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ation conservation

검색결과 597건 처리시간 0.027초

희귀수종(稀貴樹種) 모감주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잎의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식생특성(植生特性) 및 유전변이(遺傳變異) (Characteristics of Leaf Morphology, Vegetation and Genetic Variation in the Endemic Populations of a Rare Tree Species, Koelreuteria paniculata Laxm)

  • 이석우;김선창;김원우;한상돈;임경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67-176
    • /
    • 1997
  • 희귀수종인 모감주나무(Koelreuteria paniculata Laxm.) 6개 자생 집단에 대해서 잎의 형태적 특성 및 식생개황을 조사하였으며, 동위효소 분석에 의한 유전변이를 조사하였다. Nested design에 의한 분산분석 결과 8가지 잎의 형태적 특성 모두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대부분 형질의 경우 총 분산 가운데 집단간 차지하는 비율이 집단내 개체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분석 결과 각 집단별로 출현한 수종 수는 많지 않았으며, 대부분 집단이 인위적 교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수종, 특히 지리적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수종들과 비교할 때 유전변이는 매우 적고(A/L= 1.1, P=9.5%, $H_o=0.021$, $H_e=0.035$) 집단간 분화($F_{ST}=0.114$)는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전적 부동 및 근친교배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모감주나무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PDF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강원도 계방산 지역 양서, 파충류의 종다양성 및 군집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Herpetofauna for the Biodiversity Conservation of Population Community Analysis and Species Diversity in the Gyebangsan Area Kangwondo)

  • 심재한;정규회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4-99
    • /
    • 1997
  • 계방산 일대에서 채집 및 관찰된 양서류는 2목 5과 9종이었으며, 파충류는 2아목 3과 10종이었다. 양서류 중에서 무당개구리(Bombina orientalis)가 우점종으로 조사지역 전역에서 출현하였으며, 계방산 지역의 물두꺼비(Bufoi stejnegeri)는 여타의 지역에 비하여 밀도가 높았다. 산개구리(Rana dybowskii)는 수청골 계곡의 고인물에 다수의 유생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도롱뇽 (Hynobius leechii), 산개구리 (Rana dybowskii), 꼬리치레도롱뇽(Onychodactylus fisheri), 물두꺼비(Bufo stejnegeri), 두꺼비(Bufo bufo gargarizans)등 5종의 특정야생동물이 확인되었고, 또한 도롱뇽(Hynobius leechii), 물두꺼비(Bufo stejnegeri), 등 2종의 한국고유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10종이 확인되었는데 그중 도마뱀(Scincella laterale laterale), 능구렁이(Dianodon rufozonatus rufozonatus), 살모사(Agkistrodon brevicaudus), 까치살모사(Agkistrodon saxatilis), 대륙유혈목이(Amphiesma vibakari ruthveni) 그리고 무자치(Enhydris rufodorsata) 등 6종의 특정야생동물이 확인되었다. 수청골일대에서는 도마뱀과 아무르장지뱀의 집단서식지가 발견되었으며, 아무르장지뱀의 전체 서식밀도는 36마리/ha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1995년 5워로가 7월에 도로 위에 압사된 개체수는 10종 404개체로 주로 1,2,3,4 Station에서 발견되었는데, 양서, 파충류의 이동을 원활히 하고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형관거를 도로 밑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꼬리치레도롱뇽의 유생시기와 성체 생활장소의 이동거리는 500m정도이며, 주로 서식하는 장소는 토질에 수분이 많이 함유된 활엽수림이 극상을 이루는 지역이었다.

  • PDF

월출산국립공원 나비군집 모니터링 (Butterfly Community Monitoring on Wolchulsan National Park in Korea)

