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 import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17초

원목 수입의 주요 항구별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rt for Log Import)

  • 김철상;김기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4호
    • /
    • pp.385-391
    • /
    • 2008
  • 국내 원목 수입업체는 인천, 전북, 그리고 부산지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이는 원목 수입항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지금까지 국내 원목 수입은 인천항과 부산항이 독보적인 위치의 항구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따라 항구 주변의 각종 원목 가공 산업, 즉 소량의 원목 도 소매상들을 비롯하여 제재업체, 합판, 파티클보드 및 섬유판 생산업체 등이 항구 주변에 밀집되었다. 2007년 우리나라 전체 원목 수입물동량을 항구별로 분석하면 인천항을 통한 수입이 전체 원목 수입의 56.9%를 차지하여 인천항이 국내 최대 원목 수입항이며, 다음으로 부산항이 20.9%, 그리고 군산항 17.9%로 원목을 수입하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 인천항과 부산항은 물동량이 감소한 반면 군산항과 동해항은 소폭이나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주로 벌크선에 의해 대량으로 수입하던 원목 수입업체들이 2003년 수입 원목가격의 급등으로 줄어든 반면 컨테이너를 이용한 소량을 수입하는 업체가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는 극동 러시아, 독일 및 미주지역에서 소량으로 컨테이너를 이용한 원목 수입이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항구별 주요 수입국별 원목 수입량은 2007년 기준 인천항의 경우 뉴질랜드(1,685Mt), 러시아(574Mt)의 순으로 수입되었으며, 부산항은 미국(438Mt), 뉴질랜드(258Mt) 순으로 수입되었고 군산항은 뉴질랜드(950Mt)에서 대부분이 수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Estimation on the Port Container Volume in Incheon Port

  • Kim, Jung-Hoo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7-282
    • /
    • 2009
  • This paper estimated the container volumes for the Incheon port with univariate time series. As best suited models Winters' additive model, ARIMA model,and Winters' additive model were selected by import-export, coastal, and transshipment volume respectively, based on the data of monthly volume by October 2008 since January 2001. This study supposed the import-export container volumes would be decreased by 14% against that in 2008 and would have been recovered to the increasing trend of the volumes beyond the fourth quarter of 2010. The future import-export and transshipment volumes showed the increasing trend beyond 2011, while the coastal volumes would be on the stagnation. The yearly container volumes were finally forecasted as 1,705, 2,432, and 3,341 thousand TEU in 2011, 2015, and 2020 respectively.

컨테이너 터미널의 물류체계의 최적화를 위한 전략적 고찰 (A Strategic Considerations for Optimization of Physical Distribution in Container Terminal)

  • 여기태;이철영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5-156
    • /
    • 1997
  •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model for the Container Terminals of Pusan Port, First of all, Quantitive and Qualititve factors are characterized which effects on Physical Distribution System in Container Terminals. The System Dynamics method is used to develope the model by using these factor. This model is able to present the timinig of investment in Container Terminals of Pusan Port. Six models are showed by change of parameters in System Dynamics, in this paper. In the model, Five feedback loop were found. Loop 1 : Number of Liners$\rightarrow$Number of Congested ships$\rightarrow$Port's Charges$\rightarrow$Export & Import Cargo Volumes$\rightarrow$Number of Liners$\rightarrow$The will to investment of government$\rightarrow$Length of berth→Number of Liners. Negative loop was acquired. Loop 2 : Port's Charge$\rightarrow$Economic of Port$\rightarrow$The will to Private management$\rightarrow$Efficiency for Port's Operation$\rightarrow$Port's Charges. Positive loop was acquired. Loop 3 : Number of Congested ships$\rightarrow$Planning for future development$\rightarrow$Information Service$\rightarrow$Support service for port's user$\rightarrow$Number of Congested ships. Negative loop was acquired. Loop 4 : Number of Congested ships$\rightarrow$Planning for future development$\rightarrow$Extent of stacking area$\rightarrow$Number of handling equipmint$\rightarrow$Number of Congested ships. Negative loop was acquired. Loop 5 : Export & Import Cargo Volumes$\rightarrow$Number of Liners$\rightarrow$Econmic of Port$\rightarrow$Support service for port's user$\rightarrow$Export & Import Cargo Volumes. Positive loop was acquired. System's level variables were selected as followings ; Number of Liners, Number of Congested ships, Export & Import Carge Volumes, Length of berth, and Port's Charges. As result of simmulation of model, fluctuation of respective year was found in level variables. This fluctuation can be used properly to present timing of investment.

