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orphic

검색결과 1,369건 처리시간 0.025초

I-SSR 표지자에 의한 눈측백나무 남한 잔존집단의 유전변이와 구조 (Genetic Variation and Structure of the Relict Populations of Korean Arborvitae (Thuja koraiensis Nakai) in South Korea, Employing I-SSR Markers)

  • 양병훈;송정호;이정주;허성두;홍용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1호
    • /
    • pp.1-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눈측백나무(Thuja koraiensis Nakai) 4개 천연집단을 대상으로 84개체를 선발한 뒤 다형성을 보인 29개의 I-SSR amplicons를 이용하여 유전변이를 조사하였다. 6개의 I-SSR primer로 유전다양성을 추정한 결과 평균 유효대립유전자의 수($A_e$)는 1.44개, 이형접합도의 기대치($H_e$)는 0.258, Shannon의 다양성 지수(S.I.)는 0.385로 크게 높지는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다양한 표지자를 이용하여 측백나무과(Cupressaceae)에 속하는 지금까지 연구된 수종들과 비교하여보면 국내의 눈측백나무는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유전변이량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4개의 집단을 대상으로 AMOVA를 수행한 결과 전체 유전변이 가운데 13%가 집단간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87%는 집단내 개체간 차이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적 거리에 의한 UPGMA 유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리적인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유전변이량이 가장 높은 장산집단과 유전적 조성에서 가장 이질적인 방태산집단이 보전 가치가 큰 것으로 판단된다.

서해 아암도 갯벌토양 미생물의 개체군 분석 및 RAPD 분석에 의한 방선균의 생태학적 연구 (Studies on Microbial Ecology of Actinomycetes in Tideland Soils.)

  • 조영주;김정한;전은수;이상미;박동진;이재찬;이향범;김창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5
    • /
    • 2002
  • 갯벌 토양 내에 존재하는 방선균, 세균, 곰팡이의 다양성 및 개체군 분석을 위해 토양 깊이(지표, 지하 10 cm, 지하 20 cm, 지하 30 cm)와 염농도 (균분리 배지상에 바닷물, 1.5% NaCl, 5% NaCl을 첨가함)에 따른 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선균으로서는 총 175 균주를 분리할 수 있었고 이를 대상으로 RAPD-PCR 방법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하였다. 방선균의 경우 깊이 10 cm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였으며 NaCl이나 바닷물이 포함되지 않은 HVagar 배지에서 가장 많은 수의 균주들이 나타났고, 토양깊이에 따른 다양성의 경우 지표에서 29균주, 지하 10 cm에서 74 균주, 지하 20 cm에서 39 균주, 지하 30 cm에서 37 균주가 분리됨으로써 지하 10 cm 이내에서 다양한 방선균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방선균 군집분석을 한 결과 15개의 cluster로 나눌 수 있었으며, Promicromonospora citrea, Microtetraspora angiospora, Kineosporia aurantiaca, Sebekia benithana, Kibdelosporangium aridum과 동일한 cluster에 속하는 균주들이 많았고, 그 외에 다양한 균주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곰팡이의 경우 지표면의 토양을 바닷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많은 수가 나타났고, 세균의 경우도 지표면의 토양을 염이 첨가되지 않은 nutrient agar 배지로 배양하였을 때 가장 많은 세균을 분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갯벌토양에서는 표층 및 지하 10 cm 이내에서 가장 다양하고 많은 수의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한우 산유량에 미치는 Mitochondrial DNA D-loop영역의 염기서열 변이효과 (Effect of Sequence Variation in Bovine Mitochondrial DNA D-Ioop Region on ~ilk Production for Hanwoo)