  • 김도성;박두상;오해선;김동혁;정종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6-203
    • /
    • 2013
  • 월출산의 나비군집 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월별로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49종 1,151개체가 조사되었다. 우점종으로는 뿔나비 357(31.0%), 남방노랑나비 96(8.3%), 부처나비 75(6.5%), 굴뚝나비 72(6.2%)개체 순으로 나타났다. 월별로는 6월에 30종 516개체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기록하였고 구간별로는 저수지나 수원지와 인접한 구간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보였다. 전체 다양도지수는 1.71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8월 2.75로 가장 높게 10월에 1.7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 우점도지수에서는 0.12로 나타났으며 월별로는 6월에 0.40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월에 가장 낮은 0.07을 나타냈다. 유사도지수는 큰골과 성전이 0.52로 가장 유사한 종들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큰골과 용산이 0.1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출산의 저수지나 수원지의 제방은 특정한 종의 서식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지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 있는 초지대와 열린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대왕바리(Epinephelus lanceolatus) 친어 집단의 가계도 분석 효율 (Effectiveness of Microsatellite Markers for Parentage Analysis of 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Broodstock)

  • 김근식;노충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5
    • /
    • 2015
  • 현재 IUCN의 취약 등급인 대왕바리(giant grouper, Epinephelus lanceolatus) 친어의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연구로서 기 개발되어 있는 동종의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가계도 분석 효율을 조사하였다. 대왕바리 친어 32마리를 8개의 microsatellite 마커로 분석한 결과 총 52개의 대립유전자가 검출되었으며, 기대치 이형접합율은 0.663, 근친교배계수는 0.011로 조사되어 현재 확보된 대왕바리 친어는 유전 다양성이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었다. 하지만 유효집단 크기가 35로 추정됨으로써 지속적인 친어 확보의 필요성을 보였다. 해당 마커를 이용한 동일 유전자형 출현 확률은 무작위 집단에서 $6.85{\times}10^{-11}$ 그리고 한쪽 부모의 유전자형 확보 및 양친의 유전자형이 확보된 상태에서의 부권 부정률은 각각 0.00835, 0.00027로 나타났으며, 주좌표 분석 결과 친어의 유전자형은 중복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 이용한 8개의 microsatellite 마커로도 유전자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한 대왕바리 친어 관리 시스템 구축이 가능할 것이며, 이를 활용한 유전 다양성이 높은 자손 생산 및 유전적으로 유사한 개체의 중복 확보를 방지할 수 있어 친어 확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REMOTE SENSING AND GIS INTEGRATION FOR HOUSE MANAGEMENT

  • Wu, Mu-Lin;Wang, Yu-Ming;Wong, Deng-Ching;Chiou, Fu-She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51-554
    • /
    • 2006
  • House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in water resource protection in order to provide sustainable drinking water for about four millions population in northern Taiwan. House management can be a simple job that can be done without any ingredient of remote sensing 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Remote sensing and GIS integration for house management can provide more efficient management prescription when land use enforcement, soil and water conservation, sewage management, garbage collection, and reforestation have to be managed simultaneous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was to integrate remote sensing and GIS to manage houses in a water resource protection district. More than four thousand houses have been surveyed and created as a house data base. Site map of every single house and very detail information consisting of address, ownership, date of creation, building materials, acreages floor by floor, parcel information, and types of house condition. Some houses have their photos in different directions. One house has its own card consists these information and these attributes were created into a house data base. Site maps of all houses were created with the same coordinates system as parcel maps, topographic maps, sewage maps, and city planning maps. Visual Basic.NET, Visual C#.NET have been implemented to develop computer programs for house information inquiry and maps overlay among house maps and other GIS map layers. Remote sensing techniques have been implemented to generate the background information of a single house in the past 15 years. Digital orthophoto maps at a scale of 1:5000 overlay with house site maps are very useful in determination of a house was there or not for a given year. Satellite images if their resolutions good enough are also very useful in this type of daily government operations. The developed house management systems can work with commercial GIS software such as ArcView and ArcPad. Remote sensing provided image information of a single house whether it was there or not in a given year. GIS provided overlay and inquiry functions to automatically extract attributes of a given house by ownership, address, and so on when certain house management prescriptions have to be made by government agency. File format is the key component that makes remote sensing and GIS integration smoothly. The developed house management systems are user friendly and can be modified to meet needs encountered in a single task of a government technician.

