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gonaceae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6초

Hepatoprotective effect of Rumecis Semen

  • Lee, Shin-Seok;Huh, Yeon-Gu;Yim, Dong-Sool;Lee, Sook-Yoe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2002년도 창립10주년기념 및 국립독성연구원 의약품동등성평가부서 신설기념 국재학술대회:생물학적 동등성과 의약품 개발 전략을 위한 국제심포지움
    • /
    • pp.242-242
    • /
    • 2002
  • The root of Rumex crispus(Polygonaceae) has been used as one of many oriental medicines ofr the treatment of cathartics, juandice and skin diseases etc. Recently, it is reported as one of anticancer agents and a remedy of acute hepatitis in many traditional medicines. Also, the seed of this plant has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gestion problems, liver diseases and many sorts of tumors. In this study we have collected the seed of this plant in rural area and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hepatoprotective activity from liver cell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on mice with methanol extracts,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s of this plant

  • PDF

Flavonoids with anticomplement activity from Persicaria lapathifolia

  • Park, Si-Hyung;Oh, Sei-Ryang;Kim, Young-Soo;Lee, Hyeong-Kyu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86-186
    • /
    • 1998
  • Persicaria lapathifolia Gray (Polygonaceae) is a common weed in Korea. This plant and other Persicaria species including P. orientale and P. pubescens have been used as an analgesic and stomachic as well as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and malaria. During the screening program of plant extracts, MeOH extract of P. scabrum showed anticomplement activity and the MeOH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buthanol. EtOAc fraction showed strong activity and activity guided separation yielded eight flavonoids. Two known galloylated and a novel ferulloylated flavonoid glycosides showed strong anticomplement activity. Other flavonoid glycosides, kaempferol 3-O-${\alpha}$-$\sub$L/-arabinopyranoside, kaempferol 3-O-${\beta}$-$\sub$D/-glucopyranoside, kaempferol 3-O-${\beta}$-$\sub$D/-galactopyranoside, quercetin 3-O-${\alpha}$-$\sub$L/-arabinopyranoside, quercetin 3-O-${\beta}$-$\sub$D/-glucopyranoside, quercetin O-${\beta}$-$\sub$D/-galactopyranoside did not showed anicomplement activity.

  • PDF

추월산 한약자원식물의 분포 및 분류체계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ces in Mt. CHU-WOL)

  • 윤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1-63
    • /
    • 1990
  • 추월산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한약 자원식물을 채집 분류하여 이용체계 확립의 수단으로 삼고자 이 지역의 약용식물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월산에 분포되어 있는 약용자원 식물은 113 과, 304 속, 428 종이었다. 2. 분포수종중 초본류는 73 과, 223 속, 317 종, 목본류는 49 과, 85 속, 111 종이었다. 3. 초본류는 주로 전초 또는 근을, 목본류는 수피, 과실이 한약재료로 많이 사용되어지는 것이었다.

  • PDF

남한지역 한약자원식물의 수집분류와 이용체계에 관한 연구 1. 남한지역 한약자원 식물의 수집분류 (A Study on Development of Medical Wild Plant Resources in the Southern Area of Korea 1. Investigation of the Herb Plant Resources around Mountain of south Korea)

  • 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27
    • /
    • 1992
  • The plants medicinal resources of southern area(Soraksan, Bughansan, Odesan, Gwanagsan, Sollaegsan, Gyeryongsan, Sogrisan, Deogyusan, Chinsan, Jogyesan, Mudeungsan, Hallasan) ofkorea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y 1,1992 to November 30,1992In order to analyze the vegetation of southem area, medical wild plants structure and distr:~bution.Medical wild plants of southern area consisted of 94 familis,284 specis in all. The resources of impor-tant herb drugs were Polypodiaceae, Graminea, Liliaceae, polygonaceae, Ranunculaceae,Brassicaceae, Rosaceae, Favaceae, Apiaceae, Ldbiatae, Solanaceae, Companulaceae, Compositae.The herb drygs were comparatively more thanin other mounteins in our country.

