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harvest quality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6초

Apple Quality as Affected by the Precooling Rate and $O_2$ Pulldown Rate in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 Mahajan, P.V.;Goswami, T.K.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권1호
    • /
    • pp.10-17
    • /
    • 2002
  • Quality attributes of apple are greatly affected by the cooling rat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during storage.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ooling rate on different quality attributes of apple. The effect of $O_2$ pulldown rate of the CA chamber on the quality of apple was also determined. Two methods were used viz. conventional CA procedure and rapid CA procedure. Apples stored by medium and slow cooling methods lost its flesh firmness significantly from an initial level of 4.55 kg to 2.83 kg and 2.27 kg, respectively on 35 days after storage whereas, in rapid cooling, the firmness level changed from 4.55 kg to 3.20 kg on 35 days after storage. At the end of 35 days of storage, titratable acidity decreased insignificantly from an initial value of 0.24l% to 0.239% in the case of rapid CA whereas in the case of conventional CA it dropped significantly to 0.215% from its initial level. The initial flesh firmness of 4.55 kg also changed significantly to 4.05 kg on 35 days after storage in conventional CA whereas in rapid CA it changed to 4.36 kg, which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at 5% level of significance. Total soluble solids increased from an initial level of $12.43^{\circ}$Bx to $12.60^{\circ}C.$ Bx on 35 days after storage in rapid CA whereas it increased to $13.07^{\circ}$ Bx in conventional CA. Ascorbic acid content of apple juice decreased insignificantly from 6.67 mg/100 mL to 5.87 mg/100 mL on 35 days after storage in rapid CA whereas in conventional CA, it decreased significantly to 5.27 mg/100 mL from its initial level.

  • PDF

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홍백'의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수확 후 처리 효과 (Effect of Postharvest Treatments on Fruit Quality of 'Hong Bak' Peach during Shelf Life)

  • 서정석;황용수;천종필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2호
    • /
    • pp.147-158
    • /
    • 2009
  • '홍백' 복숭아를 대상으로 저장 및 유통 중 품질 향상을 위한 1-MCP처리 방법과 4종의 선도 유지제 처리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홍백' 복숭아의 적정 1-MCP 농도는 1000ppb였고 경도유지 및 착색지연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는데 당도 및 산도의 변화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유통온도에 따른 1-MCP와 에틸렌 제거제의 효과를 보면 $20^{\circ}C$ 저장의 경우에 비하여 $30^{\circ}C$ 저장의 경우 1-MCP 처리의 긍정적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1-MCP 처리가 고온에서의 유통과정 중 품질유지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편 1-MCP와 선도유지를 위한 박스 내 충진물질의 복합처리 효과를 검토하여 본 결과 1-MCP와 카본세라믹 복합처리구의 경우에서 가장 높은 경도유지효과를 나타내어 실용성이 인정되었다.

  • PDF

CA저장 중 후지 사과의 내부 기체농도에 의한 저장조건의 적합성 판단 (Suitability Judgment of Storage Conditions by Internal Gas Concentration of 'Fuji' Apples under CA Storage)

  • 정헌식;최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95-1299
    • /
    • 1999
  • CA 저장 중 후지 사과의 내부 기체 농도에 의한 저장 조건의 적합성을 신속하게 판단하기 위한 지표를 얻기 위하여 과실 내부 에틸렌과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른 과육경도, 적정산도 및 과피 녹색의 유지정도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사과의 내부 에틸렌 농도가 10ppm 이하에서는 과육경도, 적정산도 및 과피의 녹색이 거의 손실되지 않았으나 약 10ppm 이상에서는 급격하게 손실되었다. 저장 중 사과의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을수록 높은 과육경도, 적정산도 및 과피의 녹색을 유지하였는데 특히 내부 이산화탄소 농도가 2% 이하인 사과에서 높은 품질특성을 유지하였다 따라서 후지 사과의 CA저장에 적합한 저장조건은 사과의 내부 에틸렌과 이산화탄소 농도를 각각 약 10 ppm과 약 2%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조건으로 판단되고, 사과의 내부 에틸렌과 이산화탄소 농도는 저장조건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 가능하였다.