  • 공홍식;오재돈;임현진;이학교;전광주;윤두학;전기준;최재관;최연호;조병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729-734
    • /
    • 2004
  • 본 연구는 한우의 mtDNA D-loop 영역 염기 변이가 산유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젖소의 mtDNA D-loop 영역에서 단일염기의 치환이 20 개의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그중 8, 169, 16042, 16051, 16057, 16093, 16119, 16122, 16209, 16255, 16302 bp 지역에서 높은 빈도의 염기치환이 검출되었다. 16119bp 지역에서는 T가 C로 치환된 빈도가 0 .138로 검출되었으며, 이 위치에서의 염기치환에 의한 산유량 효과는 -1.61 (p<0.1)로 나타났다. 16185bp 지역에서의 염기치환에 의한 산유량 효과는 3.557(p<0.05)로 나타났으며 G가 A로 치환된 빈도는 0.063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검출한 한우 다유계통 집단의 mtDNA내 D- loop 영역의 염기서열 변이 빈도와 유량과의 연관성분석 결과 등은 한우 집단의 유전적 변이성 추정과 좀 더 다양한 경제형질과의 관련성 분석으로 다양한 유전적 지표인자 발굴에 도움 될 것이며 이를 통해 분자유전학적 기법을 이용한 한우의 육종 전략을 확립하논데 기초 자료가 되는 것은 물론 우려나라 고유 품종인 한우의 유전자원 보존과 분자육종학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iscrimination of the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 population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Choi, Nu Ri;Seo, Dong Won;Jemaa, Slim Ben;Sultana, Hasina;Heo, Kang Nyeong;Jo, Cheorun;Lee, Jun Heo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7권2호
    • /
    • pp.5.1-5.8
    • /
    • 2015
  • Background: Korean native chicken (KNC) is a well-known breed due to its superior meat taste. This breed, however, owing to a low growth rate, has a high market price.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th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NIAS) in Korea developed a commercial KNC breed, named Woorimatdag version 2 (WM2), an upgraded version of the Woorimatdag (WM1) breed and the WM2 was created by crossing the KNC with meat type breeds. This study aims to discriminate between WM2 and other chicken breeds using microsatellite (MS) markers. Methods: A total of 302 individuals from eight Korean chicken populations were examined.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analysis were investigated using Cervus, API-CALC, STRUCTURE, PowerMarker programs. Results: Based on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30 MS markers were initially selected from 150 markers. The identified average number of alleles (Na), expected heterozygosity, and PIC values for the WM2 samples were 7.17, 0.741, and 0.682,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paternity of individuals was assigned with a success rate of greater than 99% using 12 markers, the best minimum number of markers. The 12 selected markers contained heterozygosity and PIC values above 0.7 and probability of identity values around zero. Using these markers, the determined probability of identity (PI), $PI_{half-sibs}$, and $PI_{sibs}$ values were 3.23E-33, 5.03E-22, and 8.61E-08, respectively. Conclusions: WM2 is well differentiated with respect to other chicken breeds based on estimated genetic distances. The results presented here will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commercial WM2 chicken in the market.

Association of Microsatellite Marker in FABP4 Gene with Marbling Score and Live Weight in Hanwoo

  • Lee, Seung-Hwan;Cho, Yong-Min;Kim, Hyeong-Cheol;Lim, Da-Jeong;Moon, Hee-Joo;Hong, Seong-Koo;Oh, Sung-Jong;Kim, Tae-Hun;Yoon, Du-Hak;Park, Eung-Wo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6호
    • /
    • pp.475-480
    • /
    • 2010
  • The bovine fatty acid binding protein 4 (FABP4) plays an important role to uptake intracellular fatty acid. It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as a positional candidate gene for marbling score in livestock. The re-sequencing of FABP4 gene detected a polymorphic AT repeated sequence in intron II of FABP4 gene. Allelic distribution for this microsatellite marker was examined in other cattle breeds. A total of 8 alleles were detected with diverse repeat units (14 to 21 AT repeat) in Hanwoo and 7 breeds. Of the 8 alleles, the predominant alleles were $[AT]_{16}$, $[AT]_{18}$ and $[AT]_{19}$ in the Hanwoo and 7 cattle breeds. The linear mixed model for genotypic effect (3237AT) on carcass trai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marbling score (MAR P=0.025) and live weight (LWT; P=0.04) in the 583 Hanwoo cattle population. Live weight (LW) was highest in the homozygous $(AT)_{17}$ genotype ($557.5{\pm}6.94$) and lowest in the heterozygous $(AT)_{16/17}$ genotype ($521.7{\pm}7.70$). On the other hand, the homozygous $(AT)_{17}$ genotype ($3.0{\pm}0.15$) has the highest effect on marbling score and the lowest effect was in homozygous (AT)$_{18}$ genotype ($2.2{\pm}0.15$). The marbling scor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0.8 which is around two times higher than SNP genotype effect on marbling score in Limousin $\times$ Wagyu crosses.

