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er blend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25초

생분해성 PBAST와 변형 열가소성 전분 블렌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Blends of PBAST and Chemically Modified Thermoplastic Starch)

  • 신부영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580-585
    • /
    • 2011
  • 본 연구는 석유유래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butylene adipate-co-succinate-co-terephthalate)(PBAST)의 생분해도와 친환경성을 높이기 위하여 변형 열가소성 전분(CMPS, chemically modified thermoplastic starch)을 첨가하였다. CMPS는 천연고분자인 전분을 가소제, maleic anhydride(MA) 및 반응개시제로 반응시켜 제조한 일종의 식물유래 생분해성 수지이다. PBAST/CMPS 블렌드의 파단면 사진으로부터 PBAST와 CMPS 상이 분리된 비혼화성 (immiscible blend) 블렌드이지만 상 사이의 계면 형상이 좋은 상용성 블렌드임을 알 수 있었다. 인장강도와 연신율은 CMPS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탄성률은 증가하였다. 블렌드의 생분해도는 순수 PBAST에 비해 매우 높았고 CMPS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열처리 온도에 따른 PVDF-$SiO_2$ 복합나노섬유의 특성 변화 (Characteristic Change of PVDF-$SiO_2$ Composite Nanofibers with Different Thermal Treatment Temperature)

  • 김영진
    • 폴리머
    • /
    • 제35권6호
    • /
    • pp.605-609
    • /
    • 2011
  • 전기방사법과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PVDF-$SiO_2$ 복합나노섬유를 제조하였으며, 얻어진 나노섬유는 서로 연결된 기공으로 이루어진 적층 구조를 하고 있었다. 즉, 전기방사로 제조된 나노섬유는 직경이 380 nm, 기공도가 80% 이상인 다공성막을 형성하였다. TEM 사진과 EDX 스펙트라의 분석 결과로부터 $SiO_2$가 나노섬유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기방사법의 도입에 의해 나노섬유의 기공도가 현저히 개선되었다. ATR-FTIR 및 XRD 분석 결과 복합나노섬유 상에서 PVDF는 ${\alpha}$-phase와 ${\beta}$-phase가 혼재되어 있는 결정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열처리에 의해서 PVDF의 ${\alpha}$-phase가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결정화도가 증가하였다. 특히, 기계적 강도, 열적 특성 및 소수성은 열처리 공정에 의해서 매우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속열차 점착계수 향상을 위한 신규 복합재료 분말 마찰조절재 개발 및 점착력 특성 평가 (Development of Novel Composite Powder Friction Modifier for Improving Wheel-rail Adhesion in High-speed Train)

  • 오민철;안병민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01-506
    • /
    • 2018
  • With the recent remarkable improvements in the average speeds of contemporary trains, a necessity has arisen for the development of new friction modifiers to improve adhesion characteristics at the wheel-rail interface. The friction modifier must be designed to reduce slippage or sliding of the trains' wheels on the rails under conditions of rapid acceleration or braking without excessive rolling contact wear. In this study, a novel 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metal, ceramic, and polymer is proposed as a friction modifier to improve adhesion between wheels and rails. A blend of Al-6Cu-0.5Mg metallic powder, $Al_2O_3$ ceramic powder, and Bakelite-based polymer in various weight-fractions is hot-pressed at $150^{\circ}C$ to form a bulk composite material. Variation in the adhesion coefficient is evaluated using a high-speed wheel-rail friction tester, with and without application of the composite friction modifier, under both dry and wet conditions. The effect of varying the weighting fractions of metal and ceramic friction powders is detailed in the paper.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블렌드의 유변학적 및 파괴특성 (Rheological and Failure Properties of Polycarbonate/Poly(butylene terephthalate) Blends)