  • PDF

Regional Differences in Onion Bulb Quality and Nutrient Cont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Bulb Characteristics and Storage Loss

  • Lee, Jongtae;Ha, Injong;Kim, Heedae;Choi, Silim;Lee, Sangdae;Kang, jumsoon;Boyhan, George 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07-817
    • /
    • 2016
  • Many onion growers and researchers assert that differences in soil type, agricultural practices, weather, and duration of prolonged onion cultivation in a particular field could affect onion bulb quality. This study evaluates the bulb quality of onions grown in different regions and deter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bulb characteristics and postharvest loss during cold and ambient storage. Soil and onion bulbs were collected from fields in six onion growing regions in Korea,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2011-2012. The fresh weight, dry matter content, and carbon (C), sulfur and magnesium contents of the onion bulb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ocation in which they were grown. Bulbs grown in Muan had the greatest number of scales, thinnest scale thickness, and the highest total soluble solids (TSS) and total flavonoids (TF). Bulbs originating from Jecheon had the lowest pyruvic acid (PA), total phenolics and TF. Storage loss of bulbs from the different regions was similar in refrigerated storage, but differed in ambient temperature storage. Bulb fresh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ale thickness (r = 0.617) and cold storage loss (CSL; r = 0.398). Dry matter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 (r = 0.958) and TF (r = 0.256) contents,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SL (r = -0.424). CSL was primarily affected by the fresh weight, as well as the dry matter, C, and PA contents of the bulbs, while ambient storage loss was primari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TSS.

Potential of Initial CA Condition on Quality Maintenance of 'Fuji' Apples during Export Simulation after Long-term Storage

  • Park, Youn-Moon;Park, Hyo-Geun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4호
    • /
    • pp.400-408
    • /
    • 2012
  • Effects of initial controlled atmosphere (CA) treatment on quality maintenance of 'Fuji' apples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and continuous CA storage. Apples were harvested twice at different maturity, treated with 1 ${\mu}L{\cdot}L^{-1}$ 1-MCP and then stored for 8 months at $0^{\circ}C$ under 3 conditions: air, CA for the first month followed by air (initial CA), and continuous CA (full CA). CA storage was performed with 1.5 kPa $O_2$ and < 1.0 kPa ($N_2$ balance). Following long-term storage, export simulation, refrigerated shipment and local distribution, were performed by holding apples at $0^{\circ}C$ for 2 weeks and on the shelf at $20^{\circ}C$ for 7 days. Both the application of 1-MCP and CA storage reduced ethylene production and respiration rates. Initial CA storage was also effective on reducing the metabolism although the effects were not as noticeable as full CA. Full CA storage with or without 1-MCP treatment maintained titratable acidity, flesh firmness, and sensory quality at the acceptable to excellent level even after the export simulation following 8-month storage regardless of harvest maturity. In contrast, effects of initial CA storage were limited to the maintenance of firmness and texture in early-harvested apples. Overall results indicated that harvest maturity is the critical factor for export fruit quality after long-term storage when separate treatment of initial CA storage or 1-MCP treatment is applied as a postharvest program.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 cut apples during storage according to processing steps and browning inhibitor treatment

  • Hyunna Jung;Sun-Duk Cho;Min-Sun Chang;Gun-Hee Kim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9-382
    • /
    • 2023
  • W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cut Fuji apples (Malus pumila)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after treatment with browning inhibitors. The primary aim was to elucidate processing suitability and storability. We observed that in the processing stage of slicing fresh Fuji app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However, after NaClO treatment, total flavonoid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decreased. When freshcut Fuji apples were treated with browning inhibitors and stored at 4℃, the L value and hardness decreased; however, the weight loss rate increased based on the storage period of all fruit groups treated with Citrus unshiu Markovich (CuM), calcium ascorbate (CA), and ascorbic acid (AA). The pH increased after 2 days of storage in 1% CuM and after 6 days of storage in 1% CA; however, no changes in pH were observ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1% AA.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generally good under storage conditions of 1% AA at 4℃ and 1% CA at 20℃. Furthermore, FRAP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under storage conditions of 1% CA.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cut fruit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ustries. Furthermore, we can gain confidence in quality improvements by improving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environment of fresh-cut agricultural products.

