-year-old spayed female Maltese dog presented with mass in oral cavity. On conscious oral examination, the right maxillary canine tooth was not visible, and a lesion has been suspected of mass existed in canine tooth area. The adjacent maxillary first premolar was buried in the lesion, with a little part of the tooth exceptions. On radiographic examination, the canine tooth was buried horizontally in the lesion, and the root part was adjacent to the first premolar tooth. Extraction was performed for a treatment. When the lesion was incised, the canine tooth was horizontal with the concave surface facing the palatal, and formed double teeth by fusing with the premolar tooth at the roots parts of the teeth. This report described the double teeth in the dentigerous cyst rarely reported in dogs.

III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 치료시 상악 소구치 발치가 치열궁 폭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on transverse arch dimension in Class III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 이신재;홍성준;김영호;백승학;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III급 수술-교정 치료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치열 상의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술전 교정시 상악 소구치 발치와 비발치의 판단에 필요한 임상적 정보를 얻고자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교정 치료시 흔히 선택되는 상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된 군과 비발치로 치료된 군 간의 치료전/후 상/하악 개별 치아 이동 양상과 치열궁 폭경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발치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를 마친 환자 (24명) 와 술전교정 치료시 상악 제1소구치가 발치된 환자 (31 명)의 치료 전/후 모형 상에서 개개 치아의 근원심/협설측 각도 변화와 상/하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후, 두 군 사이의 교정적 치아 이동 양상을 비교 분석한 후 상/하 치열궁의 조화를 이루는데 필요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와 이에 기여하는 치아 변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발치 군은 비발치 군에 비하여 상악 치열궁 폭경의 감소가 컸으며 이는 상악 구치의 inclination 감소에 크게 영향 받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 치열에서는 inclination의 증가와 폭경의 증가가 있었으나, 비발치/발치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결론적으로 III급 수술-교정 치료시 술전 상악 소구치 발치는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의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 소구치 발치에 대한 판단은 상/하악 치열궁의 폭경 및 구치부 경사도 문제와 연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되었다.

미니스크류 식립 시 상악동의 골두께에 대한 고려 (Consideration of maxillary sinus bone thickness when installing miniscrews)

  • 김도현;이진우;차경석;정동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54-361
    • /
    • 2009
  • 본 연구는 전산화 단층촬영 영상으로 상악동의 형태를 파악하여 교정용 미니스크류를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는 위치를 찾고자 시행되었다. 남자 20명, 여자 20명의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 사진을 촬영한 후 3차원 영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악동의 형태를 계측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악동저에서 백악법랑경계까지의 골두께는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 사이에서 유의하게 얇았고,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에서 유의하게 두꺼웠다. 상악동저에서 협측 상악골 외연까지의 두께는 제1대구치와 제2대구치에서 유의하게 두꺼웠으며, 제1소구치와 제2소구치 사이에서 유의하게 얇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하게 미니스크류를 식립하여 교정치료의 영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성장기 환자에서 하악의 차등적 소구치 발치 (MANDIBULAR DIFFERENTIAL PREMOLAR EXTRACTI0N IN GROWING PATIENTS)

  • 김도훈;성상진;문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3
    • /
    • 2001
  • 성장기 환자에서 치아의 배열이나 입술의 외형을 개선하거나 경미한 악골 부조화에 의한 부정교합을 절충(camouflage)하기 위하여 발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하악 치열궁에 총생의 양이 미약하거나 전치부 분절을 과도하게 후방견인 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하악 제 2소구치 발치를 계획할 수 있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에서 이러한 제 2소구치 발치의 기준과 치료에 의한 상, 하악 치아의 이동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 하악 소구치 발치를 통한 포괄적 교정치료를 시행한 성장기 환자를 대상으로 상악 제 1소구치와 하악 제 1 소구치를 발치한 군(4/4발치군, 14명)과 상악 제 1 소구치, 하악 제 2 소구치를 발치한 군(4/5발치군, 15명)의 치료 전, 후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비교하여 하악 제 2소구치 발치의 적응증에 대한 진단기준을 평가하고, 안정골 구조물을 참고한 중첩법을 이용하여 치아이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4발치군과 4/5발치군은 치료 전 계측치에서 교합평면에 대한 상악전치의 치축각도, 구치부 교합관계, IMPA 그리고 interincisal angle에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하악 제 1 대구치의 전방 이동량은 4/5 발치군에서 더 전방이동 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3. 치료 전, 후의 상악 치아의 이동양상은 4/4 발치군과 4/5 발치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