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sorbate 60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오일의 종류 및 required HLB가 나노에멀젼 형성에 미치는 영향 (Type of Oil and Effect of Required HLB on Nanoemulsion Formation)

  • 이다연;황혜윤;임수민;장혜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533-1546
    • /
    • 2023
  • 나노에멀젼이란 20 ~ 200nm 정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에멀젼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외관을 가지며, 작은 입자 사이즈로 유효물질의 피부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일의 required HLB와 종류가 나노에멀젼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required HLB가 다른 오일 8가지, 종류가 다른 16가지의 오일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때 사용한 계면활성제로는 Polysorbate 60 (HLB 14.9), Sorbitan stearate (HLB 4.7),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HLB 14.0)이며 Polysorbate 60과 Sorbitan stearate를 혼합하여 HLB 14.0으로 고정한 것과 Polysorbate 6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을 각각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오일의 종류에 따라 나노에멀젼 형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에스터계 구조를 가지는 오일이 비교적 우수한 나노에멀젼 형성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특히 Cetyl ethylhexanoin이 평균 40nm 이하의 작은 사이즈로 생성된 후 큰 변화없이 안정한 나노에멀젼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olysorbate 60과 Sorbitan stearate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혹은 Polysorbate 60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한 나노에멀젼 형성 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상 HPLC에 의한 polysorbates의 산화에틸렌(EO) 분리 및 정량분석 (Determination and Ethylene Oxide(EO) Separation of Polysorbates by RP-HPLC)

  • 이용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5-593
    • /
    • 2012
  • 역상 HPLC에 의한 polysorbate 20, polysorbate 40, polysorbate 60, polysorbate 80의 ethylene oxide(EO)분리 및 간편하고 빠른 정량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조건으로 분리관은 YMC Pack Ph ($250mm{\times}4.6mm$ i.d., $5{\mu}m$) 과 Phenomenex C4 ($250mm{\times}4.6mm$ i.d., $5{\mu}m$)을 사용하였고, 검출기는 ELSD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water/acetonitrile의 기울기 용리에 의해 분석되었다. 이때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180.2{\sim}980.5{\mu}g/mL$ 농도 범위에서 0.997이상 이었고, 검출한계, 정밀성이 우수하였다. 이 방법은 olysorbates의 산화에틸렌 분리분석 및 간편하고 빠르게 정량분석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레티닐 팔미테이트가 봉입된 셀룰로오스 나노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Cellulose Nanoparticles Loaded with Retinyl Palmitate)

  • 이정순;마상철;강기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5-181
    • /
    • 2008
  • 생체 친화성 에칠셀룰로오스 막제를 사용하여 자발적인 유화확산에 의하여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봉입한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분산매인 유화제로는 폴리소로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60, 피피지 26-부테스-26/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를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본 결과로서 나노크기 입자를 제조하기에 가장 적절하며 안정한 조건은 1w/v% 에칠셀룰로오스와 3w/v% 폴리소그베이트 60 수용액을 이용한 것이었으며, 레티닐 팔미테이트의 봉입률을 최대화하기 위한 조건은 2w/v% 에칠셀룰로오스와 1w/v% 폴리소르베이트 60 수용액을 이용한 제조 조건이었다. 또한 이 최적 조건에 다른 유효성분에도 적용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Polysorbates를 첨가한 전해산화수의 미생물학적 세정효과 (Microbiological Cleaning Effect of Electrolyzed Acid Water by Containing Polysorbates)

