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t-COVID era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3초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변화와 혁신정책 방향성 재정립: 창조적 학습사회 전환을 중심으로 (Shaping the Innovation Policy in the Post-COVID era: Focusing on Building Creative Learning Capabilities)

  • 여영준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4호
    • /
    • pp.151-163
    • /
    • 2020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전통적 정형화된 업무는 지능화된 기계와 온라인 플랫폼 등 디지털 기술에 의해 대체되고, 디지털 전환 기술과 고숙련 근로자 및 비정형 업무 간 강한 상호 보완관계를 바탕으로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전개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우리나라 산업 내 직무 구성을 살펴보면, 반복업무 지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다. 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에 따른 노동시장에 대한 부작용 및 파급효과가 우리나라 경제체제 내 고착화될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이러한 배경 하, 본 연구에서는 우리 경제사회 시스템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디지털 전환의 내재적 속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잠재적 위기 극복 및 문제해결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기술발전과 학습 간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혁신체제의 구조적 전환을 통한 새로운 균형점으로의 이행을 위한 혁신정책의 역할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나라 혁신체제가 미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제도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디지털 전환이라는 기술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혁신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학 교육에서의 온라인 교육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COVID19 전후를 중심으로 (A systematic review on on-line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before and after COVID-19)

  • 황선영;한선영;조윤진;정혜진;이재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93-120
    • /
    • 2024
  • 수학 교육에서의 온라인 교육은 COVID19를 전후로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를 전후로 2017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수학 교육 분야에서의 온라인 교육에 관한 98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문헌에 나타난 온라인 교육과 관련된 여러 유사 용어들의 정의들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코로나 전, 코로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별로 온라인 수학 교육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으며, 온라인 교육의 효과에 대한 문헌들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온라인 교육과 유사한 용어들의 정의와 각 용어들 간의 차이점 및 위계를 정리할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이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둘째, 코로나를 계기로 교사에 대한 온라인 교육의 연구가 급격히 활발해졌으며 교사의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로나 전에는 블렌디드와 플립트 러닝에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코로나 시대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실시간 쌍방향 수업에 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교육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문헌 별로 연구 배경과 모델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수학 교육에서의 온라인 교육에 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빅 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남성 패션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ative Analysis in Perception on Men's Fashion Using Big Data : Focused on Influence of COVID-19)

  • 김도현;김정미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erception of men's fash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TEXTOM allowed the collection of Big Data based on the term 'men's fashion'. As for the data collection periods, Jan. 1, 2018 to Dec. 31, 2019 was set as the pre-COVID-19 era, while Jan. 1, 2020 to Dec. 31, 2021 was set as the post-COVID-19 era. The top 50 words in terms of appearance frequency were extracted from the data. The extracted words were processed using network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using Ucinet 6.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pre-COVID-19 era, the appearance frequency of 'm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shion', 'men's fashion', 'brand', 'daily look', 'suit', and 'department store'. These words came up with a high TF-IDF value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discovered that 'men', 'fashion', 'men's fashion', 'brand', and 'suit' had a high level of connectivity with other words. CONCOR analysis showed four significant groups: 'fashion item and styles', 'fashion show', 'purchase', and 'collection'. 2) In the post-COVID-19 era, the appearance frequency of 'me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ashion', 'brand', 'men's fashion', 'discount', 'women', and 'luxury'. These words also displayed high TF-IDF value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found that 'fashion', 'men', 'brand', 'men's fashion', and 'discount' had a high level of connectivity with other words. CONCOR analysis showed four significant groups: 'fashion item and style', 'fashion show', 'purchase', and 'situation'. 3) Before the outbreak of the pandemic, men were interested in suits to wear to the office, daily look, and fashion shows in Milan and Paris. They often purchased menswear in multi-brand and open stores. However, they were more interested in sneakers, casual styles, and online fashion shows as social distancing and working from home became common. Most purchased menswear through online platforms.

포스트 코로나 시대 혼합현실 미디어의 전망 (The Future of Mixed-Reality Media on the Post COVID-19 Era)

  • 홍일양;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40-245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시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실감콘텐츠 혼합현실 미디어에 주목하고, 이에 관한 적용사례를 살펴보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발전방향 제시 및 전망을 목적으로 하고자 한다. 혼합현실은 신체능력을 확장시키는 미디어로서 교육과 훈련, 공연, 창작, 게임, 지인들과의 커뮤니케이션 등에 실감콘텐츠로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지고 있다. 혼합현실 미디어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TV나 인터넷과 같이 우리 일상생활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올 것이다. 향후 인간의 오감 모두를 느낄 수 있는 실감콘텐츠로서, 필요시에는 언제어디서나 활용가능하며, 단순한 소통이 아닌 인간의 감성을 자극하고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감성미디어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과 주얼리 산업의 활용 사례 분석 (Analysis of Metaverse Technology Trends and Case Studies of Utilization in the Jewelry Industry in the Post-COVID)

  • 강혜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4호
    • /
    • pp.675-680
    • /
    • 2024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를 기점으로 메타버스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주얼리 산업체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엔데믹(endemic)으로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그 중심의 축이 이동했고, 이에 따라 메타버스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멀어졌다. 하지만 글로벌 주얼리 브랜드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을 살펴보면, AR/VR의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실재감을 높이고 있고, 가상과 현실 간의 이질감이 없는 공간에서 메타버스는 진화하고 있다. 메타버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세 가지 주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첫째, 디지털 트윈을 기점으로 비즈니스 영역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과 융합하고 있다. 셋째, 옴니채널로서 메타버스 운영에 대한 방향성 설정이 중요시 되고 있다. 코로나19 시기에 학습된 자산을 활용하여 디지털 및 온라인 관련 기술에 대한 학습을 지속해야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메타버스 기술 동향을 기반으로 주얼리 산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시설환경 의제 탐색 연구 (A Study on the Exploring Education Facility Environment Agenda in the Post COVID-19 Era)