  • PDF

잔디-애기자운군집(신칭): 애기자운 최남단 분포 개체군의 군락분류와 군락지리 (A New Association of Gueldenstaedtio-Zoysietum japonicae: A Syntaxonomical and Synge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Southernmost Population of Gueldenstaedtia verna in South Korea)

  • 이정아;김종원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1호
    • /
    • pp.40-54
    • /
    • 2017
  • 전통 장례 문화의 봉분 무덤은 적절한 관리에서 지속되는 잔디(Zoysia japonica) 뗏장을 바탕으로 하는 독특한 서식처이다. 본 연구는 지리적으로 최남단 분포의 애기자운이 출현하는 잔디 우점 이차초원식생에 대한 군락분류학적 기재이다. 현지 식생조사와 식생조사표 모둠화를 통한 단위식생의 추출은 Z.-M.학파의 식물사회 분류법을 따랐다. 유형화된 단위식생은 생태식물상 형질 분석과 선행 기재 단위식생과의 종조성적 비교가 성취되었다. 잔디-애기자운군집(신칭)이 처음으로 기재되었고, 김의털아군집, 전형아군집, 토끼풀아군집의 하위단위를 포함한다. 이들 아군집은 접근성과 관리양식에 대응한 종조성의 차이에서 구분되었다. 본 군집은 <지역생물기후구-대구형> 속에서 강한 대륙성 환경조건을 갖춘 미세 서식처에서만 분포하는 지역(regional) 식생형이면서 국지(local) 식생형으로 규정되었다. 잔디-애기자운군집은 대륙형 이차초원식생 가운데 한국인의 봉분 문화에 잇닿은 '뗏장초원식생'이고, 해양형의 잔디군단(억새군강, 양지사초군목)과 전혀 다른 식생형인 것으로 밝혀졌다. 잔디 우점의 이차초원식생일지라도 초지의 식물종다양성과 잔디-애기자운군집의 현지내 보존을 위하여 봉분을 포함한 뗏장에 대한 서식처로서의 이해와 적절한 생태적 관리가 요구되었다.

Role of Concomitant Chemoradiation in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s

  • Lasrado, Savita;Moras, Kuldeep;Pinto, George Jawahar Oliver;Bhat, Mahesh;Hegde, Sanath;Sathian, Brijesh;Luis, Neil Aaro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0호
    • /
    • pp.4147-4152
    • /
    • 2014
  • Standard therapy for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surgery and radiation. However, survival of this patient population has not improved during the past 20 years. Many different multimodality treatment schedules have been proposed, and chemotherapy is often used with the intent of organ preservation.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efficacy of concomitant chemoradiation with a single agent carboplatin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s.The objectives were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concomitant administration of carboplatin, monitor acute toxicity during radiotherapy, and determine subacute side effects, such as wound healing following surgery after chemoradiotherapy.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wherein a total of 40 patients with stage III and IV squamous cell carcinomas of oral cavity, oropharynx, hypopharynx and larynx were enrolled.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d weekly carboplatin area under curve (AUC of 5). Radiotherapy was given in single daily fractions of 1.8-2 grays (Gy) to a total dose of 66-72 Gy. Salvage surgery was performed for any residual or recurrent locoregional disease. Neck dissection was recommended for all patients with neck disease showing less than a complete response after chemoradiation. A total of 40 patients were enrolled of whom 32 were males and 8 were females. Highest incidence of cancer was seen in the 5th-6th decades of life with a median age of 47.7 years. Oropharyngeal tumours constituted a maximum of 21 patients followed by hypopharynx in 10, larynx in 7 and oral cavity in 2. 80% of the patients had a neck node on presentation of which 40% had N2-N3 nodal status. TNM staging revealed that 58% of patients were in stage III and 43% in stage IV.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revealed that 50% had grade II mucositis, 25% grade III mucositis, 2.5% grade IV mucositis. 50% of patients had grade I skin reactions, 65% of patients had grade I thrombocytopenia, and 24% of patients had grade I anaemia. After completion of treatment 65% of patients had complete response at the primary and regional sites, and 35% of patients had a partial response of whom 23% underwent neck dissection and 5% of them underwent salvage surgery at the primary site. At the end of one year there were six deaths and four recurrences and 70% were free of disease. Concurrent chemoradiation with carboplatin provided good locoregional control for locally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s. This regimen, although toxic, is tolerable with appropriate supportive intervention. Primary site conservation is possible in many patients. Chemoradiotherapy appears to have an emerging role in the primary management of head and neck cancers.

