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9초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co-trimethylene 2,6-naphthalate) 공중합체의 합성과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co-trimethylene 2,6-naphthalate) Copolymers)

  • 김영호;최재원;서용환;이한섭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1-44
    • /
    • 2002
  • 블렌딩이나 공중합체의 합성은 한가지 또는 모든 구성성분 고분자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효과적인 물성 발현을 위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들 사이에서는 PET/PEN, PEN/PHN, PBT/PBN, 또는 PET/PBT 등의 공중합체가 보고되고 있다[1-3]. 한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는 최근 섬유로 방사되어 카펫, 의류 등으로 응용된 이후 PTT를 주성분으로 하는 bicomponent 멜트블로운 부직포[4], 염색[5]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Separation and Identification of Cyclic Oligomers in 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 Min Bum-Chan;Lim Byung-Ho;Ko Suk-Yen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8-45
    • /
    • 2006
  • The NMR and MS techniques were applied to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oligomers in a commercialized 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Oligomers in a commercialized 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were extracted via a dissolving and reprecipitation method.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the extract using NMR and MS revealed that it contained mainly cyclic oligomers with degrees of polymerization of 2, 4 and 5 (dimer, tetramer and pentamer). Trimer and cyclic oligomers with degrees of polymerization of more than 6 were not found in the extract in the present study. Quantitative analysis of dimer was performed by NMR spectroscopy.

  • PD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섬유를 이용한 신축성직물의 제조 및 물성 (Prepar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Stretch Fabrics Using with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iber)

  • 최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3-58
    • /
    • 2003
  • The stretch fabrics were made by the use of PTT[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and changes in their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sed. Tenacity and elongation of D-1(PTT DTY) yarn were 3.32 g/d and 50.4%, respectively, while these of D-2(PTT+CDP DTY) yarn were 2.46 g/d and 32.1%, respectively. The tenacity of PTT-1 and PET-1 fabrics was similar, but the elongation of PTT-1 and PET-1 fabrics was 75% and 44%, respectively. Thus, the elongation of PTT-1 fabric was two times higher than those of PET-1 fabric. In addition, the elastic recovery at 20% elongation of PTT-1, PTT-2 and PET-1 fabric was 85.0%, 80.5% and 60.0%,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o PTT-1 fabric showed better elastic recovery. The light, wash, and abrasion fastness of PTT-1 and PTT-2 fabrics were above Grade 3, Grade 4-5, and Grade 4-5,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was little effect of substance on the fastness.

초임계이산화탄소와 PTT및 PET섬유 사이에서 C. I. Disperse Yellow 54 염료의 수착평형 (Sorption Equilibria of C. I. Disperse Yellow 54 Dye between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PTT and PET Textiles)

  • 임방현;최준혁;심재진
    • 청정기술
    • /
    • 제13권3호
    • /
    • pp.173-17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이산화탄소 분위기 하에서 고분자섬유인 PTT(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에의 분산염료 C. I. Disperse Yellow 54의 평형수착량을 온도와 압력, 그리고 시간에 따라 측정하였다. PTT와 PET 모두 온도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염료의 수착량이 증가하였으나, 압력에 따른 수착량의 증가속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PTT가 PET보다 훨씬 더 큰 염료의 수착량을 나타냈으나, PTT와 PET 모두 같은 온도와 압력에서의 수착량의 증가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 PDF

연신 및 열처리에 따른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섬유의 미세구조 형성 및 물성 (Fine Structure Form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 late) Fibers with Drawing and Annealing)

  • 주시환;김경효;조현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63-366
    • /
    • 2002
  •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이하 PTT)는 1941년 Caligo Printing Ink 사의 Whinfield와 Dickson에 의해 PET와 함께 처음으로 중합방법이 보고[1]되었으나, 원료인 1,3-propanediol의 제조가격이 너무 높아 지난 60년간 상업화 및 학문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근 미국의 Shell사와 독일의 Degussa(현재 미국의 duPont)에 의해 1,3-propanediol이 대량생산되면서 PTT섬유의 상업적 생산에 점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략)

  • PDF

Synthesis, Structure, and Thermal Property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co-trimethylene 2,6-naphthalate) Copolymers

