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ostreatus

검색결과 525건 처리시간 0.022초

울릉도의 균류상 (IV) -수종 주름버섯류에 대하여- (Fungal Flora of Ullung Island (IV) -on some agaric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4-72
    • /
    • 1993
  • 1989년 10월부터 1991년 9월까지 도합 5차례에 걸쳐 채집한 98점의 주름버섯류 표본을 최근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이들 표본의 약 4/5가 최종적으로 동정되어 주름버섯목의 10과, 22속, 30종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3종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판명되어 우리나라의 균류목록에 새로이 추가되었으며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귀버섯과의 땅귀버섯 (신칭(新稱), Crepidotus geophilus)과 송이과의 긴대애주름버섯 (신칭(新稱), Mycena elegans) 및 큰애주름버섯 (신칭(新稱), Mycena carolinensis)이었다. 동정된 균류중 가장 흔한 종류는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 졸각버섯 (Laccaria laccata), 뽕나무버섯 (Armillariella mellea), 긴대 애주름버섯 (신칭(新稱), Mycena elegans), 그리고 갈색먹물버섯 (Coprinus micaceus)등 5 종이었으며 이들이 울릉도 주름버섯류의 우점종을 이루고 있었다. 많은 종류의 주름버섯류들이 부식토, 토양, 또는 지면에서 자라고 있었으며 일부는 활엽수의 둥치, 밑동, 기부, 뿌리, 통나무, 또는 가지의 죽은 목재에 서식하고 있었다. 너도밤나무 (Fagus cenata var. multinervis)와 마가목 (Sorbus commixta)은 느타리 속 (Pleurotus), 귀버섯속 (Crepidotus), 부채버섯속 (Panellus), 먹물버섯속 (Coprinus), 및 개암버섯속 (Naematoloma), 혹은 뽕나무버섯속 (Armillariella)과 같은 목재서식 주름버섯류의 가장 좋은 숙주였으며, 우산고로쇠 (Acer okamotoanum)와 소나무 (Pinusdensiflora)도 먹물버섯속 (Coprinus), 무당버섯속 (Russula), 및 비단그물버섯속 (Suillus)과 같은 토양서식 주름버섯류의 생장에 좋은 환경을 제공하고 있었다. 육지의 주름버섯류 균류상에 비하여 울릉도의 균류 다양성은 매우 적었으며 일부 우점종들이 섬전역을 통하여 광범위하게 분포히는 반면에 미기록종을 포함한 일부 고유종들이 울릉도 균류상의 특정을 규정짓고 있었다.

  • PDF

버섯 병재배 배지재료의 이화학성과 활용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Raw Materials for Mushroom Substrates)

  • 정종천;전창성;이찬중;오진아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6-141
    • /
    • 2010
  • 본 시험은 버섯 병재배 농가에서 사용하고 있는 배지재료와 혼합배지의 수분함량, pH, 전탄소(T-C), 전질소(T-N), C/N율, 인산, 13종의 양이온 함량 등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전국의 병재배 농가에서 임의로 선정한 35농가 중 팽나무버섯 13개소, 큰느타리버섯 14개소, 느타리버섯 8개소에서 배지재료 143점과 혼합배지 35점의 시료가 수집되었다. 배지재료의 성분함량은 동일한 명칭의 재료라도 2~5배로 차이가 많은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농가에서 수집한 버섯재배용 혼합배지의 C/N율은 팽나무버섯과 큰 느타리버섯 배지가 $28{\pm}4$, 느타리버섯 병재배용 배지는 $21{\pm}2$의 범위이었으며 중금속 등 특정성분에 특이사항은 없었다. 그리고 배지재료별 성분함량표를 이용하여 버섯 재배용 혼합배지의 성분조성을 산출하기 위한 계산식을 제시하였다.

버섯 섭취와 장내 미생물 균총의 변화 (Changes in gut microbiota with mushroom consumption)

  • 김의진;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5-125
    • /
    • 2021
  • 버섯의 섭취는 버섯의 유용 성분에 의해 면역체계 및 장내미생물균총의 변화를 유발한다. 그중 많이 알려진 β-glucan 구조 기반 물질들은 염증매개물질의 분비는 억제하고 대식세포의 활성은 유발하여 면역력의 증진을 도와인체의 면역기능을 증진시킨다. 직접적인 유용 성분 이외의 다른 물질은 장내 미생물균총에 의해 단쇄지방산으로 변화되며, 변화된 단쇄지방산은 면역 및 다양한 질병의 완화를 유발하게 된다. 버섯이 포함하고 있는 성분은 β-glucan 외에도 장내미생물균총을 변화하게 유도하는 prebiotic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변화된 장내미생물균총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다양한 감염성 균의 감염을 막으며, 면역체계의 균형 유지를 도우며, 질병을 예방하게 된다. 국내 섭취 빈도가 높은 새송이, 표고, 느타리, 팽이, 목이, 양송이 버섯의 유용 성분의 탐색, 장내미생물균총의 변화 및 섭취 시 인체의 단쇄지방산 변화 연구는 추후 버섯의 유용 성분, 장내미생물 및 질병과의 인과관계를 풀어내는데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느타리버섯 생육단계별 호흡량 (Respiration amount on the Growth Step of Pleurotus ostreatus)

