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interview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7초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he Roles of Teachers)

  • 엄은나;서동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1-128
    • /
    • 2015
  •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이며 보육실습에 참여한 학생 69명이 실습 중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및 은유하기와 이미지 그림, 면담 기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자유선택활동의 의미는 '가슴 설레는 축제', '울타리 있는 놀이터', '배움을 찾아가는 여행'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함께 하는 교사', '끌어주는 교사', '바로잡아주는 교사', '북돋아주는 교사'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과 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직전교육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비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re-service Teacher Librarian During Student Teaching Practice)

  • 권선영;박장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21-3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과정을 체험하면서 느꼈던 개인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실습과정 전반과 실습과정을 둘러싼 모든 환경을 총체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최근 교육실습을 경험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사서 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구성요소는 '성장과정을 통한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의 형성', '진로설계에 대한 구체화와 실행전략', '실습경험을 통한 자기성장의 욕구', '조직문화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인지', '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현실 직시'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 요소는 시간적 흐름에 의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사서교사를 위한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동료멘토링을 활용한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Utilizing Peer Mentoring for Teachers' Self-efficacy Improvement and Peer Metoring Perception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05-318
    • /
    • 2017
  • 본 연구는 중등 예비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동료멘토링을 활용하여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자기효능감 요인들 즉, 상황경험, 간접경험, 언어적/사회적 설득, 감성적/생리학적 상태의 향상과 동료멘토링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멘토와 멘티로 구성된 팀활동과 멘티의 수업시연 및 동료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뷰와 성찰저널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요인들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료멘토링의 인식에 대한 결과 분석에서 멘티의 경우 멘토들의 조언을 통해 상호작용과 소통을 통해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실습 및 실무경험의 기회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제 해결 중심 탐구실험에서 예비 화학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Difficulties in Practice of Inquiry-based Experiment)

  • 백종호;최취임;정대홍
    • 대한화학회지
    • /
    • 제59권5호
    • /
    • pp.434-444
    • /
    • 2015
  • 탐구 중심 실험은 과학 지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이 탐구 중심 실험 수업에서 경험했던 어려움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22명의 예비교사가 낮은 수준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 해결 기반 탐구로 계획된 강의에 13주 동안 참여하여 탐구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해 설문과 심층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주로 실험 설계 과정과 자료해석 과정에서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목표에 대한 이해, 선지식이 부족하다는 인식, 탐구에 대한 자신감, 실험 도구 및 장비에 대한 이해 부족 등에서도 어려움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 탐구에 대한 적절한 지도를 위하여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충분한 탐구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e-포트폴리오 활용한 성찰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교수효능감 변화 (Promoting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with Reflective Thinking using e-portfolio)

  • 이수연;홍성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68-978
    • /
    • 2013
  • 교수효능감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자기 믿음이자 신념이다.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교수활동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e-포트폴리오는 이러한 성찰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성찰활동이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원양성교육과정에서 e-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35명을 대상으로 10주간 e-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교육적 성찰과 학습자료 정리활동에 참여하도록 한 후,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사전 사후의 교수효능감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의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e-포트폴리오의 장점으로 다양한 성찰 유도, 학습자료의 체계적 저장, 정보의 공유 등을, 단점으로는 익숙하지 않은 활용방법과 낮은 접근성 등을 지적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의 교수효능감 증진을 위한 e-포트폴리오 활성화 전략을 제안하였다.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사례연구 - 7${\~}$9단계 수학수업과 연계된 교수$\cdot$학습보조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 (The Case Study of Using Technology in Education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Developing Materials Assisting Teaching-Learning for 7th-9th Grade Mathematics Classroom -)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7권4호
    • /
    • pp.337-35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학교수학수업에의 공학적 도구 활용을 논의의 주제로 설정하고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관찰을 통해 사례로 선정된 사범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여 7${\~}$9단계 수학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수업활동을 시행하였다. NCTM과 제7차 교육과정의 교수-학습방법 제안을 배경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수학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명제를 개념적 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연구의 방향과 자료분석의 토대로 삼았다.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관찰자료, 면담자료, 문서자료 등을 토대로 연구의 초기에 설정된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학교현장의 수학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공학적 도구 활용교수${\cdot}$학습 보조자료를(단계별 수학디자인 산출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 PDF