  • PDF

전북지방(全北地方)의 항암(抗癌) 약용식물(藥用植物)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Medicinal plants contain antinoplastic agents in Chonbuk province)

  • 곽준수;한종현;송호준;백승화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96-304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anticancer medicinal plants in Chonbuk area.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otal number of anticancer medicinal plants were reported 40 families and 83 species. 2. The results of classfied, order Tubiflorates which took majority among others, had 4 Family respectively. 3. A number of species classified by orders are as follows; 13 genus and 13 species in Family Compositae, 6 species in Family Rosaceae, 5 species in Family Leguminosae, 4 species in Family Labiatae and Family Polygonaceae and 3 species in Family Ranunculaceae, Family Rubiaceae respectively.

  • PDF

골프장에 발생하는 잡초종 (Weed Flora of Golf Fields in Korea College of Agricul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김길웅;권순태;김학윤;안용태;김인섭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1-41
    • /
    • 1990
  • About 117 weed species composed of 44 annuals, 26 biennials, and 47 perennials belonging to 36 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golf fields in both Anyang an Taegu country clubs on May and September, 1989. Graminae was the most widely occuring family covering 21 species, followed by 14 species in compositae, 8 species in leguminosae, polygonaceae and caryophyllaceae respectively, and 5 species in cyperacae etc. The highest numbers of weed species occured in the rough area in golf fields, followed by tee, fairway and green area in orders. The dominant weed species in golf fields based on importance value and frequency were Digitaria Sanguinalis, Poaannua, Polygonum aviculare, Trifohum repens, Plan tago asiatica, Capsella bursa-pastoris Rumx acetocella and Kyllinga brevifolia.

  • PDF

Antioxidant actions of polyphenol QGR and its building blocks on unopsonized zymosan-induced oxidative stress in murine macrophages Raw264.7

  • Kim, Byung-Hak;Reddy, A.M.;Min, Kyung-Rak;Kim, Young-Soo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55.1-155.1
    • /
    • 2003
  • Polyphenol QGR (quercetin 3-O-beta-(2"-galloyl)-rhamnopyranoside) was isolated from Persicaria lapathifolia (Polygonacea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s of QGR and its building blocks (quercitrin, quercetin and gallic acid) on superoxide anion and NO productions in unopsonized zymosan-stimulated murine macrophages Raw264.7. QGR and quercetin showed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unopsonized zymosan-induced superoxide anion production with IC50 values of 3.2 uM and 4.8 uM, respectively. (omitted)

  • PDF

사대공단(四大工團) 주변(周邊)의 식생(植生)에 대(對)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egetation around the Industrial Complexes)

  • 김태욱;김수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8-13
    • /
    • 1982
  • 본(本) 조사(調査)는 1981년(年) 7월(月) 18일(日)에서 8월(月) 11일(日) 사이에 4개(個) 공단(工團)(포항(浦項), 울산(蔚山), 온산(温山) 및 여천(麗川))을 대상(對象)으로 오염발생원(汚染發生源)으로부터 2km이내(以內)의 식물(植物)의 종류(種類)와 내연성(耐煙性) 식물(植物)의 발굴(發掘) 및 대기오염(大氣汚染)이 식물생육(植物生育)에 미치고 있는 범위(範圍)를 지표식물(指標植物)에 의(依)한 육면적(肉眠的) 방법(方法)으로 조사(調査)하였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4개(個) 공단(工團)에 나타난 식물(植物)의 종류(種類)는 91과(科) 6아과(亞科) 213속(屬) 290종(種)이었고 과(科) 순위별(順位別)로 보면 포항공단내(浦項工團內)에는 54과(科) 102속(屬) 126종(種)으로 콩(科) 16종(種), 벼(科) 11종(種), 장미과(科) 9종(種) 및 국화과(科) 9종(種)의 순(順)이었고, 울산공단내(蔚山工團內)에는 61과(科) 131속(屬) 158종(種)으로 국화과(科) 17종(種), 벼과(科) 16종(種), 콩과(科) 15종(種), 장미과(科) 9종(種), 마디풀과(科) 7종(種) 및 가지과(科) 6종(種)의 순(順)이었고, 온산공단내(温山工團內)에는 46과(科) 98속(屬) 113종(種)으로 국화과(科) 12종(種), 벼과(科) 12종(種), 콩과(科) 12종(種), 장미과(科) 6종(種) 및 마디풀과(科) 6종(種)의 순(順)이었고, 여천공단내(麗川工團內)에는 71과(科) 150속(屬) 188종(種)으로 장미과(科) 15종(種), 콩과(科) 15종(種), 국화과(科) 15종(種), 벼과(科) 14종(種), 마디풀과(科) 7종(種) 및 버드나무과(科) 6종(種)의 순(順)이었다. 2) 4개(個) 공단지역(工團地域)에서 조사(調査)된 내연성(耐煙性) 식물(植物)은 표(表) 1과 같다. 3) 공단지역(工團地域)에 식재(植栽)될 추자수종(推蔗樹種)은 콩과(科)에 족제비싸리, 조록싸리, 싸리, 아까시나무 및 회화나무, 참나무과(科)에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및 굴참나무, 버드나무과(科)에 은사시나무, 능수버들, 물푸레나무과(科)에 쥐똥나무, 광나무, 자작나무과(科)에 산오리나무, 노박덩굴과(科)에 사철나무, 인동과(科)에 아왜나무 및 소나무과(科)에 히말라야시이 다이다.

