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행복에 대한 은유분석 (Analysis of Metaphor for Teacher Happines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강유진;고희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205-21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e wa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nk about teacher happiness through metaphor analysis. Methods: A total of 225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from 4-year universities in the Gyeongnam area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A total of 207 out of the 225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Results: First, based on psychological well-be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life purpose were deri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ypified teacher happiness into five type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control, and life purpose.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eacher happiness as positive.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and purpose of life as positive, while environmental control and autonomy were perceived as negativ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education and to develop a program to raise positive awareness of futur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study results can also be used as basic data for high quality teacher education.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he Roles of Teachers)

  • 엄은나;서동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1-128
    • /
    • 2015
  •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이며 보육실습에 참여한 학생 69명이 실습 중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및 은유하기와 이미지 그림, 면담 기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자유선택활동의 의미는 '가슴 설레는 축제', '울타리 있는 놀이터', '배움을 찾아가는 여행'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함께 하는 교사', '끌어주는 교사', '바로잡아주는 교사', '북돋아주는 교사'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과 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직전교육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비보육교사의 OK-gram 긍정성과 학대인식 연구 (A study on OK-gram positiveness and abuse awareness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 이남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36-2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과정을 이수 하고 있는 예비 보육교사의 긍정성과 학대인식 관계와 전공분야 특성과 학대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긍정성의 하위요인은 자기긍정성과 타인긍정성으로 나누고 학대는 4가지 하위요인인 신체, 성, 정서, 방임으로 구분하여 각 하위요인에 따라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강원도, 서울소재의 보육학과 및 사회복지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12일 5일간이었다.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얻은 결론은 첫째, 긍정성은 학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자기긍정성과 타인긍정성 중 타인긍정성이 높으면 학대 인식을 더 잘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예비보육교사의 타인긍정성을 높이는 인성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둘째, 학대정도의 심각성은 평균값 4.594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4.789), 신체(4.587), 방임(4.510), 정서(4.498) 순으로, 정서학대에 대하여 지표를 인식하는 정도가 제일 낮아 정서 학대인식에 대한 사회적 기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셋째, 전공분야 특성에서는 예비보육교사의 실무경험이 학대인식에 도움을 주는가에 대하여서는 도움을 주고 있으며, 특히 보육실습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보육교사 훈련과정 중 실무 경험의 기회를 늘리고 특히 보육실습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실무교육과정의 편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 이효빈;권연희;안정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05-126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Based on Kane and Trochim's(2007) procedure, 3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ducted brainstorming and statement writing, and then the importance of selected statements were rated by 20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statemen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as concept mapping with 2-dimensions and eight clusters. The following eight clusters were established (1) daily practice through hands on experience, (2) nature environment, (3) recognizing and cop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4) environmental preservation practices, (5)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nsideration, (6) purpos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7) necessity for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8) Practice through connection with child's home and community. And then among the eight clusters, the most important was recognized as 'daily practice through hands on experience', and among the statements 'young children learn through the method of playing in nature and experience nature'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ow to support to develop teacher's training program.

예비보육교사의 지역사회에 기반한 보육프로그램 개발 리더십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ducare Teacher's Leadership Experiences about Educare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Communities)

  • 윤갑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275-300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보육교사들이 지역사회에 기반한 보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내용들을 교사 리더십과 연결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의 보육교사 양성학과 영유아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수업에서 예비보육교사 41명을 대상으로 보육프로그램 개발과정이 실시되었다. 그 과정에서 기술된 이들의 반성적 저널과 수업 이후 실시된 5명의 면담자료들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보육교사들의 경험은 첫째, 지역사회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애착 둘째, 기존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분석 셋째, 자신의 교육철학과 역량에 대한 반성 넷째, 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리더십 경험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교육과정 리더십 개발을 위한 예비교사교육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예비보육교사의 보육교사 이미지에 대한 인식과 자아이미지 탐색연구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Image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Self-image)

