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ethylene oxide) (PEO)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4초

MCM-41/Po1y(ethylene oxide) 복합체로 구성된 고분자 전해질의 제조와 전기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MCM-41/Poly(ethylene oxide) Composites)

  • 김석;강진영;이성구;이재락;박수진
    • 폴리머
    • /
    • 제29권4호
    • /
    • pp.403-40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mobil crystalline material-41(MCM-41)의 함량 변화에 따른 고체 고분자 전해질(solid polymer electrolyte, SPE)의 이온전도도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하여, poly(ethylene oxide)(PEO), 메조포러스 기공 구조를 가지는 MCM-41 분자체, 그리고 리튬염을 이용하여 SPE를 제조하였다. SPE의 결정화도는 X-선 회절분석(XRD) 및 시차주사열량계(DSC)를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주파수반응분석(FRA)으로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여 이온 전도거동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MCM-41을 고분자 혼합물에 첨가함에 따라 PEO의 견정성 영역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는 MCM-41이 메조포러스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P(EO)_{16}LiClO_4$/MCM-41 전해질 복합체의 이온 전도도는 8$wt\%$의 MCM-41을 첨가한 경우 가장 큰 이온전도도를 가지며, 8$wt\%$이상에서는 다소 감소된 이온전도도를 가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온전도도의 특성은 MCM-41의 첨가에 따른 고분자의 결정화도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TiO_2$ 필러를 포함하는 PEO/PMMA 고분자 복합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및 결정화도 (Study on Ionic Conductivity and Crystallinity of PEO/PMMA Polymer Composite Electrolytes containing $TiO_2$ Filler)

  • 이륜규;박수진;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6호
    • /
    • pp.758-76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oly(ethylene oxide) (PEO)와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블렌드를 고분자 매트릭스(matrix)로 사용하고, 가소제로propylene carbonate (PC), 리튬염인 $LiClO_4$, 그리고 서로 다른 함량의 세라믹 필러인 $TiO_2$를 이용하여 용액 캐스팅(solution casting)법에 의해 고분자 복합체 전해질 필름을 제조하였다. 고분자 전해질의 결정화도와 이온전도도는 각각, X선 회절분석기(XRD)와 AC임피던스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표면 형태학(morphology)을 조사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TiO_2$의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PEO의 결정화 영역이 감소하였고, 이온전도도는 증가하였다. 특히 $TiO_2$의 함량이 15 wt%일 때 가장 높은 이온전도도가 관찰된 반면, 15 wt% 이상을 첨가한 경우, 이온전도도가 감소된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표면 형태학를 통해 고분자와 필러간의 비혼합성 혹은 필러응집에 의해 불균일적인 형태학이 나타남으로써 이온전도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외선 조사를 이용한 PEO 필름의 광가교 (Photocrosslinking of PEO Films Using UV Irradiation)

  • 구광회;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8년도 제38차 학술발표대회
    • /
    • pp.28-30
    • /
    • 2008
  • Poly(ethylene oxide)(PEO) of molecular weight of 300,000 was crosslinked by exposure to UV irradiation. Photochemical crosslinking of PEO occurred by UV irradiation and the presence of benzophenone in the film which acts as a hydrogen-abstracting agent. Percent conversion of the polymer into gel as well as water absorbency were investigated gravimetrically. Gel fraction and water absorbency of PEO films increased with increasing UV energy. In case of photocrosslinked PEO films with benzophenone, gel fraction increased up to about 90%. The thermal behavior of crosslinked PEO films was studied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maximum decomposition temperature increased with increasing UV energy and benzophenone concentration.

  • PDF

The Effect of Urea on Volumetric and Viscometric Properties of Aqueous Solutions of Poly(ethylene oxide)

  • 전상일;백경구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9권11호
    • /
    • pp.1194-1198
    • /
    • 1998
  • The density and the viscosity of aqueous PEO solutions are observed with the several concentrations of PEO at 20 ℃. The effects of urea on them are also observed. The apparent and the partial specific volumes of PEO are calculated from the density data, which result that the polymer-polymer interaction is dominating in the binary aqueous PEO solutions, while the polymer-solvent interaction is dominating in the ternary aqueous urea-PEO solutions. It is explained by the urea induced breakage of the structured water originated from the hydrophobic interactions and the binding of the urea to the PEO chain. The concentration dependence of relative viscosity and the density dependence of fluidity is also discussed with the concept of the polymersolvent and the polymer-polymer interactions of aqueous urea-PEO solutions.