  • PDF

엽록체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물여뀌 종집단(마디풀과)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f the Polygonum amphibium L. complex (Polygon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s)

  • ;;박진희;박종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4-45
    • /
    • 2013
  • 마디풀과의 물여뀌 종집단(Polygonum amphibium L. complex)은 육상 및 수중 환경 모두에 서식할 수 있는 분류군으로, 서식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 변이를 나타내어 현재까지 많은 분류군들이 기재되어 왔다. 아시아 및 북미산 107개체로부터 측정한 11개 형태형질을 사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수행한 결과, 본 종집단에서 존재하는 수생형 및 육생형 개체들은 모든 지역집단에서 잎의 형태 및 크기, 엽병의 길이 등에 의해 서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 개체군 또는 동일 지역내에서 채집된 수생형과 육생형 개체들은 엽록체 DNA 4개 구간(matK, psbA-trnH IGS, rbcL-accD IGS, trnL-trnF)에서 완전히 동일한 염기서열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져 유전적으로는 분기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본 종집단에서 나타나는 생육형간의 형태적 차이는 서식지 환경에 따른 개체 변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형태분석 및 엽록체 4구간 염기서열 유합자료의 계통분석 결과, 한국, 일본, 중국, 몽골, 극동 러시아 지역 등에 분포하는 아시아산 개체들은 북미지역집단 개체들 및 유럽의 영국산 개체와 형태적, 유전적으로 뚜렷이 구분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따라서 한반도산 개체들을 포함하는 아시아 지역집단 개체들은 P. amphibium의 하나의 변종(P. amphibium var. amurense Korsh.)으로 인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배양 신경세포의 저산소증모델에서 대황 물추출액의 항산화 및 사립체막전위 소실 억제 효능 (Water Extract of Rhei Rhizoma Prevent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n a Hypoxia Model of Cultured Neurons)

  • 이현숙;문일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31-1636
    • /
    • 2008
  • 대황(Rhei Rhizoma; RR, 대황(大黃))은 Rheum officinale Baill.와 Rheum palmatum L. (Polygonaceae)의 땅속부분 (rhizome 및 root)으로 남아시아의 민속의학에서 간 및 신장의 손상을 치료하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한 흰쥐 해마신경세포의 저산소증모델을 이용하여 대황의 물추출물이 신경세포사를 억제하는 효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배양 10일(DIV10)에 RR을 배양액에 첨가하고 DIV13일에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10 ${\mu}g$/ml 농도까지는 세포독성이 없었으며, 정상산소 환경에서 2.5 ${\mu}g$/ml의 농도에서 세포생존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지에 대황을 첨가한 경우 DIV13일에 저산소증을 유도한 후 5일째에 세포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매우 유의하게 생존율을 증가시켰다. $H_2DCF$ 염색 결과 대황은 활성산소(ROS)의 생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킴과, JC-1 염색 결과 사립체 막전위의 소실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황 물추출물이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세포의 에너지 생성을 보전함으로서 세포사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뇌신경세포의 건강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