초.중학생을 위한 보건교육의 영역 및 주요개념 선정을 위한 일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for Health Education in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s)

  • 이경자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26
    • /
    • 1990
  • In Korean education, the health contents are scattered in various course subjects throughtout the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curriculum. So it is very difficult to provide systematic health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 for health education using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that represent the scope of material that should be covered in health instruction. The steps used in selecting these health topic areas and major concepts were as follows: 1.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ed to health and health education was done to develop the rationale underlying this study. 2. Health topic areas basic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o human needs and to societal needs for healthful living were indentified. 3. The major concepts for each health topic area based on health sciences and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levels were selected. 4. The major concepts selected were organized in sequence to guide health education from grade one to grade n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dentification of eleven health topic areas essential for health education. These include: personal habits and health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nutrition and health prevention of disease and disorders drugs and health mental health family life and health sex education accident prevention consumer health community health 2. The identification of the major concepts(generalizations) for each health topic area: 33 major concepts were identified as a guide in determining the health content of health education programs. These are 1) body cleaniness, 2) health of the sensory organs, 3) dental health, 4) exercise and rest, 5) growth and development, 6) body structure and function, 7) developmental tasks, 8) balanced nutrition, 9) eating habits, 10) food preparation and food storage, 11) sources of disease and disorders, 12) disease preventive behavior, 13) care during illness, 14) drug use and misuse, 15) drug addiction, 16) emotional responses, 17) human relationship, 18) self concept, 19) social adjustment, 20) health habits of the family, 21) interdependence of family members, 22) origin of life, 23) characteristics of man and woman, 24) sexual instinct, 25) safety behavior, 26) emergency measures, 27) criteria for selection of health products, 28) proper use of health information, 29) utilization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30) environmental conservation, 31) environmental pollution, 32) population control, 33) fun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3. The organization of the concepts(generalizations) in sequence and for continuity in health instruction at the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level.

  • PDF

재래흑염소 개체식별과 친자확인을 위한 Microsatellite Marker Set 개발 (Development of a Microsatellite Marker Set for the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Parentage Verification of Korean Native Black Goats)

  • 이상훈;강호찬;이성수;이진욱;김은호;명철현;김관우;임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912-918
    • /
    • 2020
  • 본 연구는 재래흑염소와 교잡종 염소 총 304두를 대상으로 Microsatellite (MS) marker의 대립유전자형 분석을 통해 염소의 개체식별과 친자확인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각 MS marker 별 대립유전자형의 다형성을 토대로 11종의 MS marker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MS marker를 사용할 경우 동일한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가 출현할 확률이 무작위, 반형매 교배집단에서 각각 5.58×10-10, 1.15×10-7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친자감정 확률은 부모의 정보가 있을 경우 0.999996, 부모의 정보가 없을 경우 0.999833으로 분석되어 국내에서 사육하고 있는 염소들의 개체식별 및 친자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국내 재래흑염소 4 계통과 교잡종 염소들 간의 혈연관계 분석을 통해 국내 재래흑염소의 유전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염소의 개량 기반 구축에 필요한 개체관리와 친자감별 및 향후 염소고기의 생산 이력 구축에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리정보체계와 대기확산의 통합 (Integr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ir Dispersion Model)

  • 김명진;한의정;강인구;김정수
    • 환경영향평가
    • /
    • 제5권1호
    • /
    • pp.61-67
    • /
    • 1996
  • 환경영향평가는 1981년 환경영향평가서가 작성된 이후로 환경보전과 의사결정용 위한 수단으로 발전해 왔다. 환경영향평가 과정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환경영향평가 제도개선과 기법개발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면자료와 속성자료를 효과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지리정보체계가 도입되었다. 그리고 지리정보체계의 환경영향평가 과정에 적용을 위한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폐기물매립지에서 $NH_3$ 악취물질의 예측과 평가에 대하여 지리정보체계와 대기확산모델의 통합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첫째로 수치고도모델을 이용하여 각 그리드별 고도를 추출하고 둘째, 이 고도자료와 기후, 오염원 자료를 확산모델에 입력하고 셋째, 통 리별 인구를 포함한 행정구역도와 악취예측자료의 중첩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이 결과들은 주거지역에 대한 영향평가와 영향지역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수 있고,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은 사업자와 주민의 환경분쟁의 협상시 지원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