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enopausal women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1초

난포자극호르몬이 인간의 자궁 기질세포의 유전자 발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 (Alteration of Gene Expressions in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by Exogeneous FSH Treatments)

  • 최혜원;전진현;이형송;홍인선;강경선;궁미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1권4호
    • /
    • pp.217-223
    • /
    • 2004
  • Objective: To evaluate the effects of recombinant FSH (rFSH) and urinary FSH (uFSH) on the gene expressions of human endometrial stromal cells in vitro. Methods: Endometrial tissue was obtained from a pre-menopausal women undergoing hysterectomy. Primary endometrial stromal cells were isolated and in vitro cultured with FBS-free DMEM/F-12 containing 0, 10, 100, and 1, 000 mIU/ml of rFSH and uFSH for 48 hours, respectively.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cultured cells and subjected to real time RT-PCR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rogesterone receptor (PR), estrogen receptor $\alpha/\beta$ (ER-$\alpha/\beta$), cyclooxygenase 2 (Cox-2), 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homeobox A10-1 and -2 (HoxA10-1/-2). Results: Both hormone treatments slightly increased (< 3 folds) the expressions of PR, ER-$\beta$ and HoxA10-1/-2 gene. However, ER-$\alpha$ expression was increased up to five folds by treatments of both FSH for 48 hours. The LIF expression by the 10 mIU/ml of uFSH for 12 hou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FSH (p<0.01). After 24 hours treatment of two kinds of hormones, the expression patterns of LIF were similar. The 100 and 1, 000 mIU/ml of rFSH induced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Cox-2 expression than those of uFSH, respectively (p<0.05). Conclusion: This study represents no adversely effect of exogeneous gonadotropins, rFSH and uFSH, on the expression of implantation related genes. We suggest that rFSH is applicable for th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without any concern on the endometrial receptivity.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Exercise in Premenopausal Women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 김경희;이정희;여진동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45-155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6개월 이내에 특별한 식이 요법이나 정기적으로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지 않은 폐경 전 성인여성이 복합운동에 따른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 결과는 폐경 전 성인여성의 건강 및 운동실시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번 발생하게 되면 치료나 완치가 어려운 골다공증 예방교육을 조기에 실시하고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의 30대 평균 연령은 35.44세, 신장은 30대 평균 158.89 cm이고, 40대 평균 연령은 41.89세, 40대 평균 신장은 160.78 cm를 차지했다. 신체 조성에서 근육 량, BMI, 체지방률의 평균은 30대에서 높았고, 골무기질,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중, 체지방량, 허리둘레의 평균은 40대에서 높았다. 요추골밀도 및 대퇴골밀도는 30대가 40대보다 높았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연령별 복합운동에 의한 30대 신체조성은 근육량, 골격근량, 제지방량은 증가하였고, 체지방량, 체중,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다. 40대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증가 하였으며,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는 감소하였다. 3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고, 4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 각 부위,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다. 사후분석 결과에서 신체조성의 변화는 복합운동 후 근육량, 체중, 체지방량, BMI는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골밀도의 변화에서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퇴골밀도는 대퇴삼각과 대퇴전체에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