예비화학교사가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이 학습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Influence of Science Education Courses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 of Learning)

  • 고은정;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05-11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이 사범대학에서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은 학습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3인의 학습관 및 수강한 과학교육 과목과 관련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자신의 학습관을 변화, 수정하거나 유지, 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과학교육 과목을 수강하기 전에 지녔던 예비교사 K와 P의 전통적 학습관은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구성주의적 학습관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구성주의 학습관은, 학교 현장 실제성에 바탕을 둔 과학교육 과목 수강 이후에 다시 현장의 수업 상황을 고려하여 수정되고 변형되었다. 예비교사 H는 이전부터 지녔던 구성주의적 학습관에 전통적 학습관을 추가하여 지니게 되었다. 이로부터 정도와 방향의 차이는 있지만 예비교사 K, P, H 모두 과학교육 과목의 수강을 통해 학습관을 고찰하고 수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론의 현장 적용을 강조한 과학교육 과목이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학습관을 고찰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교원 양성대학의 과학교육 과목의 내용에 현장성이 많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며, 예비교사별 맞춤식 교수활동 및 학습관 정립을 위한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이 포함되어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Impact of an Information Leaflet on Knowledg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Hepatitis B among Chinese Youth

  • Ouyang, Jun-Jie;He, Wen-Jing;Zheng, Kai-Xin;Chen, Geng-Zh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439-443
    • /
    • 2016
  • Background: To assess the effect of an information leaflet on the level of Chinese youth's knowledge about hepatitis B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the most common type of primary liver cancer (PLC).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500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the Chaoshan area of China,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intervention group of 280 participants and a control group of 220. Baseline knowledge of HCC and hepatitis B was evaluated by questionnaire interview. Subsequently, only the intervention group was given an information leaflet of HCC and hepatitis B. Three months later, the two groups were contacted for a second interview. Changes in knowledge from baseline of HCC and hepatitis B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PRE-questionnaire scor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However, the mean POST-questionnair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The leaflet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participants' questionnaire score, and raised their level of knowledge about HCC and hepatitis B. Conclusions: The information leaflet intervention is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knowledge of HCC and hepatitis B among the youth.

Career Competenci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actitioners

  • PARK, Yong-H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4호
    • /
    • pp.259-265
    • /
    • 2020
  • The study aims to define the career competency of HRD practitioners based on an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This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been achieved by the accumulation of career capital through the three ways of knowing, including knowing why, knowing how, and knowing with who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ith 15 HRD practitioner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HRD practitioners. For the orientation about the interview,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importance of gathering data about the personal experiences of the respondents on their work and career. After that explanation, the researcher asked several questions based on the pre-structured interview guide. The data collected were qualitatively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s, the subcategories of each way of knowing competency were identified. For the knowing why, identity, credibility, and career clarity were identified. The subcategories of knowing how are remaining updates, hard skills, and soft skills, while the subcategories of knowing with whom are personal networking and professional networking. The interdependency among the three career competencies was found. The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applying an intelligent career framework.

어플리케이션 기반 생물 관찰 기록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Analyses of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through App-Based Learning of Observing and Recording Living Things)

  • 박형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307-322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pp-based learning of observing and recording living thing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Samples of the study were composed of 24 sixth-grade students attending the science club of N elementary school in Seoul, Korea. The learning was conducted for 12 times over 7 months. 'TOSRA(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was us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ind out more detailed characteristics, records of interview were also gathered and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paired t-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was found. As results of the interview, it was revealed that 'experiences of outdoor activities' greatly influenced the increase of science-related attitudes of the students. Second, in ANCOVA, according to 'gend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 of science-related attitudes.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cience-related attitudes according to 'preferred science subjects' and 'whether individual interest has occurred about observing and recording liv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research of elementary biology education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