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 tea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7초

녹차가루 첨가 두부의 저장 특성 (The effect of Green tea powder levels on Storage Chracteristics of Tofu)

  • 정지영;조은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9-135
    • /
    • 2002
  • 한국산 대두(장엽콩)에 녹차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저장 특성을 검토하였다. 녹차가루 첨가 두부의 수율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수율을 보였다. 녹차가루 첨가두부와 두부 침지액의 pH는 저장기간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 감소폭은 녹차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서 가장 컸고, 녹차가루 1.0% 첨가시료에서 가장 적었다. 녹차가루 첨가두부 색도에서,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저장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L값과 b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녹차가루 첨가두부의 조직 특성치는 저장기간에 따라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녹차가루 첨가두부 침지액의 총 미생물 수와 흡광도는 증가하였으며, 녹차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치가 낮아져 저장 8일째의 녹차가루 1.0% 첨가시료의 미생물은 3.0x$10^{6}$ CFU/ml이었으며 흡광도는 0.175로 가장 낮았다.

Pair Fed 흰쥐에 있어서 녹차의 항증체, 지질개선 및 항산화 효과 (Effects of Green Tea on Weight Gain, Plasma and Liver Lipids and Lipid Peroxidation in Pair Fed Rats)

  • 강정애;채인숙;송영보;강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7호
    • /
    • pp.602-611
    • /
    • 2008
  • 본 연구에서 pair feeding함으로서 사료 섭취량이 체중이나 지단백 대사에 미칠 요인을 제거한 상태에서 녹차분말이나 녹차추출물이 갖는 항 비만효과나 지질 강하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녹차분말이나 추출물에서 증체 억제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녹차성분이 소장에서의 지방흡수를 억제하거나 지방산화를 촉진하고 대사율을 올려 열량소비를 증가시킨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이해를 같이 하는데, 예비실험에서 사료섭취량 자체가 억제됨을 감안 할 때 녹차 추출물이나 분말의 항비만 효과에 대해서 긍정적이다. 본 연구에서 녹차 추출물의 높은 콜레스테롤 흡수 억제력에도 불구하고 녹차의 콜레스테롤 강하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체 콜레스테롤 pool size에 강한 homeostasis 기질이 작용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식이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흡수억제에 있어서 녹차분말과 녹차 추출물의 장내 유용성과 체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담즙 생성에 있어서 EGCG를 포함한 차 카테킨 작용기전을 이해하기 위해서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녹차 분말과 추출물은 항산화 지표에도 정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는데 녹차 카테킨은 수용성으로 bioavailability가 비교적 높은 polyphenol계 항산화 물질로서 녹차 잎의 건조중량 50% 이상이 카테킨이고 이중 80% 이상이 catechin gallate 형태로 강한 항산화 효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있다. 노화를 활성산소에 의한 세포의 손상과정이라 볼 때 식품으로서 녹차는 매우 중요한 입지에 있다. 차로 마시는 녹차의 섭취방법에서 분말이나 추출물로 섭취방법을 다양화하고 있는데 분말과 추출물의 영양적 효과를 비교해 볼 때 유리 (free)된 카테킨 형태로 추출물이 유리할 수 있지만 녹차분말이 식품으로서의 높은 선호도와 함께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면 분말차의 섭취도 좋은 방법이다. 음료로서 따져 볼 때 일회 분량 2 g의 녹차를 3회 우려 마시는 경우 이로부터 섭취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은 EGCG기준으로 $109{\sim}147\;mg$정도이고 이를 비타민 C 로 환산하는 경우 $142{\sim}168\;mg$이다. 천연의 항산화 물질을 자연스럽게 섭취하는 방법으로서 차의 음용을 생활화하는 것은 비만이나 퇴행성 또는 노화관련 질환의 예방차원에서 바람직하리라 본다.

쌀가루 입자크기와 녹차첨가량을 달리한 녹차다식 개발과 품질특성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and of Green Tea Dasik Processing with Varied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 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09-614
    • /
    • 2007
  •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sik were studied with varied the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and compared them with commercially sold dasik. Among the samples with the same number of grinding times, the sample groups with the higher amount of green tea showed significantly the less mosture content(p<0.05). Hardness was higher in the samples containing higher amount of green tea among the ones with the same grain size (p<0.05). The M13G0.5 was evaluated to have the highest savory aroma with significance (p<0.05), and C1 to have the highest sweetness by sensory analysis. The developed dasik samples with lower rice grain particle size had significantly lower adhesiveness, chewiness, gumminess, and cohesiveness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sample groups. In sensory tests, the compare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the higher savory aroma and flavor and very lower hardness when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 sample groups. With the results above, dasik with with varied the levels of rice grain particle size and green tea powder were developed with improved qualities compared to those of commercially sold dasik.