  • 최형주;조진일;신은경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23
    • /
    • 2022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한국판 뉴딜 정책을 보다 발전시키고, 더 나아가 정책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바람직한 미래 교육시설환경 관련 핵심 영역과 영역별 의제를 발굴, 제시함으로써 관련 정책 수립 시 실질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관련 정책, 보고서, 자료집 등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 뉴딜 및 미래 교육시설환경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탐색하고, 미래 교육시설환경 분야의 핵심 영역을 탐색하였으며, 일선 교육 현장과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시설환경의 핵심 영역으로 5개 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총 33개의 의제(그린 영역 8개, 스마트 영역 9개, 공간혁신 영역 9개, 학교시설 복합화 4개, 기타(안전) 영역 3개)를 도출하였다.

포스트 코로나19 언택트 시대 대응을 위한 AI 챗봇 구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Implementing an AI Chatbot to Respond to the POST COVID-19 Untact Era)

  • 정천수;정지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47
    • /
    • 2020
  • Recently, as the COVID-19 has spread and prolonged worldwide, the 'Untact' society is becoming routinized, and various smart technologies are leading to the spread of the 'Ontact' culture. This is because the desire of consumers to purchase a product and use the service has increased while minimizing the direct contact. In order to quickly respond to this circumstance, the percentage of the companies which are adopting Chatbot in various fields such as orders, delivery, and inquiries is increasing and they are getting a positive result. However as the demand for building Chatbot increases dramatically, there are many confusions among the companies which want to introduce Chatbot to their system,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 technicians an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I technologies and how to build them effectively. I believe that in the post COVID-19 era, much more companies will adopt Chatbot, and this will intensify the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needs for a guide on the method of buiilding a Chatbot through considering the prior research on Chatbot and analysis of the recent surge in the use of Chatbot services related to COVID-19. There are implications to presenting 5 phases of universal Chatbot implementation methodology using the platform to the stakeholders who want to introduce Chatbot to their customer so that they can understand and build Chatbot more easily and use AI Chatbot actively in response to the POST COVID-19 er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Strategy of Chinese Cross-Border E-Commerce SMEs under the Background of COVID-19

  • Shulei BI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nalyses the current development of cross-border e-commerce in China, outlines the challenges faced by Chinese cross-border e-commerce SMEs, and finally summarises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Chinese cross-border e-commerce SMEs in the post-covid-19 era, which will provide opinion references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cross-border e-commerce SM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urrent situation of cross-border e-commerce development in China in the context of covid-19 through literature; and to summarise the challenges encountered by Chinese cross-border e-commerce SMEs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Results: The article summarises the current status of China's cross-border e-commerce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terms of cross-border e-commerce trade volume, cross-border e-commerce enterprise and user scale, cross-border e-commerce logistics, cross-border e-commerce global co-operation, government policy, and cross-border e-commerce product distribution, outlining challenges encountered by China's cross-border e-commerce SMEs in terms of logistic pricing, operating capital chain, product service support, and trade protection The paper Finally, it is pointed out that Chinese cross-border e-commerce SMEs must adopt new strategies to adapt to the new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covid-19. Conclusions: Specific development strategies are provided for Chinese cross-border e-commerce enterprises and reference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the post-covid-19 era.

포스트 코로나 시기 농촌 거주 노인의 호흡기감염 예방 프로그램 개발: 보건진료 전담공무원 대상 델파이 기법 (Development of a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in the Post COVID-19 Era: A Study Using Delphi Method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 권명순;유정순;장지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17-430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in the post-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era. Methods: The Delphi method was used to validat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wo rounds of Delphi surveys and one individual interview were conducted on four subjects and 16 categories with nine experts. Content validity was calculated using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V). Results: This study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existing program components, such as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characteristics, cough etiquette, correct hand washing, oral hygiene, correct tooth brushing, and exercise by walking. The study comprised 28 categories covering seven subjects, including the provis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COVID-19,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and exercise training for immunity enhancement. Conclusion: This Delphi study examined the respiratory infection prevention program that was redesigned for the post-COVID-19 era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ogram can be used practically for the prevention of respiratory infection among the rural elderly.

Analysis of Covid-19, Tourism, Stress Keywords Using Social Network Big Data_Semantic Network Analysis

  • Yun, Su-Hyun;Moon, Seok-Jae;Ryu, K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204-210
    • /
    • 2022
  •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the number of new infectious diseases such as SARS, Ebola virus, and MERS has steadily increased. The new infectious disease, COVID-19, which began in Wuhan, Hubei Province, China, has pushed the world into a pandemic era. As a result, Countries imposed restrictions on entry to foreign countries due to concerns over the spread of COVID-19, which led to a decrease in the movement of tourists. Due to the restriction of travel, keywords such as "Corona blue" have soared and depression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ess meaning network of the COVID-19 era to derive keywords and come up with a plan for a travel-related platform of the Post-COVID 19 era.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f travel and stress caused by COVID-19 using TEXTOM, a big data analysis tool, and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UCINET6. We also conducted a CONCOR analysis to classify keywords for clustering of words with similarities. However, since we have collected travel and stress-oriented data from the start to the present, we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analysis data and analyze more data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