  • 장현유;백성호;서금희;이준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157-162
    • /
    • 2015
  • 느타리버섯 생육단계별 호흡량을 측정한 결과, 균사배양 초기는 850cc병 16병(1밧트)에서 1분당 호흡량이 184.75ppm이며 1병당 11.55ppm/min.이고 1시간에 692.8ppm/1병이므로 배양실에 2500병이 있다면 173,203ppm/1시간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배양초기에 배양 실내 적정 이산화탄소함량인 600±100ppm으로 맞추기 위해서는 신선한 공기가 배양실로 얼마만큼 유입되어야 하는가를 계산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균사배양 중기는 850cc병 16병(1밧트)에서 1분당 호흡량이 185.8ppm이며 1병당 11.62ppm/min.으로 배양초기보다 호흡량이 약간 많다가 배양이 진행된에 따라 호흡량이 감소하였다. 버섯생육초기는 850cc병 16병(1밧트)에서 1분당 호흡량이 154.5ppm이며 1병당 9.66ppm/min.이고 1시간에 579.4ppm/1병이다. 버섯생육중기단계는 850cc병 16병(1밧트)에서 1분당 호흡량이 148.1ppm이며 1병당 9.26ppm/min.이고 1시간에 555.4ppm/1병이다. 버섯생육말기단계는 850cc병 16병(1밧트)에서 1분당 호흡량이 157.1ppm이며 1병당 9.82ppm/min.이고 1시간에 589.1ppm/1병이다. 버섯 수확 후 단계는 850cc병 16병(1밧트)에서 1분당 호흡량이 101.6ppm이며 1병당 6.35ppm/min.이고 1시간에 381ppm/1병이다. 버섯 균사배양에서 생육, 수확단계까지 전체 경시적인 변화를 보면 배양초기와 중기에 가장 높고 점차 감소하다가 생육초기보다 말기 쪽이 조금씩 호흡량이 증가하다가 수확 후에 급속하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Cloning and Sequence Analysis of the Cellobiohydrolase I Genes from Some Basidiomycetes

  • Chukeatirote, Ekachai;Maharachchikumbura, Sajeewa S.N.;Wongkham, Shannaphimon;Sysouphanthong, Phongeun;Phookamsak, Rungtiwa;Hyde, Kevin D.
    • Mycobiology
    • /
    • 제40권2호
    • /
    • pp.107-110
    • /
    • 2012
  • Genes encoding the cellobiohydrolase enzyme (CBHI), designated as cbhI, were isolated from the basidiomycetes Auricularia fuscosuccinea, Pleurotus giganteus, P. eryngii, P. ostreatus, and P. sajor-caju. Initially, the fungal genomic DNA was extracted using a modified cetyl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 protocol and used as a DNA template. The cbhI genes were then amplified and cloned using the pGEM-T Easy Vector Systems. The sizes of these PCR amplicons were between 700~800 bp. The DNA sequences obtained were similar showing high identity to the cbhI gene family. These cbhI genes were partial consisting of three coding regions and two introns.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exhibited significant similarity to those of fungal CBHI enzymes belonging to glycosyl hydrolase family 7.

Two new species of Trichoderma isolated from commercially grown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ral)

  • Park, Myung-Soo;Seo, Geon-Sik;Bae, Kyung-Sook;Yu, Seung-Hun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7.1-127
    • /
    • 2003
  • We describe two new Trichoderma species associated with oyster mushroom in Korea. Trichoderma green mould has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of oyster mushroom in Korea. Of these the predominant species are two unrecorded species. We designed as Trichoderma sp. Korean type 1 (Th K1) and Trichoderma sp. Korean type 2 (Th K2), respectively. Th K1 and Th K2 can be distinguished from previously reported Trichoderma species as well as each other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rowth rate at 35$^{\circ}C$, colony morphology, conidia shape and branch pattern of phialides. Sequence of the ITS region of rDNA, the protein coding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gene(EF-1${\alpha}$), and RNA polymeraseII (RPB2) not only clearly separated Trichoderma sp. Korean types from their closely related T. harzianum biotype but also distinguished them from each other. Analyses of the EF-1${\alpha}$ and RPB2 sequences were found to be more useful for establishing systematic relationships among Trichoderma isolates than those of the ITS sequence. Based on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We propose the two Trichoderma sp. Korean types as the new species

  • PDF

버섯의 Ergocalciferol(Vit D$_2$)과 Cholecalciferol(Vit D$_3$)의 함량 측정 (Determinations of Ergocalciferol and Cholecalciferol in Mushrooms)