  • 나창운;허몽영;최대환;국정호;황인라;정광운;홍창국
    • 폴리머
    • /
    • 제31권5호
    • /
    • pp.399-403
    • /
    • 2007
  • 폴리카보네이트/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PBT) 블렌드에 대해 용융혼합 과정에서 에스테르 교환반응 거동을 조사하였고, PC/PBT 혼합비에 따른 유변학적 특성, 파괴거동 및 파단면 모폴로지를 조사하였다. FT-IR 및 $^1H-NMR$ 분석을 통해 용융혼합 중에 PC와 PBT간 에스테르화 반응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PC 함량이 증가할수록 용융지수(MI)는 감소하여 PC의 높은 흐름저항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PC 함량이 증가할수록 저장 및 손실 탄성률은 증가하였고, Cole-Cole 도시로부터 PC/PBT 블렌드의 경우 혼합비에 관계없이 유변학적 상용성은 나타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장강도는 PC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충격강도의 경우 PC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약 $30{\sim}40wt%$ 범위에서 가장 급격한 증가폭을 나타내었고, 50 wt% 이상의 범위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충격 파단면을 관찰한 결과 약 40 wt% 이상의 범위에서부터 충격방향으로 거친 파괴 릿지(ridge)가 형성되어서 높은 충격강도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TiO_2$ 필러를 포함하는 PEO/PMMA 고분자 복합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및 결정화도 (Study on Ionic Conductivity and Crystallinity of PEO/PMMA Polymer Composite Electrolytes containing $TiO_2$ Filler)

  • 이륜규;박수진;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6호
    • /
    • pp.758-76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oly(ethylene oxide) (PEO)와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블렌드를 고분자 매트릭스(matrix)로 사용하고, 가소제로propylene carbonate (PC), 리튬염인 $LiClO_4$, 그리고 서로 다른 함량의 세라믹 필러인 $TiO_2$를 이용하여 용액 캐스팅(solution casting)법에 의해 고분자 복합체 전해질 필름을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의 결정화도와 이온전도도는 각각, X선 회절분석기(XRD)와 AC임피던스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표면 형태학(morphology)을 조사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TiO_2$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PEO의 결정화 영역이 감소하였고, 이온전도도는 증가하였다. 특히 $TiO_2$의 함량이 15 wt%일 때 가장 높은 이온전도도가 관찰된 반면, 15 wt% 이상을 첨가한 경우, 이온전도도가 감소된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표면 형태학를 통해 고분자와 필러간의 비혼합성 혹은 필러응집에 의해 불균일적인 형태학이 나타남으로써 이온전도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사슬에 이미드고리를 갖는 Polybenzoxazole과 Polyimide의 블렌드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Blends of Polyimide and Polybenzoxazole Having Imide Ring)

  • 위두영;한진우;최재곤
    • 폴리머
    • /
    • 제37권4호
    • /
    • pp.420-430
    • /
    • 2013
  • Poly(amic acid)(PAA)와 주사슬에 이미드 고리를 갖는 poly(o-hydroxy amide)(PHA)를 용액 블렌딩하여 고분자 블렌드를 제조하였으며, FTIR, FT NMR, DSC, TGA, SEM, XRD, UTM과 LOI를 이용하여 이들의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용해도 조사에서 블렌드들은 DMF, DMAc, DMSO 등과 같은 비양자성 용매에 잘 용해되었다. 블렌드들의 최대 무게손실 온도는 $578-645^{\circ}C$ 범위이고, PH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PBO/PI 블렌드는 56-69 wt%로 비교적 높은 잔유량을 보였다. 블렌드들의 LOI 값은 24.5-28.1% 영역이며, PHA의 함량과 함께 증가하였다. 블렌드들의 초기 모듈러스와 인장강도는 PAA보다 57-121%와 67-107% 각각 증가하였다. 특히 PHA/PAA=2/8(wt/wt)의 초기 모듈러스와 인장강도는 각각 4.87 GPa와 108 MPa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PHA 영역들은 $0.03-0.1{\mu}m$로 비교적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었으며, PAA와 PHA의 계면접착력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폴리비닐알코올/키토산 블렌드 필름의 제조 및 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vinyl alcohol)/Chitosan Blend Films)