느티만가닥버섯의 분자유전학적 분류 및 품종특이적 DNA 마커 탐색 (Molecular Genetic Classification of Hypsizigus marmoreus and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DNA Markers)

  • 임윤정;이창윤;박정은;김상우;이현숙;노현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4-39
    • /
    • 2010
  • 느티만가닥버섯의 품종구분을 위하여 국내 버섯보존기관으로부터 수집한 30종의 품종에 대한 RAPD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체배지상의 균사로부터 염색체 DNA를 분리하였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3개의 random primer로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PCR 반응에서 200 bp에서 3000 bp 범위의 크기를 가진 DNA 밴드 약 30종이 관찰되었다. DNA 밴드 패턴은 UPGMA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dentrogram으로 나타내었다. 느티만가닥버섯은 2개의 클러스터로 분석되었으며, 클러스터 1은 다시 3개의 작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반면, 클러스터 2의 경우에는 유전적으로 클러스터 1보다 다양한 품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흥미롭게도 덕유산에서 채집된 야생종 Hm3-10의 경우 어느 클러스터에도 속하지 않는 고유의 품종임을 확인하였다. RAPD 결과 나타나는 품종별 고유의 DNA 밴드를 품종특이적 마커로 개발하기 위하여, Hm0-4 품종의 250 bp 특이밴드를 TA-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결정된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PCR primer를 디자인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250 bp DNA 밴드는 Hm0-4 품종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이는 이러한 접근법이 품종특이적 마커개발에 잘 적용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STS 마커를 이용한 고려인삼 품종 및 육성계통 판별 (Discrimination of Korean Ginseng Cultivars by Sequence Tagged Sites (STS) Markers)

  • 조익현;신미란;김영창;이승호;김장욱;문지영;노봉수;강성택;이동진;현동윤;김동휘;김기홍;방경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53-360
    • /
    • 2013
  • Korean ginseng (P. ginseng C. A. Mey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cinal plant in the world. Understanding genetic variability among the assortment of Korean ginseng is important for breed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olecularly characterize Korean ginseng cultivar and breeding lines through the use of eight previously reported STS markers (MFGp183, MFGp130, MFGp110, UFGp74, UFGp163, MFGp108, MFGp81 and UFGp156). All STS markers produced interpretable electropherograms from 31 accessions consisting of 11 Korean ginseng cultivars and 20 breeding lines. When eight STS markers were combined, we identified to total 19 genetic patterns; in particular, nine cultivars (Chunpoong, Yunpoong, Gopoong, Gumpoong, Sunpoong, Sunone, Cheongseon, Sunhyang, Cheonryang) and 5 breeding lines (G08012, G04079, G04075, G08036, G04110) in ginseng samples can be discriminated from the others. Together with other available markers, these STS markers will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of ginseng genetic resources and the protection of breeders' rights.

지식기반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한국인 빈발 HLA 대립유전자에 대한 결합 펩타이드 예측 (Knowledge based Genetic Algorithm for the Prediction of Peptides binding to HLA alleles common in Koreans)