수확후 1-MCP 처리, 저장 방법 및 현지 유통온도가 모의수출 '감홍' 사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s of Postharvest 1-MCP Treatment, Storage Method, and Shelf Temperature on Quality Changes of 'Gamhong' Apples during Export Simulation)

  • 박윤문;윤태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25-733
    • /
    • 2012
  • '감홍' 사과의 수확후 1-MCP 처리, CA 저장 및 유통온도가 모의 수출과정 중 품질유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과는 장기저장에 적합한 성숙도에서 수확하여 $1{\mu}L{\cdot}L^{-1}$ 농도의 1-MCP 처리 후 $0^{\circ}C$ 저온(air)과 $O_2$ 1.5kPa + $CO_2$ 2.5kPa CA 환경에서 각각 6개월간 저장하였다. 저장 후 모의 수출과정은 $0^{\circ}C$에서 2주간의 해상 운송 모의 과정을 거쳤으며 현지 유통과정은 저온($7^{\circ}C$) 과 상온($18-22^{\circ}C$)에서 7일로 설정하였다. $20^{\circ}C$ 온도 평형 후 측정한 저장 직후 및 모의 운송 후 호흡속도와 에틸렌 발생률은 1-MCP 처리와 CA 저장 사과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호흡속도의 경우 CA 저장의 효과가 보다 뚜렷하였다. 모의 수출과정 후 당도는 1-MCP 처리에서 산함량은 1-MCP 및 CA 저장 사과에서 뚜렷하게 높았다. 1-MCP 처리와 CA 저장은 모든 시점에서 과육 경도 및 조직감 유지에 뚜렷한 효과를 보였으며, 조사 시점에 따라 상가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지에서의 저온유통은 과육 경도 유지에 효과적이었던 반면, 당도나 산함량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실험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출을 목적으로 하는 '감홍' 사과의 저장 한계기간은 무처리 사과의 저온저장 시 4개월 이내, 1-MCP 처리 후 CA 저장 시에는 6개월 이상까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 저장기간과 현지 유통기간에 따라 차별화된 수확후관리기술 프로그램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전처리와 보존용액이 무늬둥굴레 절지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treatment and Holding Solution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Stems)

  • 이풍옥;황선애;최목필;김영아;한동혁;이종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3호
    • /
    • pp.217-223
    • /
    • 2011
  • 본 연구는 절지로 이용되고 있는 자생식물인 무늬 둥굴레 절지에 몇 가지 전처리와 후처리제인 보존용액에 의한 품질향상 및 수명연장 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확 후 $200mg{\cdot}L^{-1}$ $GA_3$ 또는 $200mg{\cdot}L^{-1}$ BA + $200mg{\cdot}L^{-1}$ $GA_3$ 엽면살포 처리에 의해 무늬 둥굴레 절지의 수명이 현저히 연장되었다. 이 처리들은 노화되는 동안 대조구에 비해 높은 엽록소함량을 오랫동안 유지하였다. $100mg{\cdot}L^{-1}$ $GA_3$ 또는 3% sucrose + $200mg{\cdot}L^{-1}$ 8-hydroxyquinoline sulfate(HQS) + $100mg{\cdot}L^{-1}$ $GA_3$ 용액에 16시간 침지전처리는 대조구보다 2.5배 정도 수명이 연장되었다. 2% sucrose + $200mg{\cdot}L^{-1}$ HQS + $100mg{\cdot}L^{-1}$ $GA_3$ 보존용액 처리는 대조구에 비해 약 3.5배 가까이 수명이 크게 연장되었고 생체중도 증가하였다. $GA_3$는 무늬 둥굴레 절지의 잎의 황화현상을 억제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200mg{\cdot}L^{-1}$ $GA_3$의 엽면살포 또는 sucrose + HQS + $100mg{\cdot}L^{-1}$ $GA_3$ 보존용액 처리에서 무늬 둥굴레 절지의 수명이 크게 연장되었고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켰다.