  • PDF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한국의 대중국 항만 수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nstability of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on Port Import from China in Korea)

  • 김창범;이민희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49-57
    • /
    • 2010
  • 본고는 금융위기 충격, 환율 충격, 경기 충격이 한국의 대중국 항만 수입에 미치는 영향을 동태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을 위한 예비절차로서 시계열 자료에 대한 단위근 검정과 모형에 대한 GPH 공적분 검정을 실시하고, 공적분관계가 존재할 경우 오차수정모형을 도출한다. 이와 동시에 분산분해와 충격반응함수를 이용하여 특정 변수의 충격이 다른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방향 및 지속정도를 밝힌다. 분석 결과 오차수정항이 음의 부호로 유의함으로써 공적분관계가 존재함을 증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매월 29.5%의 속도로 장기균형으로 수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예측오차의 분산분해 결과 경기, 금융위기, 환율 순으로 수입을 설명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격반응 결과 예상한 대로 환율과 금융위기는 음의 반응을, 경기는 양의 반응을 보여주었다. 금융위기 충격에 대해 수입은 가장 큰 반응을 보였으며, 지속기간에 있어서는 환율 충격과 금융위기 충격이 대조적이었다.

항만경쟁력 제고를 위한 항만교역량 예측 (Forecasting the Port Trading Volumes for Improvement of Port Competitive Power)

  • 손용정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4
    • /
    • 2009
  • 항만산업의 발전은 저렴하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국 경제발전을 지원하는 기능을 하는 동시에 독립된 산업으로 부가가치 및 고용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주요 항만들은 대내의적인 여건의 변화로 항만교역량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국내 항만의 여건악화는 일시적인 현상이라기보다는 구조적인 현상이라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즉, 향후 주요 항만들의 교역량 증가세가 회복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며, 역내 물류중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회의론 마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항만개발에 소요되는 시간과 재원은 막대하다. 특히 신항개발의 경우 최소 10년 이상의 장기수요 전망 하에 개발계획의 수립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발계획의 기본이 되는 교역량의 예측의 중요성은 최근 교역량과 관련한 대외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산업이 고도화되고 구조도 급격히 변화되고 있는 시대 흐름에 비추어 정확한 물동량예측은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승법계절 ARIMA모형을 이용하여 국내항만과 중국항만간의 교역량 변화를 예측해보고, 이러한 예측을 통하여 우리나라 항만의 역할과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항만의 교역량 중대를 위한 항만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the Shipping Freight Rate and Agricultural Commodity Import Price in Korea

  • Ha, Jae-Young;Shin, Youngra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69-7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the agricultural produce import price in Korea and the corresponding shipping freight rate. Since the Korean economy has pursued an export-driven growth strategy, mainly based on the manufacturing sector, the country has to depend on the vast majority of its agricultural produce consumption after import from foreign countries. Moreover, compared with other high-value products, transportation cost occupies a substantial share of the agricultural commodity price, resulting in changes in the shipping freight rate being a pivotal determinant of agricultural produce import.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agricultural produce import in Korea and shipping freight rate and the lead-lag relationship. Using a monthly dataset of agricultural produce import prices and freight rates for Handysize and Panamax dry-bulkers for the period between January 2010 and November 2020, this study determines that the shipping freight rate, in general, leads the agricultural commodity price.