녹차가루가 당뇨 쥐의 골 대사 지표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Bone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STZ-Induced Diabetic Rats)

  • 최미자;조현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3-72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green tea powder supplementation on bone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Thirty-two male Sprague-Dawley rats (body weight $210{\pm}3g$)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iabetic and non-diabetic groups. Each group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subgroups which were fed with the control and 1% green tea powder diets. The serum and urine concentrations of calcium and phosphorus were determined. Serum osteocalcin and ALP and urinary DPD crosslinks value were measured in order to monitor bone formation and resorptio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bone mineral content (BMC) were estimated using PIXImus in the spine and femur. Body weight gain and FER were lower in the diabetic group than in the non-diabetic group regardless of diets. The serum concentration of calcium and phosphorus were not changed among all groups. Urinary calcium and phosphorus excretion were higher in the diabetic group than in the non-diabetic group regardless of diets; however,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green tea powder intak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LP) was increased in the diabetic group than in thenon-diabetic group. Furth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osteocalcin and urinary deoxypyridinoline crosslinks value among all groups. The levels of spine and femur bone mineral density of the diabetic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n-diabetic group. Within the diabetic group, spine BM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ats fed with the green tea powder diet than in rats fed the control die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green tea powder has a beneficial effect on bone health, although it is not directly applicable to humans.

홍삼과 녹차 첨가 약과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 및 기호도 - 한.중.일 신세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Red-ginseng and Green Tea Yackwa Among Korean.Chinese.Japanese Female Consumer)

  • 여가은;박재영;조미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33-545
    • /
    • 2013
  •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cookies, yackwa is composed of ingredients which serve as good medicine to people. Further, it has a priceless value and possibility to be a healthy functional dessert. For this study, we developed variable yackwa, containing red-ginseng powder and green tea powder, in order to target the foreign market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yackwa. The test sample for the control group, yackwa is made of flour, sugar, baking powder, sesame oil and alcohol. For the experimental group, yackwa contains red-ginseng and green tea powder (3, 6, 9, 12%). The investigation period was May 14th, 2013 an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was 100. The investigation applied a consumer survey method by filling out a questionnaire while tasting 9 kinds of yackwa samples. They were used for frequency,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19.0. In the yackwa perception survey, the result indicated that 52.0% of the customers replied 'Do not know well' and 'Do not know at all' which conveys that the perception of yackwa is very low. In contrast, the perception of the red-ginseng and green tea which are functional ingredients is high and the customers tend to prefer the taste and flavor of green tea than red-ginseng. And they prefer the yackwa containing 3% of red-ginseng and green tea powder compared to other ratio contents in the overall preference, color, taste, flavor, odor, degree of greasiness and texture. When people who have a higher perception of yackwa, they tended to prefer the color of red-ginseng yackwa and dislike the color of green tea yackwa. And the more people prefer the taste of green tea, the higher in overall preference, color, taste, flavor, and odor preference.

뇌 조직에서 알코올 투여에 대한 녹차 건분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Green Tea Powder Diet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in Rat Brain Regions)

  • 장남수;류선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5호
    • /
    • pp.525-531
    • /
    • 2001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against acute ethanol-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the change of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various regions of rat brain : cortex, cerebellum, striatum and hippocampus.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examined : malondialdehyde(MDA) levels and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GSH-Px).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given the experimental containing 1% green tea powder or control diet for 4 weeks, and at the end of feeding diet group received acute ethanol(5g/kg body weight) or equicaloric sucrose solution intragastrically. Green tea powder significantly decreased MDA levels in the striatum compared to control-non alcohol treated group to 1% green tea-non alcohol treated group without altering the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Green tea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GSH-Px activities in the hippocampus compared to either control-non alcohol treated group(0.043units/mg protein) or 1% green tea-non alcohol treated group(0.071units/mg protei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derate consumption of green tea leaves can exert protective effects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in brain regions, by reducing MDA concentrations in the striatum and enhancing GSH-Px activities in the hippocampus. (Korean J Nutrition 34(5) : 525∼531, 2001)

  • PDF

가루녹차 첨가 요구르트에 의한 충치 원인균 증식 억제 효과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Growth Inhibition of Oral Bacteria in Yoghurt)

  • 정다와;박신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00-506
    • /
    • 2005
  • 가루녹차 첨가 드링크 요구르트에 오염된 충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가루녹차가 식중독 유발균과 충치 원인균에 대한 생육 저해 도를 검토한 결과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entetitidis의 경우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Escherichia coli O157:H7는 가루녹차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 억제 현상도 약간 높아지며 증식이 약간 억제되어 가루녹차 무첨가구에 비해 가루녹차 $0.5\%,\;1.0\%,\;1.5\%,\;2.0\%$$2.5\%$ 첨가구에서 24시간 배양 후 각각 0.40, 0.43, 0.46, 0.52와 0.54의 log cycle로 감소되었고, Streptococcus mutans의 경우에는 각각 0.56, 0.65, 0.70, 0.81과 0.99의 log cycle로 감소 폭이 커지면서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가루녹차를 $0.5\%,\;1.0\%,\;1.5\%,\;2.0\%$$2.5\%$ 첨가한 드링크 요구르트내에서 $3.4\times10^7CFU/mL$ 수준으로 접종된 Streptococcus mutans는 24시간 배양시 $9.8\times10^5\~2.0\times10^6 CFU/mL$로 감소되었으며, 48시간 배양 후에는 $1.4\times10^4\~7.2\times10^4 CFU/mL$$2.66\~3.36$의 log cycle이 감소되면서 Streptococcus mutans의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다. 이와 같이 가루녹차 첨가에 의한 드링크 요구르트 내에서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생육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당의 종류와 녹차가루 첨가량에 따른 육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According to the Kinds of Saccharides and the Concentrations of Green Tea Powder)