복숭아(Prunus persica) 수확 후 아산화질소(N2O) 처리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us Oxide (N2O) Treatment on Quality of Peach (Prunus persica) Postharvest)

  • 나현석;배로나;이승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1호
    • /
    • pp.42-49
    • /
    • 2012
  • 아산화질소($N_2O$)가 원예 작물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9월 하순에 수확된 '장호원 황도' 복숭아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N_2O$ 처리는 70% $N_2O$ + 20% $O_2$ + 10% air, 80% $N_2O$ + 20% $O_2$, 그리고 90% $N_2O$ + 10% $O_2$의 3가지 농도로 48시간 동안 처리하였으며 처리 후 $15^{\circ}C$에서 저장하였다. 경도와 당도의 변화는 air(대조구) 및 $N_2O$ 처리간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나, 외관 변화 및 식미에 있어서는 80% $N_2O$를 48시간 동안 처리한 것이 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뚜렷한 품질 유지 효과를 보였다. 90% $N_2O$를 처리하였을 때에는 산소 부족으로 인한 발효로 중량 감소와 식미가 오히려 악화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복숭아의 주된 부패 원인이 되는 잿빛곰팡이(Botrytis cinerea)를 분리하여 80% $N_2O$를 처리하였을 때 air에 비해 곰팡이 성장이 12일까지 약 80% 억제되었다. 복숭아의 타박상이 생긴 부분의 갈변 방지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80% $N_2O$를 처리하고 타박상을 입혔을 때에, 타박상 부분의 갈변이 air에 비해 억제되었으며, 과실로부터 추출한 polyphenol oxidase(PPO)에 80% $N_2O$를 처리한 결과 PPO의 활성이 80% 이상 억제되었다. 80% $N_2O$ 처리는 복숭아 저장 중 식미를 유지시키고, 부패와 타박상에 의한 연화 및 갈변을 억제하는 것으로 품질을 유지시켜 저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었다.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감자 괴경의 포도당 분포 분석과 이의 가공적성 평가에의 활용 (Determination of Glucose Distribution of Potato Tuber Using Blood Glucose Meter and Its Application to Estimate Processing Quality)

  • 권병훈;김시언;임수연;남궁혜주;이홍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2호
    • /
    • pp.171-177
    • /
    • 2014
  • 감자('수미') 괴경을 종단으로 절단하고, 상 중 하 및 주변부와 중심조직으로 구분하여 합계 11개 부위를 혈당측정기로 포도당 수치를 구하였다. '수미' 감자는 개체간(변이계수 = 37.4%) 및 부위별(변이계수 = 34.1%)로 포도당 수치가 달랐으나, 주변부의 포도당 농도가 중심부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괴경 전체와 각 부위 사이의 포도당 농도 상관관계는 중앙부위에서 높게 측정되어(r = 0.921), 중앙 부위의 당 수치가 괴경 전체를 대표할 수 있었다. 수확 후 $2.0{\pm}1.0^{\circ}C$에서 4개월간 저장한 감자의 포도당 함량은 상온에서 저장한 감자의 당 함량보다 5.5배나 높았다. 저온에 저장한 감자의 칩 색깔은 진한 갈색이었고, 상온 저장 감자의 칩은 밝은 미색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당측정기로 감자 중심부 조직의 포도당 함량을 측정하여 수확 당시 및 저장 중인 감자의 가공적합성을 신속하게 판정하는 기술로서 그 활용가치가 크다고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