  • 정진웅;박기재;정승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29-103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전해산화수의 세정 및 살균력 상승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중 친수성을 지닌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 polysorbate 20, 60 및 80을 농도별(10 ppb, 100ppb, 1 ppm, 10 ppm 및 100 ppm)로 시료중량 50배의 전해산화수에 10분간 침지한 처리구와 전해산화수 만을 사용한 처리구에 있어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를 비교 검토한 결과, polysorbate 20을 10 ppm첨가한 처리구는 무첨가 처리구에 비하여 총균수는 1/250 수준, 대장균군수는 약 1/4 수준으로 감소되며, polysorbate 60을 10 ppm 첨가한 처리구에서는 총균수가 1/20 수준, 대장균군수는 약 1/6 수준으로 감소되므로써 그다지 효과가 없었다. 반면에 polysorbate 80을 1 ppm 첨가한 처리구에 있어 총균수는 $2.3{\times}10^{2}$ CFU/g, 대장균군수는 $1.5{\times}10^{1}$ CFU/g으로 총균수의 살균율은 1/300 수준, 대장균군은 약 1/1,700 수준으로 감소 시키므로써 현저한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상치를 1 ppm의 polysorbate 80을 첨가한 전해산화수에서 침지시간에 따른 처리 결과, ORP, pH 및 표면색도의 변화는 미미하였으나 HCIO 함량은 초기 10.28 ppm에서 침지처리 20분후에는 8.51 ppm으로 감소하였으며, 살균효과는 총균수가 침지처리 20분에 $6.5{\times}10^{3}$ CFU/g으로 무처리한 초기시료에 비해 약 1/1,800 수준으로 감소되었고, 대장균군수는 침지처리 30분에 $9.0{\times}10^{1}$ CFU/g으로 약 1/5,550 수준으로 나타났다.

  • PDF

유변학적 특성과 표면장력측정을 통한 음이온성 폴리머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the Interactions between Anionic Polymer and Nonionic Surfactant with Rheological and Surface Tension Measurements)

  • 이정노;김동주;고하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0-166
    • /
    • 2007
  • The rheological properties and surface tensions of polymer solutions and polymer-surfactant mixed solutions were investigated. The polymers used in this study were a homopolymer of acrylic acid crosslinked with an allyl ether of pentaerythritol, an allyl ether of sucrose, or an allyl ether of propylene (CARBOMER), acylate/C10-30 alkyl acylate crosspolymer (AAAC), and ammonium acryloydimethyltaurate/VP copolymer (ADTV). A solubilizing agent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HCO-40) and an emulsifying agent polyoxyethylene (20) sorbitan monostearate (POLYSORBATE 60) made the micelles intervening between AAAC polymers,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viscosity. However, HCO-40 made this behavior over the wider range of surfactant concentration than POLYSORBATE 60. From the view point of surface tensions in the same range of surfactant concentration, AAAC/HCO-40 solution showed the area of increasing surface tension with surfactant concentration in contrast to the AAAC/POLYSORBATE 60 solution showing no increasing area.

Polysorbate 80이 Sulfanilamide및 Sulfacetamide 과립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sorbate 80 on the Dissolution of Sulfanilamide and Sulfacetamide Granules)

  • 구영순;이정순
    • 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9-196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factant on the dissolution of relatively hydrophilic drugs, such as sulfanilamide (SF) and sulfacetamide (SFA) granules prepared by wet granulation. The additive incorporated in the granules is starch or microcrystalline cellulose(MCC) as an excipient, PVP as a binder, and polysorbate 80 (P-80) as a surfactant. The dissolution characteristics of SF and SFA granules in distilled water were as follows: The values of T$_{75%}$ were 4.60 and 2.50min, respectively for SF and SFA granules. Incorporation of 0.1% P-80 in SF granule ratarded the dissolution of SF as compared with control, but addition of 0.1% P-80 to SFA granule improved the dissolution of SFA in comparison with control. In SF and SFA granules formulated with either starch or PVP, the release of the drug was in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In SF granule, the dissolution of the drug was further reduced by the inclusion of P-80 in the granule containing starch or PVP. Incorporation of P-80 in SFA granule with starch or PVP affected little on the dissolution of the drug. Addition of a nonswelling excipient, MCC decreased the dissolution rate of SF and SFA granules. as compared with each control. The presence of P-80 in these granules made the dissolution rate slower in comparison with the granules containing only MCC.