  • 박금순;이선주;정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30-235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 전통적 인 육포제조법을 이용하여 일반화되지 않은 육포제조와 기호적인 제한점을 보완하고 건강, 기호식품인 녹차를 첨가하여 육포를 제조하여 품질특성과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육포의 수분함량은 당을 첨가한 육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고 올리고당을 첨가한 육포군이 다른 당을 첨가한 군보다 수분 함량이 높았다. 또 녹차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증가되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아미노산의 함량은 필수아미노산에서는 leucine, isoleucine, lysine이, 비필수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aspartic acid 순으로 높았다. 관능검사에서 색과 견고성은 녹차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촉촉함은 꿀 첨가군이 설탕,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보다 높았다. 색도 측정에서는 녹차가루 첨가량이 높을수록 명도값(L)은 낮았고 적색도(a), 황색도(b)은 높았으나 당의 종류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 기계적 측정에서 견고성은 녹차가루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꿀 첨가군이 설탕, 올리고당을 첨가한 육포군보다 높았다. 점착성와 파쇄성은 녹차가루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었으며 꿀, 설탕, 올리고당을 첨가한 육포군은 대조군보다 낮았다. 탄력성은 녹차가루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았으나 녹차가루 3%군은 대조군보다 다소 높았다. 관능검사간의 상관관계에서 색은 향기, 연화성과 정의 관계이고 맛은 촉촉함, 전반적인 기호도와 정의 관계로 유의성이 있었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는 관능검사의 촉촉함은 기계적 검사의 명도값(L), 응집성 , 탄력성과 정의 관계를, 견고성, 점착성과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설탕과 녹차가루 3%를 첨가하여 제조한 육포군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가루녹차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Growth of Lactic Culture)

  • 정다와;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05
  • 가루녹차를 첨가한 기능성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가루녹차의 농도별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 및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루녹차를 첨가한 skim milk 배지에 Streptococcus tho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 균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균주의 경우 가루녹차의 첨가 농도($0.5\%,\;1.0\%,\;1.5\%,\;2.0\%\;and\;2.5\%$)를 달리하였을 때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증식 효과는 아주 미비하였으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배양 9시간부터 가루녹차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균수를 보이며 약간의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고, 배양 12시간부터 pH가 하락하였고 적정산도는 상승하였다. 그러나 가루녹차의 첨가량에 따른 생육과 산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혼합 균주의 경우, 단독균주로 배양하였을 때보다 가루녹차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이 촉진되었다.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가루녹차 $0.5\%$$1.0\%$ 첨가시, 배양 15시간 후에 각각 $1.5\times10^9$ CFU/mL, 또한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0.5\%$ 첨가시 배양 12시간 후 $1.4\times10^9$ CFU/mL, $1.0\%$ 첨가시에는 배양 15시간 후에 $1.5\times10^9$ CFU/mL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pH 저하와 적정산도 상승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가루녹차 첨가 기능성 요구르트 제조시 가루녹차를 $0.5\~l.0\%$ 첨가하여 유산균을 혼합균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dditive Effects of Green Tea on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and the Fermentative Quality of Rhodesgrass Silage

  • Burrenok, Smerjai;Tamaki, Masanobu;Kawamoto, Yasuhiro;Nakada, Tadas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920-924
    • /
    • 2007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a laboratory scale. The first involved a study of the effect of green tea on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juice of epiphytic lactic acid bacteria (FJLB). FJLB was treated with 50 g/L of green tea products as follows: new shoot powder (FJLB+N), leaf powder (FJLB+L), commercial powder (FJLB+P), sterilized new shoot powder (FJLB+SN), sterilized leaf powder (FJLB+SL) or sterilized commercial powder (FJLB+SP). FJLB without any additive was also prepared (Untreated FJLB). After incubation,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in FJLB were studied. Subsequently, these FJLB were applied at 10 ml/kg to chopped rhodesgrass to study their effects on fermentation. Compared with untreated FJLB, the addition of green tea increased (p<0.05)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also aerobic bacteria counts in FJLB. At 60 d of ensiling, all the FJLB treated silages were well preserved, pH and butyric acid content were lower (p<0.001) and lactic acid was higher (p<0.001) than that of the control. Lactic acid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with treated FJLB than with untreated FJLB. FJLB treated with sterilized green tea decreased (p<0.001) the pH and the lactic acid content was higher (p<0.001) than that in the unsterilized green tea sil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