  • 조연진;오흥범;김현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5-52
    • /
    • 2012
  • 감염된 미생물에서 유래한 단백질 펩타이드가 HLA에 결합하여 숙주의 세포표면에 제시되면, T 세포가 이를 인식하여 면역반응을 유발함으로써 감염원을 제거하게 된다. HLA와 펩타이드간의 결합이 안정적일수록 T 세포반응이 강하게 일어나 효율적으로 감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특정 HLA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펩타이드(HLA binder)를 찾아낼 수 있다면 감염질환이나 암의 예방을 위한 펩타이드 백신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HLA는 매우 다형하기 때문에 하나의 집단 내에서도 어느 정도의 빈도를 가지는 대립유전자의 수가 매우 많다. 따라서 이들 모든 대립유전자들에 대해 가능한 펩타이드조합을 제작한 후 직접 실험을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찾아내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특정 HLA에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예측하는 정보전산적인 방법이 최근 개발되어 왔다. 이들 방법을 통해 제시된 펩타이드에 대해서만 직접 생물학적 실험을 시행함으로써 연구자는 검증해야 할 후보 펩타이드의 수를 현격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HLA 결합 펩타이드 예측을 위해 기계학습을 이용한 방법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HLA 결합 펩타이드 예측에 시도된 적이 없는 '지식기반 유전자 알고리즘(knowledge-based genetic algorithm)'이라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것은 유전자알고리즘(GA)에 기반한 것이었지만 전문가 지식을 접목함으로써 GA보다 더 향상된 성능으로 한국인에 흔한 HLA에 결합하는 펩타이드를 예측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것은 결합하는 펩타이드의 규칙을 한국인에 흔한 HLA 대립유전자에 대하여 추출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었다.

AFLP 분석에 의한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의 유전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an Endangered Fish, Iksookimia choii (Cypriniformes), from Korea as Assessed by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 이일로;이윤아;신현철;남윤권;김우진;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98-103
    • /
    • 2008
  • 우리나라 멸종위기종 미호종개 3집단(갑천, 백곡천, 지천)의 유전 다양성 및 유전적 구조를 AFLP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3종의 primer조합형을 이용한 AFLP분석에서 각 집단으로부터 106, 107, 104개의 밴드가 생성되었으며, 집단 내 다형 밴드의 출현 빈도는 3개 집단에서 $21.5\sim24.5%$로 유사하게 나타났고, 이형접합율$(0.067\sim0.084)$및 유전적 다양도$(0.076\sim0.087)$는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집단간 유전적 거리 및 유전적 상동성 분석 역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분석한 미호종개 3개 집단은 유전적으로 매우 밀접한 근연관계를 나타내었다. 비록 pairwise Fst 값은 매우 낮았지만 3집단은 유전적 분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호종개의 유전적 다양성 및 분화에 대해 처음으로 보고된 연구이며, 미호종개의 보존을 위한 유전적 기초 정보를 제공해 준다.

흰색 반겹꽃의 화단국화 '누리볼' 육성 (Breeding of Garden Chrysanthemum Cultivar 'Nuri Ball' (Dendranthema grandiflorum Ramat.) with White Color Petals and Semi-Decorative Type Characteristics)

  • 김동찬;최현구;박하승;이영혜;원미경;정윤경;이정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789-795
    • /
    • 2015
  • '누리볼(Nuri Ball)'은 충남농업기술원 예산국화시험장에서 2011년에 육성한 흰색꽃을 가진 반구형 화단국화 품종이다. 품종육성 경위는 모본으로 노랑색 반겹꽃 화형의 줄기가 강한 특 징을 가지고 있는 '02-145-01' 계통과 흰색 반겹꽃 화형의 초형이 안정적인 '02-04-32'계통을 2004년에 인공교배하여 얻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특성을 조사하였고,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2011년에 품종등록을 하였다. '누리볼'의 화색은 흰색이고 반겹꽃 화형의 형태를 가졌다. 생육에서 초장은 대조품종인 '화이트 미리' 보다 작으나, 초폭이 더 넓은 안정적인 반구형의 모습을 보여 화단국화로써 뛰어난 형태가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조 품종과 형태적으로는 다소 유사 하였지만, 유전적 관계와 배수성 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차별성을 확인하였다. '누리볼'은 5월 하순에 정식하면 9월 하순에 개화되어 대조 품종보다 16일 빠른 개화특성을 보였으며, 꽃은 대조품종인 '화이트 미리' 보다 크지만 꽃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볼'은 화단에 이용 가능한 조경용 국화로써, 앞으로 농가소득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