  • PDF

폴리머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젤타입 제형의 제조 (Gel Type Formulation Utilizing Polymer-Surfactant Interaction)

  • 김동주;강태준;이천구;이정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0
    • /
    • 2007
  • 수용성 폴리머와 계면활성제의 상호작용을 레올로지와 표면 장력을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폴리머는 acrylates/$C_{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AC), 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AV)이다. 계면활성제는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HC), polysorbate 60 (P60)이다. HC와 P60은 AC 폴리머 주위에서 마이셀을 형성하여 점도를 증가하였다. 그러나, HC는 P60보다 보다 높은 농도 범위에서 점도 증가 거동을 보였다. 같은 농도 범위에서 계면활성제들의 표면장력을 비교해보면, 표면장력이 AC/HC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한 반면, AC/P60의 농도증가에 대해서는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AC/HC 사이의 마이셀이 강하게 조직화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수화 전처리에 따른 양쪽성 저분자 유화제(Small Molecule Amphiphile)의 첨가 수준이 저 열량 케익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ydration pretreatment on small molecule amphiphiles(SMA) at two levels in reduced-calorie cake systems)

  • 김혜영;셋서케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12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무설탕 무지방의 저칼로리 케익에서 다량으로 첨가되는 유화제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화제를 1.5온 혹은 15% 첨가수준에서 가수전처리 하거나, 전처리 하지 않은 경우가 저칼로리 케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물리 화학적인 특성 및 관능검사에 사용된 유화제는 Vanall$^{R}$, sorbitan me-nostearate, polysorbate 60, distilled monoglyceride, su-crose ester F10, SE F7O 및 SE F160이다. 반죽에서 낮은 비중을 나타내고 안정된 분산 체계를 유지하여 케익 volume이 커진 경우는 고수준으로 전처리된 SMS, MG, SE Fl60 및 F70가 첨가된 케익군과 저수준으로 전처리된 SE Fl6O, F7O 및 PS 60가 첨가된 케익군이다. 전처리하여 저수준으로 SE Fl60, F70 및 PS 60을 첨가하여 케익을 만들 경우 부드러운 케익이 되며, 고수준으로 전처리하지 않고 VanallR 을 첨가한 케익과 비슷한 부피를 지닌 케익을 만들었다.

  • PDF

비이온 계면활성제, 유화안정제 종류에 따른 O/W 유화 제형의 유변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Rheological Properties of O/W Emuls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Nonionic Surfactant and Emulsion Stabilizer)

  • 최중석;진병석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15-420
    • /
    • 2019
  •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유화안정제가 O/W 유화 제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유화안정제 종류를 달리한 여러 제형을 만들어 이들의 유변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polysorbate 60 (Tween 6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HCO 60), octyldodeceth-16 (OD 16), ceteareth-6 olivate (Olivem 800) 등을 사용하였고, 유화안정제로는 cetyl alcohol, glyceryl monostearate, stearic acid 등을 각각 사용하였다. Octyldodeceth-16을 사용한 유화 제형에서만 상분리가 일어나고 나머지 제형은 모두 안정한 상을 유지하였다. 계면활성제 ceteareth-6 olivate와 유화안정제 cetyl alcohol을 혼합 사용한 제형의 점도, 경도, 크림성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유화된 입자 사이즈도 가장 큰 값으로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화 제형에 액정이 많이 생성되면서 네트워크 구조의 텍스처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이 제형에서는 탄성적 특성이 크게 나타나고 힘이 가해지는 이력에 따라 점도 값이 달라지는 씩소트로픽 현상이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와 허브에센셜오일을 이용한 천연방부제형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Natural Antiseptic System Utilized Propolis and Herb Essential Oil)

  • 정노희;신광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9-108
    • /
    • 2007
  • The cosmetic and toiletries are necessary health care & household for common life. However we need antiseptic which is effecting harmlessly to the human body. There are propolis, Lavender, Lemon, essential oil in the natural antiseptic materials. This work proceeded design Natural-antiseptic system with three materials as above-mentioned. Natural-antiseptic system was accomplished with propolis (2%), Lavender essential oil (0.3%), Lemon essential oil (0.3%) safety out of Polysorbate 20 (0.5%), Polysorbate 80 (0.5%), PEG (60) hydrogenated castor oil (0.45%), ethanol (5%). The antimicrobial test was experimented on E. coli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In this antimicrobial test, we found that the effect of antisepsis against E. coli and Bacillus stearothermophilus with propolis 0.3%, Lavender essential oil 0.045% and Lemon essential oil 0.045% was improved. Therefore could expect Natural-antiseptic system product for moisturizing skin toner for face, nourishing essence and wet tissue for clean other th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