  • 양혜영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7-16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예비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육교사의 이미지 그리고 현재 자아이미지와 미래 본인들의 보육교사 이미지를 수업(명화 분석지, 조별토론, 자아이미지 성찰지)과 심층면담을 바탕으로 어떻게 구체화 되어가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 1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보육교사들은 자신들의 현재 자아이미지를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깊이 있게 인식해보는 기회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과정들은 현재 자신의 자아이미지가 보육교사직 선택에 대한 갈등 중이며, 자존감이 낮고 자신감이 없어진 자아이미지, 열심히 보육교사직을 준비 중이지만, 불안한 자아이미지를 지니고 있음을 솔직하게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멈추지 않고, 미래를 위한 자신의 자아이미지를 위하여 예비보육교사들은 스스로 자아이미지를 새롭게 구축하려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보육교사직을 희망하고 있기에 앞으로 본인들에게 필요한 건강한 자아이미지를 위해 현재시점에서 구체적인 실천들을 계획했으며, 더 나아가서 미래에 만나게 될 동료 보육교사들과 함께 보육교사의 올바른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하는 모습으로까지 자아이미지가 성장하고 변화되었다. 한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사실은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절실히 필요했던 것은 본인들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존중해주며, 자신감을 불어넣어주는 교사교육자의 역할이었다. 이는 교사교육자인 본 연구자에게도 시사하고 있는 바가 매우 크다. 예비보육교사들을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에서도 교사교육자는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관심을 고려하여, 이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수업내용을 구체적으로 제공해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이들을 위한 정서적으로 지지해주는 역할도 재인식해야 함을 절감하게 되었다. 가르침과 돌봄이 핵심어가 되는 보육교사의 이미지를 교사교육자인 연구자가 먼저 모범으로 실천해야함을 확인하였다.

예비.현직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교수신념의 관계에서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in the Relationship of Pre-service and In-service Child Care Teacher's Self-Esteem and Creative Teaching Beliefs)

  • 정혜진;이완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71-1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과 창의적 교수신념의 관계에서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가 예비 유아교사와 현직 유아교사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에 현직 유아교사 157명, 예비 유아교사는 244명으로 자아존중감,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 창의적 교수신념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두 집단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 매개모형을 각각 독립적으로 검증하였고, 두 집단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변인 간 회귀계수를 산출하였다. 각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해 적합도지수를 이용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Z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예비-현직 유아교사의 경우 모두 자아존중감이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직교사의 경우 확산적 사고에 대한 태도가 창의적 교수신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미치는 직, 간접 효과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예비 교사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창의적 교수신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없었지만, 확산적 사고 태도를 통해 창의적 교수신념을 설명하는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상담에 대한 보육교사와 유아기 어머니의 인식 및 요구 (The Child Care Teacher's and Mother's Recognition and Need about Child Counseling and Therapy)

  • 문수경;이무영;박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4호
    • /
    • pp.181-196
    • /
    • 2007
  •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 care teather's and parents's recognition and need about child counseling and to analys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44 child care teachers and 260 mothers of the day care centers.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Most child care teachers are aware of child counseling through lecture, pre-service education, and internet. Most mothers hear about child counseling through internet. They think that child counseling is very effective for young children, especially for negative experience and emotion. Most child care teachers think that they can administer child counseling. especially daycare centers. But mothers think that special facilities is the most appropriate place by child counseling. Child care teachers and mothers regard the credibility of human being as personal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child counseling. Counseling specialists are to be the most appropriate person for followed by child care teather's and parents. And they think that special training is needed for child counseling. but few of them receive special training. They perceive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in child counseling. but they rarely experience related education of child counseling. Especially, they feel lack of time and information. They also want to apply to child counseling children education after learning it through counseling association or by observing real situations in child counseling center using morning time or during weekends. Most mothers and child care teachers know play therapy, art therapy. bibliotherapy, sand play therapy.

유아의 자유놀이시간과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포토보이스를 중심으로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nd the Roles of Teachers : Focusing on Photovoice)

  • 박진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9-141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roles regarding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Methods: The study utilized the photovoice method and involved 21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ressed interest in participating.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an infants teaching methodology class in B city. The study involved four virtual meetings conducted via untact teams, and the automatic recordings of these meetings were transcribed f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zed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s a period to enjoy full freedom, develop as the main agent of their lives, and express their imagination. Furtherm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eir roles during young children's free play time as a specialist infant observer, a connector between play and learning, and a versatile supporter.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a systematic curriculum to provid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 balanced perspective and awareness of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eacher roles.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panding pre-practice courses for observation of play and field-oriented curriculum for incumbent teachers.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 신고운;김정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6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Th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19.0 and AMOS 20.0.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Results: Firs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were found to affect their teaching efficacy directly. Als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affect their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direct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high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