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학교 예비 교사의 환경개념 이해도와 환경감수성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oncept understanding degree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45-151
    • /
    • 2013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heighte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education target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cience education intensive course 65 students of B educational university. Concept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environment was separately investigated by 'the defi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Write The positive concept of the natural environment education and briefly describe.''The negative concept of the natural environment education and briefly describe'. Next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arget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Based on these results, propose an alternative to cultivat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knowledge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on degree about defini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is correctly recognized generally. Second, They do not think deeply about natural environment when it comes to the positive concept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Third, They have only a little interest in natural environment when it comes to the negative concept of the natural environ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Correlation research results of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re as follows. High understanding degre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high environmental sensitivity. Heighten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will be sustainable environmental education so education is necessary for environmental Sensitivity training.

A Study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on Entropy

  • Seo, Young-Jin;Hong, Hun-Gi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5-427
    • /
    • 2012
  • In this study, we conducted preliminary survey, diagnostic test and in-depth interview in order to study Korea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nderstanding on entropy and investigate how Korea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deal with the natural phenomenon which is related to entropy conceptions. Firstly,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strongly recognized entropy as the degree of disorder. Secondly, the diagnostic test showed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were mostly confused about whether the entropy of the universe increases during a spontaneous change, and they had a tendency to interpret the natural phenomenon related to entropy change as the change of disorder. Finally, during in-depth interview, after we explained entropy change in all diagnostic test questions with the concept of microstat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revealed a better understanding about entropy. Through this research,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ha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deficiencies of entropy conceptions, which will ultimately help students to approach the concept of entropy more correctly.

빛의 굴절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개념이해와 지도계획의 어려움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ifficultie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Instructional Planning of Light Refraction)

  • 이지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1-18
    • /
    • 2021
  •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가 빛의 굴절 단원의 교사용 지도서를 읽을 때 생성한 질문을 분석함으로써 개념이해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지도계획을 세울 때의 어려움에 어떤 것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6학년 1학기 '빛과 렌즈' 단원의 지도서를 읽고 초등예비교사 283명이 생성한 의미있는 질문은 총 592개였고 이 중 물리 개념이해를 위한 질문은 총 306개, 교육학적 질문은 총 286개였다. 분석 결과, 초등예비교사는 물리 개념이해 측면에서 굴절이 일어나는 원인, 빛을 산란시켜야 하는 이유,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른 상의 변화 원인 등 교과서에 제시된 현상이 일어난 '원인'의 개념 이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지도계획 측면에서는 개념의 설명방법에 대한 질문, 즉 초등학생에게 개념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고 현상만을 지도하여야 하는 것에 대한 질문, 특정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방법, 실험 방법 등에 대한 질문 그 뒤를 이었다. 교사용 지도서에는 교사들의 개념이해를 돕기 위한 여러 가지 설명들과 보충자료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개념에 대해서는 지도서를 읽고서도 의문이 해결되지 않는 초등예비교사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질문의 빈도가 높은 개념에 대해서는 좀 더 알기 쉽게 지도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지도계획에 있어서는 교수법과 실험방법에 대한 질문이 많았기 때문에 교사용 지도서에서 개념의 설명방법에 대한 예시와 구체적 실험방법을 좀 더 제공할 필요가 있다.

초등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 수업지도안 작성 전략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 장명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91-20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used by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in planning a science lesson. The participants were six senior students from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the midwestern area of Korea. Data regarding their planning strategies were gathered through both thinking-aloud and observation.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ree of the teachers had little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reviewing unit contents or prior learning for planning a science lesson; five student teachers relied heavily on learning objectives presented in teachers' guidebooks without considering their appropriateness; all teachers exhibited an intention of composing different activities or teaching approaches from teachers' guidebooks; only two teachers thought about learners' prior knowledge or understanding levels; five and three teachers had poor understanding of discovery learning models and importance of teacher's questioning, respectively; and five teachers paid little attention to assessment.

  • PDF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Student-Teacher Practice)

  • 박철용;민희정;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1-64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두 명의 사범대학 4학년생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뷰, CoRe 질문지, 교육실습기간의 수업관찰기록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두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은 매우 낮았다. 두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은 서로 달랐으며, 과학 교수지향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의 교수경험 후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두 예비과학교사의 내용지식은 매우 부족하였으며,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수준도 매우 낮았다.