수용액 내 폴리스티렌-폴리에틸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 미셀 구조에 대한 소각중성자산란 연구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tudy of the Structure of Micelles Formed by a Polystyrene-Poly(ethylene oxide) Diblock Copolymer in Aqueous Solution)

  • 강병욱;최미주;황규희;이광희;진병석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85-489
    • /
    • 2009
  • 중수소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dPS-PEO)로 형성된 미셀의 구조에 대한 온도 의존성을 소각중성자산란(SAN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ANS 데이터는 코어-쉘 모델의 form factor와 hard-sphere structure factor를 결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산란 곡선 맞춤을 이용하여 미셀 응집수와 코로나 반경을 구하였다. 온도가 $25^{\circ}C$에서 $45^{\circ}C$로 증가함에 따라서 미셀 응집수는 229에서 240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코어 반경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셀의 쉘 두께는 6.2 nm에서 5.8 nm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온도 증가에 따라서 PEO 블록의 소수성이 증가함으로써 코로나 내의 친수성 그룹 당 수화 부피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모세관 전기영동을 이용한 박테리아의 분리 (Separation of Bacteria Using Capillary Electrophoresis)

  • 문병근;최규성;이상천;김용성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4-150
    • /
    • 2004
  • 모세관 전기영동을 이용한 박테리아의 분석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실험적인 요인을 연구하였다. 여러 완충액 농도에서 gram-positive 박테리아에 비해 gram-negative 박테리아는 높은 전기장 하에서 다른 분리 거동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모세관 내부로 주입되는 박테리아의 농도에 따른 분리 효율의 차이가 연구되었다. 완충액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시료의 농도가 비교적 높은 1.0 mg/ml일때 좋은 분리 효율이 얻어졌으며, 이것은 박테리아의 높은 농도에서 발생하는 focusing effect에 의한 결과로 보인다. 선형 고분자인 poly(ethylene)oxide(PEO), polyvinylpyirrolidone(PVP)와 가지형 고분자인 dextran을 크기와 형태적 차이로서 박테리아를 분리하기 위하여 테스트하였다. 다른 고분자와 달리 보다 유연하며 입체 장애가 적은 선형 고분자인 PEO를 포함하는 완충액에서 gram-positve 박테리아인 Micrococcus lysodeikticus와 gram-negative 박테리아인 Aerobacter aerogenes의 혼합물을 높은 효율로 분리하였다.

초임계 이산화탄소 유체를 이용한 결정성/무정형 폴리에테르 전해질의 이온전도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ion-conductive Behaviors for Crystalline/Amorphous Solid Polyether Electrolytes Using Supercritical $CO_2$ Fluid)

  • 곽근호;;;;홍성권
    • 폴리머
    • /
    • 제26권6호
    • /
    • pp.785-791
    • /
    • 2002
  • 결정성 및 무정형 고분자 전해질의 이온전도 거동에 미치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sc$CO_2$) 유체의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폴리에테르 전해질의 이온전도도 향상에 관한 새로운 개념의 접근 방법이다. sc$CO_2$ 처리결과, 결정성 PEO 전해질의 경우 실온에서 100배 이상의, 무정형 PMEO 전해질은 9$0^{\circ}C$에서 30배 가까운 이온전도도의 상승을 나타내었다. 이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로 $CO_2$ 분자가 침투함으로써 이온 분산효과로 캐리어 이온의 수를 증가시키고 가소화 효과로 인해 유리전이온도를 저하시켜 이온이동도를 향상시킨 결과이다.

미세구조 내에서의 사출성형 흐름에 관한 연구 (Study on flow behavior of polymer solutions in microchannels)

  • 김동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71-475
    • /
    • 2006
  • 랩온어칩(Lab-on-a-chip) 등 미세구조를 갖는 다양한 장치들의 대량 생산이 가능한 사출성형공정 내에서의 미세 흐름 거동의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 채널 구조 내에서의 사출성형 흐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흐름 현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투명한 PMMA를 사용하여 가시화 금형(visual mold)을 제작하였다. 실험 대상 물질로는 고분자 용액인 PEO (poly (ethylene oxide)) 와 PA (polyacrylamide) 용액을 선정하였는데, 이는 고분자 용융체의 특징인 높은 점성과 탄성을 갖도록 설계한 것이다. 시간에 따른 흐름현상과 주 채널과 마이크로 채널과의 경쟁적인 흐름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로부터 마이크로 사출성형 흐름에서 나타나는 마이크로 채널 내의 충전길이에 대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 PDF

고체전지용 $Li_xV_3O_8$ Composite 정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_xV_3O_8$ Composite Cathode for All-solid state Rechargeable Battery)

  • 김종욱;성창호;구할본;박복기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733-73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고체 리듐 전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poly(ethylene oxide) [PEO] 에 $LiClO_4$, 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및 가소제로 propylene carbonate [PC] 와 ethylene carbonate[EC] 등을 혼합여 고분자 저해질을 제조하였다. 또한 고체 리듐 전지용 정극으로써 우수한 특성이 기대되는 $Li_xV_3O_8$을 졸-겔법에 의해 합성하여 $Li_xV_3O_8$SPE/Li cell 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고분자 matrix는 PEO와 PVDE를 혼합 사용한 결과 $PEO_4 PVDF_4LiCIO_4PC_5EC_5$ 고분자 전해질이 상온에서 $5.2 {\times} 10{-3}$ S/cm 의 높은 이온 전도도를 나타냈으며 리듐 이온 transference number는 0.3이었다. 졸-겔법에 의해 제조된 $Li_xV_3O_8$을 사용한 $Li_xV_3O_8$SPE/Li cell의 방전시 cell 저항이 방전 초기에는 비소한 증가를 하다가 방전 말기 전압인 2.0V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Li_xV_3O_8$ composite 정극의 첫 번째 방전 용량은 295㎃h/g이었으며 8번째 충방전 싸이클부터 방전 용량이 안정화 되었고 15번째 방전 용량도 212㎃h/g으로 고체 전지용 정극으로써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