  • Jeong, Min-Gi;Son, Tae-Won;Kim, Young-Hun;Cho, Jin-Won;Kim, Dae-Sun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1-322
    • /
    • 2003
  • Poly(vinyl alcohol) (PVA) is a polymeric biomaterial that obtained by the saponification of poly(vinyl acetate) (PVAc). It has a nontoxic and water-soluble synthetic polymer, and has excellent biodegradability, biocompatibility, ability of film forming, and hydrophilic property, which is widely used in biochemical and biomedical applications.$\^$1)/ Chitosan is one of a few natural cationic polysaccharides that can be obtaiend by alkaline deacetylation of chitin which is the second most abundant polymeric material in the earth.$\^$2)/ (omitted)

  • PDF

Dodecylbenzene Sulfonic Acid/Hydrochloric Acid Co-doping System을 이용한 Polyaniline 합성 및 Polyaniline/Waterborne-Polyurethane 블렌드에 관한 연구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aniline Co-doped with Dodecyl benzenesulfonic Acid/Hydrochloric Acid and Its Blend with Wateborne-Polyurethane)

  • Kwon, Ji-Yun;Lee, Young-Hee;Kim, Han-Do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39
    • /
    • 2003
  • Conducting polymers are finding increasing number of applications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chemical sensors, electrochromic display, light emitting diodes, etc. Polyaniline(PANI) ranks among highly prospective conduction polymers. PANI was first synthesis in 1862[1] and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as a conducting polymer since the 1980s[2]. The side range of electrical, electro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coupled with good environmental stability makes PANI potentially attractive for application as an electronic material. (omitted)

  • PDF

개질 Polypropylene의 혼화성과 표백 (Miscibility and Bleaching of Modified Polypropylene)

  • Cho, Kyu-Min;Cho, In-Sul;Chang, Du-Sang;Lee, Eun-Woo;Kim, Oh-Nyen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33-41
    • /
    • 1998
  • 이 연구는 염색성이 열악한 polypropylene(PP) 섬유의 염색성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라서 PP 섬유를 개질하기 위해 1차 cellulosic유도체를 추출하고 이 유도체와 PP를 9:1의 혼합비율로 섞어 master batch를 만든 다음 master batch 17%와 PP를 blending하여 개질 PP를 만들었다. 이렇게 제조된 개질 PP는 혼합된 변성 cellulosic polymer의 영향으로 착색이 심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를 표백하는 것을 이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blend한 개질 PP(Grand P)의 혼화성이 우수하였고, 아염소산나트륨에 표백적성을 가지며, 표백의 최적조건은 표백제의 농도가 0.1% $NaClO_2$, 표백온도 $70^\circ{C}$, 표백시간 30분이었다.

  • PDF

말가황(末加黃)고무의 압출특성(押出特性)과 수축(收縮)에 관(關)한 연구(硏究)

  • 이홍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11권2호
    • /
    • pp.122-129
    • /
    • 1976
  • 합성(合成)고무는 일반적(一般的)으로 천연(天然)고무에 비(比)하여 roll 가황성(加工性)이나 압출특성(押出特性)이 불량(不良)하다. 그러나 적당(適當)한 배합제(配合劑)의 선택(選擇)이나 가공조작(加工操作), 또는 천연(天然)고무와의 blend 등에 따라 이러한 문제(間題)들은 개선(改善)될 수 있다. 압출특성(押出特性)은 천연(天然)고무나 SBR 공(共)히 Polymer의 소연(素練)의 정도(程度), 보강제(補强劑)나 충전제(充塡劑) 기타(其他) 연화제(軟化劑)의 첨가량(添加量)등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게 되며 그 영향(影響)은 천연(天然)고무는 소연(素練)의 정도(程度)에 SBR은 보강제(補强劑)의 첨가량(添加量)에 크게 좌우(左右)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