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gmatics analysi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7초

A Study of Apology Strategies between Genders in EFL College Students

  • Shim, Jae-Hwa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2호
    • /
    • pp.225-243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different speech act of apology strategies between male and female EFL college students by comparing the components of intensity, stylistic competence, and semantic formula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7 participants who were studying freshmen English reading course at the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of C University in Seoul. Most students were English majors taking pre-teacher course of teaching English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ender groups of male and female.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DCT) which was revised from the speech act of apology by Olshtain and Cohen (1990) was provided with the participants after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speech act of apology in ten situations. The speech act of apology depends on situation variables: social solidarity, severity of offense, and social statu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preference of intensity, male and female have almost the similar ratio in high (female: 24.7%, male 24%) and low intensity (female: 75.3%, male: 76%). In the use of stylistic competence, male group (21%) expresses more diversely formal features than female group (12%), while female (87%) use more informal features than male (66%). Most of participants show a limitation in the use of speaking four types of semantic formulas: expression of apology (APOL), acknowledgment of responsibility (RESP), offer of repair (REPR), and promise of forbearance (FORB). As nonnative speakers, the participants cannot conduct the semantic formula in some situations regardless of the tasks provided. The results suggest that English teachers should recognize pragmatic variations in which students feel difficulty in appropriate speaking strategies on apology. This study also contributes to teaching learners the strategies and speaking patterns in the course of various apology situations.

  • PDF

러시아어와 폴란드어 문학텍스트 내 생략의 화용적 분석 - 므로제크의 "남쪽으로의 도주"를 중심으로 - (A Pragmatic Approach to Ellipsis in Russian and Polish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of the Novel "Exit to the South")

  • 정정원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407-459
    • /
    • 2013
  • The paper pragmatically analyzes ellipsis in Russian and Polish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The famous Polish writer Sławomir $Mro{\dot{z}}ek^{\prime}s$ "Exit to the South", written in Polish and Russian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analysis. Russian and Polish ellipsis in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have in common that the givenness and subjecthood of the elliptical co-referent play a crucial role. However, the ellipsis in two languages also has differences in many ways. Above all, in the Polish texts of colloquial and informal style, a theme is likely to be elliptical and the coreferential relation reaches to an extra-sentential antecedent, while the ellipsis in analysed Russian texts in most cases requires coordinate, subordinate or relative clauses, and the elliptical co-referent tends to have an intra-sentential antecedent. The ellipsis of the theme-subject is unmarked in Polish, where every verbal form has an ending denoting person. Unlike formal style which often allows explicit noun subject, Polish text of colloquial and informal style prefer null form of the subject in most cases. If Polish sentences have explicit theme-subjects, they disambiguate intervening and main themes, and indicate the contrast, the focus, the introduction of new narratives or the change of speaker's point of view. Sometimes direct speeches and deictic pronouns also need explicit theme-subjects in Polish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 ellipsis of the theme-subject is marked in Russian even in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The theme-subject can be deleted in Russian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if the subject is a form of the first or the second person, or if the aspect and the tense of the antecedent sentence's verb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given sentence's verb and both the antecedent and the coreferential word have the nominative case.

담화 관련 연구동향 분석 : 2010년 ~ 2023년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discourse: Focusing on domestic research from 2010 to 2023)

  • 손소라;김화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349-358
    • /
    • 2024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담화를 주제로 연구한 연구들을 중심으로 담화 연구에 대한 언어병리학의 전반적인 흐름 살펴보고자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논문 25편을 선정하여 연구의 현황, 연구 대상(연령 및 대상자 유형), 연구 방법(유형 및 과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담화 연구의 연도별 현황을 살펴보면 2015년을 기점으로 2010년 ~ 2014년에 비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는 대상자의 연령과 실험연구의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먼저 대상자의 연령을 분석해 보면, 학령기(12편, 48.00%) 대상으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 유형 분석 중 실험집단 대상자 유형 분석을 살펴보면 Normal 집단의 연구가 4편(19.04%)으로 가장 많았고, 통제집단 대상자 유형 또한 Normal을 통제집단으로 설정하고 진행한 연구가 13편(61.90%)으로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 방법 분석에서 연구 유형의 경우 실험연구가 21편(84.00%)으로 매우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간 관점의 연구 유형은 횡단연구가 21편(84.00%)으로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담화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중 높게 사용된 연구 과제는 담화 산출로 총12편(48.00%)이었다. 본 연구는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와 관련 있는 담화 관련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최근의 동향에 대한 경향성과 함께 담화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도모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논문으로 제한하여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담화와 관련된 국외 연구까지 포함하여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논의가 이루어질 것을 바란다.

미국 드라마에서 사과 언어의 문화적인 분석 연구 -<위기의 주부들>을 중심으로- (Cultural Analysis of Apology in American TV Series -Taking Desperate Housewives as an Example-)

  • 쑨리리;신유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5-91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사과 언어 분석에 있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문화간 의사소통 시각에서 국가별 사과어의 비교연구와 일상어로 국한하여 사과 언어를 분석하고 있는 한계가 있어, 사과전략에 대한 화용론(語用論)과 문화해석 이론을 도입하여 미국 드라마 <위기의 주부들> 시즌 7에서 나타난 사과 언어와 사과전략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트로스보리(Trosborg)의 사과 전략유형으로 <위기의 주부들> 시즌 7에서 나온 사과 전략에 대한 정리, 분류 및 통계처리 후 200개의 사과 전략을 무작위로 뽑아 상세히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과의 표현' 전략의 사용 빈도가 64.0%, '설명하기'와 '무례함의 정도 최소화'가 뒤를 이었다. '책임인정', '보상 제공', '청자에게 관심 표현하기'와 '재발방지약속'의 사용 빈도는 비교적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의 높은 개인주의, 비교적 낮은 권력의 거리와 낮은 컨텍스트 문화가 사과 전략의 사용 빈도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사과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키고 미국인과 교류하는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에서 올 수 있는 무례함을 줄이며, 문화간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동시에, 드라마 예술에서의 언어 분석을 함으로써 드라마 예술의 연구 범주를 보다 풍부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언어재활실습 여부에 따른 예비언어재활사의 역량조사 (Study of Porspective Speech and Language Pathologist Competence by Completion of Clinical practicums)

  • 김화수;구예주;이지우;이주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219-228
    • /
    • 2023
  • 본 연구는 언어재활실습 여부에 따른 예비언어재활사 역량에 대해 알아보고 예비언어재활사 지도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예비언어재활사 역량은 직무, 지식, 기술, 언어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언어 영역은 의미, 형태, 화용으로 하위영역을 구분하여 총 36문항의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언어치료전공 학생으로 총105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실습 여부에 따른 예비언어재활사 역량을 분석하기 위해 t-검정, Pearson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 영역의 지식, 직무, 기술, 그리고 언어의 모든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역량과 언어 하위영역 간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역량 하위영역과 언어 영역에 유의한 설명력을 보이며 예비언어재활사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언어재활사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언어 요소에 대한 이론적인 지식이 기반이 되어야 하며, 이론이 예비언어재활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예비언어재활사의 역량 향상과 전문적인 언어재활사 양성 및 이론을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교수법의 근거 자료로 의미 있게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