  • Jeong, Young-Gyu;Jo, Won-Ho;Lee, Sang-Cheol
    • Fibers and Polymers
    • /
    • 제5권3호
    • /
    • pp.245-251
    • /
    • 2004
  •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co-trimethylene 2,6-naphthalate)s (P(TT-co-TN)s) with various copolymer composition were synthesized, and their chain structure, thermal property and crystalline structure were investigated by using $^1$H-NMR spectroscop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nd wide-angle X-ray diffraction (WAXD), respectively. It was found from sequence analysis that all the P(TT-co-TN) copolymers synthesized have a statistical random distribution of TT and TN units. It was also observed from DSC thermograms that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creases linearly with increasing the TN comonomer content, whereas the melting temperature of copolymer decreases with increasing the corresponding comonomer content in respective PTT- and PTN-based copolymer, showing pseudo-eutectic melting behavior. All the samples melt-crystallized isothermally except for P(TT-co-66 mol % TN) exhibit multiple melting endotherms and clear X-ray diffraction patterns. The multiple melting behavior originates from the dual lamellar population and/or the melting-recrystallization-remelting.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classes depending on the copolymer composition, i.e., PTT and PTN $\beta$-form diffraction patterns, without exhibiting cocrystallization.

연신조건이 PTT섬유의 배향에 비치는 영향(II) (Effect on the Orientation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in Drawing Condition(II))

  • 김경효;강석진;이양헌;조현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68-71
    • /
    • 2003
  •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는 1941년 Caligo printing Ink 사의 Whinfield와 Dickson에 의해 PET와 함께 처음으로 그 중합방법이 보고 된 이래, 주원료인 1,3-propanediol의 생산가격이 너무 높아 지난 60년간 상업화 및 학문적 연구가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미국의 Shell사와 독일의 Degussa(미국의 Dupont)에 의해 1,3-propanediol이 대량 생산되면서[1], PTT 섬유의 상업적 생산에 점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S사와 Shell의 공동연구에 의해 제품이 생산되는 둥 많은 연구가 진행중에 있기는 하지만, 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연구에 비한다면 아직 걸음마 단계의 기초 자료로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일축 연신에 의한 폴리(트리메틸렌 데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데레프탈레이트) 블렌드의 구조 변화 (Structure Development of Uniaxially Drawn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nte) Blends)

  • 전병환;김환기;강호종
    • 폴리머
    • /
    • 제28권1호
    • /
    • pp.67-76
    • /
    • 2004
  •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TT/PET) 블렌드의 저온 연신 시, 연신 온도와 연신 비에 의한 PTT/PET 100/0, 90/10 및 80/20 블렌드의 열적 특성, 결정화도 및 배향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수축률과 기계적 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신에 의한 배향과 응력에 의한 결정화 발현에 의해 PTT/PET 블렌드의 상대 결정화도와 유리 전이 온도가 증가되는 반면 냉결정화 온도 및 냉결정화 엔탈피는 감소하였다. PET 유리 전이 온도 이하 연신의 경우 PET의 첨가에 의해 결정화도는 감소되나 배향도 증가에 의하여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가 증가하였다. 수축률은 주사슬 배향에 따라 증가되나 연신에 의한 결정화도 증가에 의하여 최소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향된 Poly(trimethylene 2,6-naphthalate)(PTN) 필름의 미시적/거시적 구조 (Micro- and Macroscopic Structures of Oriented Poly(trimethylene 2,6-naphthalate)(PTN) films)

  • 양영일;김영호;이한섭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1-342
    • /
    • 2003
  • Poly(trimethylene 2,6-naphthalate)(PTN)은 dimethyl-2,6-naphthalene dicarboxylate(NDC)와 1,3-propanediol(PDO)로 합성된 polyester이다. 비록 PTN은 아직 상업화된 resin은 아니지만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와 비슷한 화학적 구조를 가지며 PTT 보다 높은 유리전이 온도(72$^{\circ}C$)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특히 최근에 1,3-propanediol based polyester는 가스 차탄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PTN의 산소, 이산화탄소 등 가스 차단 특성은 poly(ethylene 2,6-naphthalete)(PEN)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