국내항만의 효율성 결정요소 - 패널분석과 이분산 토빗모형을 이용하여 - (The Determinants of the Efficiency of Korean Ports - Using Panel Analysis and Heteroscedastic Tobit Model -)

  • 모수원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9-361
    • /
    • 2008
  • 국내 항만 간 수출입 물동량 처리실적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수출에서는 부산항의 비중이 크고 빠르게 감소함과 더불어 국내 여타 항만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입에서는 인천항의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고는 DEA모형을 이용하여 도출한 국내 항만의 수출효율성과 수입효율성을 종속변수로 하여 패널분석을 한다. 또한 패널 분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효율성 척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분산 토빗모형을 적용한다. 먼저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안정성을 담보한 후 패널분석을 실시하여 고정계수모형과 확률계수모형에 관계없이 항만수출비중은 음의 부호로 유의하나 항만수입비중은 유의하지 않다는 것과 지역수출비중은 음의 부호로 유의하나 지역수입비중은 효율성과 유의한 관계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보인다. 규모더미변수를 투입하여 부산항을 제외한 광양항, 평택항, 인천항, 울산항과 같은 대규모 항만의 효율성이 목포항과 군산항과 같은 소규모 항만의 효율성보다 높지 않다는 것도 밝힌다. 이분산성을 고려한 type II 토빗모형을 적용하여 지역의 수출은 효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비해 지역항만의 수출은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역내총생산은 수출효율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배후단지 조성과 항만의 효율성이 동의어가 아니라는 것도 보인다.

  • PDF

군산항 유치가능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추정 연구 (A Study on the Prospect of Attracting Container Cargos for Import and Export into Gunsan Port)

  • 박형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71-90
    • /
    • 2008
  • 전라북도에서 발생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264,120TEU 중에서 군산항에서는 6.60%만이 처리되고 나머지는 광양항과(55.90%) 부산항(34.15%), 기타항(4.45%)에서 94.40%가 타항만에서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군산항에서 처리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은 31,715TEU로 전국항만 대비 0.20%를 처리하고 있으며, 중국의 상해항과 청도항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이 전체 26,912TEU로 군산항 전체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처리물량의 80.15%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라북도에서 발생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50%만 군산항을 이용해도 약 130,000TEU을 유치할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적권역을 이용하지 않고 타항만으로 유출입되는 1,947,069TEU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약 10%만 군산항으로 유치한다면 약 190,000TEU의 물동량 증대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중 중국의 상해항과 청도항의 수출입 컨테이너화물 중 최적권역을 이용하지 않은 타항만을 이용하는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은 총 383,184TEU로 이중 약 10%만 군산항으로 유치하면 약 38,000TEU의 컨테이너화물을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항만 물류 통합데이터베이스의 구축방안 (A Study on the Integrated Database for Port and Logistics)

  • 최형림;박영재;박남규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7-216
    • /
    • 1998
  • The export/import processing systems of the foreign advanced port use the integrated databas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users involved in the port and logistics activities. However all the port and logistics related organizations in Korea such as container terminal, customs,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etc. are using their own databases, so it is very inconvenient to the users to process their export/import affai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tegrated database for the port and logistics affairs to provide the one stop service to the port and logistics related users. So we hav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atabases of port and logistics related organizations, and recognized the users' various needs of information. And then we have suggested the conceptual architecture of integrated database for port and logistics, and proposed the strategie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database in this paper.

  • PDF

개항기 일본으로부터 수입된 의복의 종류와 무역 특성 (Types and Trade Characteristics of Clothes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Era)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890-909
    • /
    • 2022
  • This study explores the types of clothing imported from Japan during the port-opening era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import trade related to these clothing products. This is a literature study based on trade statistics data and books on Western clothing published in Japan during the Meiji perio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clothing products imported from Japan were divided into 6 types: 1) clothing, 2) undergarments, 3) shirts, 4) waterproof coats, 5) European-style clothing, and 6) nightgowns. "Clothing" is a unified name for any kind of garment, appearing in import records only from 1877 to 1884. Undergarments and shirts were imported from 1884. Waterproof coats were imported only in 1886 and 1898. European-style clothing and nightgowns were imported from 1902. In the total import of clothes, the proportion of clothing was the highest (48.0%), followed by undergarments (41.3%) and shirts (10.6%), while the ratio of nightgowns and raincoats was almost 0%. During the port-opening period, the change in the import value of clothes did not show a continuous increase, but rather showed a large stepwise increase over the course of several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