  • 이진실;안령미;최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3-178
    • /
    • 1997
  • HPLC를 이용하여 표고(동고, 화고), 팽이, 양송이, 목이, 석이, 운지, 영지버섯에 존재하는 비타민 D$_2$와 비타민 D$_3$의 양을 측정했다. HPLC는 external standard 방법을 이용하였다. 검화, 추출, 건조, 거름, 과정을 거친 시료 20 ${\mu}\ell$를 HPLC에 투입해 비타민 D$_2$와 비타민 D$_3$의 양을 측정했다 버섯들 중에 비타민 D$_2$와 비타민 D$_3$의 양이 가장 많은 것은 목이버섯(167.8$\mu\textrm{g}$/100g) 이었으며 가장 적은 것은 양송이로(7.2$\mu\textrm{g}$/100g)로 분석 됐다. 버섯에 존재하는 비타민 D의 함량이 연구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데 이는 버섯의 수확시기, 재배조건, 재배종자, 건조 조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 PDF

인공 재배버섯에 질병을 일으키는 Pseudomonas속 병원세균에 관한 연구 1. 인공 재배버섯의 부패 변성 원인세균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athogenic Pseudomonas Causing Bacterial Disease of Cultivated Mushroom in Korea)

  • 김종완;김근희;강희진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7-210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cause of degeneration and rot of cultivated mushroom. Among 597 bacterial isolates derived from the rots of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and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collected from markets of 5 cities (Seoul, Suwon, Taegu, Pohang and Pusan) in Korea (1991~1993), 111 bacterial isolates (18.5%) were proved as pathogenic bacteria. These pathogenic bacteria causing bacterial rots of cultivated mushrooms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tolasii, P. agarici, and Eriwinia sp., and the main causal bacteria were P. tolaasii. P. fluorescens and Klebsiella plenticola were confirmed as saprophytic non-pathogenic bacteria. One hundred fifty nine isolates (Group No. 39) of the 486 saprophytic bacterial isolates were classified as P. fluorescens, and this species was most often found rot area of cultivated mushrooms. P. tolaasii, the causal organism of bacterial blotch,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group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by the formation of white precipitation band by white line reacting organisms of Pseudomonas Agar F media. P. tolaasii attacked the cultivated mushrooms relatively well at lower incubation temperature such as 5$^{\circ}C$, but P. agarici rarely attack at below 1$0^{\circ}C$. The temperature for the infection commercial cultivated mushrooms by P. agarici was higher than that of P. tolaasii. Optimum temperature for the infection of mushrooms by P. tolaasii and P. agarici were 2$0^{\circ}C$ and $25^{\circ}C$, respectively.

  • PDF

버섯에서 분리한 형광성 Pseudomonas spp. 의 ITS I 영역 분석에 의한 계통 분류 (Phylogeneitc Analysis of Fluorescent Pseudomonas spp. Isolated from the Cultivated Mushrooms on the Basis of ITS I Region)

  • 고승주;고승주;강희완;전명숙;류진창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0-357
    • /
    • 1998
  • A total of 12 strains of fluorescent Pseudomonas isolated from the cultivated mushrooms such as Agaricus bisporus and Pleurotus ostreatus were collected. They consisted of pathogenic Pseudomonas spp. and epiphytic Pseudomonas spp. of the cultivated mushroom. To analyz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hese strains, ITS I region, the 16S-23S intergenic spacer region in the ribosomal RNA (rRNA) operon, was cloned and sequenced. The spacer regions of these strains were 495∼527 nucleotides in length and contained the genes encoding isoleucine-tRNA (tRNAIle) and alanine-tRNA (tRNAAla). The reciprocal homologies of each ITS I sequence among these strains were in the range of 84.2%∼98.8%.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S I sequences, the fluorescent Pseudomonas spp. were phylogenetically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Cluster I consisted of Pseudomonas fluorescens, P. tolaasii, P. gingeri’, and P.‘reactans’(WLRO). Cluster II comprised Pseudomonas fluorescens biovar C and F. Cluster III composed P. agarici. Cluster I and II could be classified into P. fluorescens complex. P. agarici formed an independent taxon clearly separable from P. florescens complex.

  • PDF

Laccase Fermentation of Clove Extract Increases Content of Dehydrodieugenol, Which Has Neuroprotective Activity against Glutamate Toxicity in HT22 Cells

  • Lee, Han-Saem;Yang, Eun-Ju;Lee, Taeho;Song, Ky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2호
    • /
    • pp.246-254
    • /
    • 2018
  • Enzyme fermentation is a type of food processing technique generally used to improv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food and herbal medicines. In this study, a Syzygii Flos (clove) extract was fermented using laccase derived from Trametes versicolor (LTV). The fermented clove extract showed greater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glutamate toxicity on HT22 than the non-fermented extract did. HPLC analysis revealed that the eugenol (1) and dehydrodieugenol (2) contents had decreased and increased, respectively, after fermentation. The content of 2 peaked at 1 h after fermentation to $103.50{\pm}8.20mg/g_{ex}$ (not detected at zero time), while that of 1 decreased to $79.54{\pm}4.77mg/g_{ex}$ ($185.41{\pm}10.16mg/g_{ex}$ at zero time). Compound 2 demonstrated promising HT22 neuroprotective properties with inhibition of $Ca^{2+}$ influx, the overproduction of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and lipid peroxidation. In addition, LTV showed the best fermentation efficacy compared with laccases derived from Pleurotus ostreatus and Rhus vernicif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