초등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의 기초적인 과학 지식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Basic Scientific Knowledge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강현숙;박재근;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67-7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asic scientific knowledge of in-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cific areas having insufficient knowledge and the reason for the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asking basic scientific knowledge to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in an urban communities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rolling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year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boiling points, perihelion, substances, and elements,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have exactly known. With regard to the age, an effort is required to increase scientific knowledge of the in-service teachers in 50's, compared to those in 20s' and 30s'. In the pre-service teachers, the average in the third yea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Regarding the major background in high school, both of in- and pre-service teachers who completed the science cour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than those who completed the liberal arts course. In addition, regarding the major in the university, the average of the group with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other majors.

  • PDF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 ;최준환;임재항;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3-26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교사양성 과정에 있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중에서 선정하였으며 물리교육 전공 5명, 생물교육 전공 8명, 지구과학교육 전공 1명, 화학교육 전공 8명으로 총 22명으로 구성되었다.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방형의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질문지는 크게 과학 지식의 본성, 과학적 방법의 본성, 과학이 미치는 영향의 세 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면담은 반구조화된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참여자 1인당 평균 20분 정도 소요되었고, 면담 내용은 모두 녹음한 후 분석을 위하여 전사하였다. 대부분의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가변성 및 발달적인 속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이해를 잘 하고 있었으나 과학적 진설의 존재에 대한 이중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과학이 개인 및 사회생활에 미친 영향으로 기술의 측면을 언급하고 있으며, 과학과 기술과의 관게에 대한 제한된 인식으로 가지고 있었다. 과학적 방법에 대해서는 가설연역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연구가 더 과학적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실험의 과정에 대해 일련의 정형화된 단계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로부터 볼 때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의 본성의 다양한 측면들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매우 제한된 인식을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 권선영;박장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1-3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교육대학생의 열과 온도에 대한 오개념과 이상조건 이해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에 Misconceptions and Understandings of Ideal Conditions about Heat and Temperature)

  • 권성기;최수정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2호
    • /
    • pp.131-140
    • /
    • 2004
  • Many idealizations and ideal conditions in physics have been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of the basic physics concepts and in solving physics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pre-service teachers' misconception of heat with their understanding of the ideal conditions involved in solving problems of heat and temperature. Test instruments were composed of two parts. One part was asked to answer the heat conceptions, the other to write statements in relations to ideal condition hidden in the process of heat problems solving. For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who are in four major courses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a local city were selected and total number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108 students. The framework was developed for classifying pre-service teachers response of open items of ideal conditions of heat domains. According to the framework, each types of response were coded, analyzed and processed with a SPSS/PC program.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In the heat conceptions, most of students showed correct respons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jor courses. In understanding of ideal conditions, students' responses of "idealized condition relevant to problem" showed 65.2% of them, and "not relevant idealized conditions" 15.5%, and no response 12.2%. In the 15.5% of students "not relevant idealized conditions", 10.5% of them did not explained correctly conditions, just simply 2.7% stated the laws in physics or formula, 1.6% generally, but irrelevantly described the idealized conditions. More importantly pre-service teachers showed very weak correlation between heat conception and understanding of ideal condition. Although we concluded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of heat conception in understanding of ideal conditions in thermodynamics domain, these suggest that many other factors may influence understanding of ideal conditions in physics.

  • PDF

예비 화학 교사의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 계획과 수행: 어려움과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quiry-Based Science Instruction that Emphasizes Argumentation and Writing: Focus on Ways to Overcome Difficulties)

  • 방애리;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0권5호
    • /
    • pp.342-35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 교사가 논의와 글쓰기가 강조된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해나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화학 교사가 각 주제 수업 개발 후, 10개 주제 전체 수업 개발 후, 각 주제 수업 수행 후, 10개 주제 전체 수업 수행 완료 후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수업 지도안, 수업 녹음, 학생 작성 활동지 등을 분석하였다. 예비 화학 교사는 논의와 글쓰기를 강조한 탐구 수업 과정에서 자신의 과학 지식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이후의 수업 준비에서는 철저한 과학 개념 확립을 위한 노력을 하였다. 학생 수준 파악의 어려움은 현장 경력교사의 조언, 학생들과의 상호작용, 교과서의 서술 내용 분석 등을 통하여 극복하려 노력하였다. 또한 다양하고 방대한 과학 수업 자료를 참고하여 탐구 중심 과학 수업 지도안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각 주제의 수업 목표를 명확히 세운 후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동을 선정할 수 있었다. 수업 시간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적극적인 학생 참여를 유도하는데도 어려움을 겪었고 현장 경력 교사의 조언을 토대로 격려와 통솔을 병행함으로써 향상되었다. 또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논의와 글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 제공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논의 참여와 글쓰기 수준 향상을 도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