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traumatic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24초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전담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Dedicated Hospitals for Coronavirus 19)

  • 정현옥;박혜자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2호
    • /
    • pp.170-17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dedicated hospitals for coronavirus disease of 2019 (COVID-19) during the peak of the outbreak.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A total of 100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comprising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coping strategy indicator,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classified as normal, mild risk, and high risk. Data were analyzed using 𝛘2 test, Fisher's exact test, Kruskal-Wallis test with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fty seven nurses (57.0%) had a high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Higher levels of post traumatic stres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seeking, and higher levels of avoidance, and lower levels of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Higher post traumatic growth was correlated with higher social support for seeking coping, and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 Post-traumatic stress risk was associated with social support seeking and supervisors' social support. In addition, a higher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was related to COVID-19 work duration and supervisors' social support. Conclusion: Supportive programs, including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building coping skills, may be suggested to safeguard the mental health of critical care nurses during the pandemic.

간호사의 폭력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조직 내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Nurses' Workplace Violence Experience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Work)

  • 강채은;은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28권2호
    • /
    • pp.99-11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work on the relationship in tertiary hospital nurse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t work on the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r nurse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A total of 146 registered nurses were recruited from a tertiary hospital from March to July 2020. The Participants who worked for more than one year and experienced violence at work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esilience, social support at work, and demographic inform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nurses experienced verbal abuse an average of 3.70±2.06 times a week, physical threat an average of 2.30±1.71 times a month, and physical assault an average of 0.76±0.82 times a year.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result also showed that resil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hospital nurs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nclusion: The experiences of workplace violence influenc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nurses and were moderated by resilience. Therefore, hospital administrators need to develop and provide a workplace violence prevention and resilience reinforcement program to redu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nurses. In addition, we suggest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in a workplace on the experiences of violence.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외상사건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외상후스트레스증상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 이정현;김지애;심민영;전경선;오승아;양정일;이영렬
    • 생물정신의학
    • /
    • 제22권2호
    • /
    • pp.55-62
    • /
    • 2015
  • Objectives Social workers can suffer from occupational stress resulting from dealing with clients, which might lead to metal health problem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duty-related traumatic experience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Methods A total of 110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men 30.9%, $36.5{\pm}7.6$ y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evaluated the frequency and the impact of duty-related traumatic events. Additionally,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for depressive symptoms, th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for suicide symptoms and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for stress coping strategies. Results The most frequent traumatic events were "Violent or abusive language from a client" (95.0%) and "Client made a fuss" (94.5%). The most distressing traumatic event was "Seeing a dead body on duty" (7.6 out of 10), which predicte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dds ratio 4.04 ; 95% confidence interval, 1.79-9.11). Among 4 typ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emotion-focused cop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controlling age and sex (${\beta}$ = 0.50, p < 0.001). Conclusions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showed high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Duty-related traumatic events and the emotional-focused coping strategies were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modification of stress coping strategies would alleviat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중년여성의 애착, 외상 후 성장 및 자기실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realization of Middle-aged Women)

  • 김옥희;김연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507-517
    • /
    • 2016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외상사건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이 외상 후 성장과 자기실현을 이루는 과정에서 애착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경기지역의 중년여성 221명이었고 설문지는 외상경험 질문지, 애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자기실현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중년여성의 외상경험 유형과 특성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계수와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까운 사람의 상실(사망, 이별, 이혼, 실연, 절교)이 중년여성들에게 일반적이고, 가장 큰 위기 사건으로 보고되었고, 둘째, 애착, 외상 후 성장, 자기실현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부 모안정애착, 영적변화는 인간성, 자기수용성의 하위변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검증 결과, 애착이 외상 후 성장과 자기실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상 후 성장이 애착과 자기실현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Self-Exposure on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 황창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126-133
    • /
    • 2020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병리적 결과에 머물지 않고 이전 수준을 뛰어넘는 외상 후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등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조건적 자기수용, 자기노출,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등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자기노출이 외상 후 성장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소방공무원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자기노출 변인 중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자기노출 보다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방공무원 외상 후 성장을 촉진시키는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치료적 개입 전략 등을 제안하였다.

119 구급대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공감역량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서가원;박정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9-140
    • /
    • 2020
  • Purpos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compet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s). Methods: The data of 119 EMTs were collected between May 1 and September 30, 2020.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24.0 program. Results: Post-traumatic stress was seen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r=-.456,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250, p=.006). Participants' subjective health status (β=0.30, p<.001), post-traumatic stress (β=-0.39, p=.001) and compassion competence (β=0.29, p<.001) explained 38.5% of variance in the quality of life of the 119 EMTs.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ost-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competence are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MTs. Therefore, systematic programs for reducing post-traumatic stress and enhancing compassion competence levels should be developed.

Have you Exposure to a trauma and No PTSD? Which factors help and which are not?

  • Bulathwatta, Asanka;Witruk, Evelin;Reschke, Konrad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5권1호
    • /
    • pp.21-31
    • /
    • 2019
  • Exposure to a traumatic events gives people many post traumatic conditions result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or Post Traumatic Growth (PTG). Some of them may come up with acute Stress Disorder and some may having with grievances. But most of people overcome their traumatic condition with using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capacities. This article is focused on indicating basic mechanisms and resources in which can be lead to have better social rehabilitation along with the matters that can be important in trauma coping. The later part of the article appeals the concept of social work theory highlighting the psych dynamic approach which can be impact positively on psycho social rehabilitation. Traumatic experiences are really unpredictable and it can be resulte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s, Post traumatic growth in the end. But developing skills that required to overcoming trauma is facilitated by the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Coping capacities that people having with. Exposure to a traumatic experience and not having a PTSD is determined by the many other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system and government facilitation of the wellbeing afterwards the trauma. Here in this article the basic compon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and coping mechanism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ajor factors.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 (he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on Suicidal Ideation in Firefighters :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a Moderator)

  • 김성정;육성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2호
    • /
    • pp.92-101
    • /
    • 2018
  • 본 연구는 외상사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소방공무원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외상 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외상 후 스트레스, 한국판 자살생각, 인지적 정서조절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후 스트레스,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낮은 외상 후 스트레스 집단에서 조절효과를 가졌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은 높은 외상 후 스트레스 집단에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문적, 임상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경찰관의 조직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비교 분석 (Comparison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mong Police Officers)

  • 신성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11-216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경찰관의 조직적인 특성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조직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계급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경사, 순경 경장, 경위 이상 순이었다.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지만 비간부 집단이 간부 집단보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근무관서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지구대 파출소, 경찰서, 지방경찰청 순이었다. 이는 일선 경찰관서에서 근무하는 경우에 외상경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일 것이다. 근무부서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생활안전, 수사 형사, 경비 교통, 내근 순이었다. 외근직이 외상경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내근직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근무기간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는데, 1년 이하, 2-10년, 11-19년, 20년 이상 순이었다. 특히 1년 이하 경찰관의 경우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근무하는 행정구역의 규모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중소도시(50만 이상), 대도시(50만 이상), 광역시 이상, 군단위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Management Format on Influence Ove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on Traumatic Case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

  • 양경미;오창홍;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16-12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지역 경찰관서 4개소에서 경찰관을 대상으로 총 297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회귀분석 4단계를 거쳐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외상성 사건 경험 이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의 발현 사이의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궁극적으로 제주지역 경찰관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긍정적이고 역동적인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