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ostreatus

검색결과 525건 처리시간 0.027초

Pleurotus ostreatus에서 분비되는 Peroxidase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eroxidase from Pleurotus ostreatus)

  • 배성호;신광수;강사욱;하영칠;최선진;김규중;최형태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8-356
    • /
    • 1989
  • PIeurotus ostrealus의 배양액에서 syringic acid에 의해 유도되는 peroxidase의 활성이 추정되었다. 본 효소는 DEAE Sephadex A-50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와 Sephadex G-150 첼 여과크로마토 그래피를 통하여 순수분리 되었다. 순수분리된 효소는 당함량이 35.7%인 당단백젤이었으며. SDS-linear polyacrylamide gradient gel 전기영동과 젤여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자량(Mr) 72.400인 2개의 동일한 소단위체로 이루어진 이합체로 판명되었다. 본 효소는 흡광 스펙프럼의 분석결과, iron protoporphyrin IX의 구조를 갖는 2개의 heme을 조효소로 가지고 였는 것으로 추정되였다. 본 효소의 등전점은 4.26 이었고 $H_2O_2$에 대한 $K_m$값은 $7.2{\mu}M$이었다. 본 효소의 반응 최적온도는 $40^{\circ}C$, 최적 pH는 3.5에서 4.0 사이였다. Ferulic acid와 sinapic acid에 대한 본 효소의 친화도(Km)는 horseradish peroxidase에 비해 각각 2.4. 12.3배 더 높은 것으호 계산되었다.

  • PDF

URP-PCR 분석에 의한 느타리 단핵 계통간 교잡주의 핵 DNA 유전 (Nuclear DNA inheritance of intraspecific somatic hybrids by mono-mono cross in Pleurotus ostreatus based on URP-PCR analysis)

  • 김은정;신평균;장갑열;공원식;한영숙;유영복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1-180
    • /
    • 2014
  • 느타리버섯류(Pleurotus spp.) 우량 품종개발에 많이 이용되는 교잡육종법 중에서 단핵-단핵간(mono-mono) 교잡에 관한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느타리 6계통 및 사철느타리 1계통으로 단핵-단핵간 7조합 85개 교잡주를 얻어 교잡율, 핵 DNA 패턴 양상, 자실체의 갓 색깔과 수량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핵-단핵간 교잡율은 50~93.75%로 나타났으며, 단핵간 85 교잡주의 핵 DNA 양상을 분석한 결과 양친주의 핵을 공유하고 있어 DNA 패턴은 양친의 중간이지만 유전유사도는 어느 한쪽 친주와 조금 더 가까운 양상을 나타냈다. 계통간교잡주 모두 양친의 핵이 공존하는 DNA 패턴을 나타내었지만 양친 중 한쪽 친과 유연관계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사철느타리와 느타리간 교잡주는 유사도가 사철느타리에 가까웠고, 느타리간의 교잡주도 한쪽 모균주에 가까운 유연관계로 나타났다. 단핵-단핵간 교잡에서 자실체 갓 색은 사철느타리와 느타리간 교잡주는 대부분 양친주의 중간정도의 색을 나타냈으나 양친주 중 어느 한 쪽 친주에 좀 더 가까운 갓 색을 띄는 경향을 나타냈다. 자실체 수량성은 느타리간의 교잡주는 양친과 유사한 것이 82 %, 양친보다 높은 것이 0%, 양친보다 낮은 것이 18%였다. 본 연구는 느타리 계통간 교잡주의 핵 DNA 양상과 자실체 특성을 구명하였다. 단핵-단핵간 교잡법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앞으로 육종방법으로서 느타리버섯류의 우량 품종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긴수염버섯파리(Lycoriella ingenua)가 느타리버섯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ycoriella ingenua on the production of Pleurotus ostreatus)

  • 강민구;조우식;김우현;이숙희;권오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7-201
    • /
    • 2016
  • 느타리버섯 재배중 버섯파리에 의한 피해는 빈번히 발생한다. 많은 농가에서 버섯파리로 인해 버섯생산량이 감소하고 재배기간이 단축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긴수염버섯파리가 느타리버섯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평가해보았다. 균사접종시 1마리 이상의 유충이 투입될 경우,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오염이 발생하였으며, 버섯수확은 불가능 하였다. 성충의 영향평가에서도 긴수염버섯파리는 버섯수확량 감소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균사접종시기에 10마리가 처리될 경우, 대조구에 비해 수량은 10.8% 감소하였으며, 10마리 이상 처리될 경우, 버섯수확이 불가능 하였다. 균사배양이 14일 경과한 시험에서 성충을 인위 투입할 경우, 버섯파리 밀도에 비례하여 버섯생산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담자균(擔子菌)에 관한 연구(硏究)( I ) -고온성(高溫性) 양송이와 느타리의 균사(菌絲) 생육(生育)에 관하여- (Studies on Basidiomycetes(I) -On the Mycelial Growth of Agaricus bitorquis and Pleurotus ostreatus-)

  • 홍재식;이갑상;최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24
    • /
    • 1981
  •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고온성양송이 (Agaricus bitorquis)와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의 균사생육(菌絲生育)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균사생육(菌絲生育)의 최적(最適) pH와 온도(溫度)는 A. bitorquis경우 pH $6.0{\sim}6.5$, 온도(溫度)는 $25{\sim}30^{\circ}C$, P. ostreatus는 pH $5.0{\sim}6.5$,온도(溫度)는 $25^{\circ}C$이었다. 2.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양호(良好)한 탄소원(炭素源)과 질소원(室素源)은 A. bitorquis 경우 glucose, starch와 peptone이었고, P. ostreatus 는 glucose, fructose, starch와 peptone이었다. 3. C/N률(率)이 너무 낮거나 높으면 오히려 균사수율(菌絲收率)이 감소(減少)하였고 동일 C/N률(率)에서는 glucose와 peptone의 농도(濃度)가 높은 편이 균사수율(菌絲收率)이 높았다. 4. 균사생육(菌絲生育)이 양호(良好)한 vitamin은 A. bitorquis 경우 thianmine, Ca-pantothenate, folic acid이었고 P. ostreatus는 thiamine, folic acid, inositol이었다. 5. 배지(培地)의 성분(成分)은 배양기간(培養期間)의 경과에 따라 pH, 총질소(總窒素) glucose는 점진적으로 감소되었고 균사수율(菌絲收率)은 이와 반대로 증가 되었다.

  • PDF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그 성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ctive Components of the Extracts from Pleurotus ostreatus)

  • 김민희;정은정;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9-125
    • /
    • 2016
  • 느타리버섯을 기능성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 농도에 따라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인 ergothioneine,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 측정과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물 추출물(에탄올 0%)의 ergothioneine과 total phenolic compounds 및 flavonoid 함량이 각각 $2.98{\pm}0.05mg/g$, $9.51{\pm}0.45mg/g$, $2.83{\pm}0.03mg/g$으로 가장 높았고, 에탄올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그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물 추출물에서 각각 $80.41{\pm}0.56%$, $91.47{\pm}0.1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FRAP 값도 물 추출물이 $8.86{\pm}0.33\;FeSO_4\;eq$. mM로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냈다. 느타리버섯 추출물의 ergothioneine은 total phenolic compounds (r = 0.818)와 flavonoid (r = 0.837)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DPPH (r = 0.614) 및 ABTS라디칼 소거능(r = 0.483)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느타리버섯의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물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곡물배지가 느타리버섯의 균사배양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id grain media on the mycelial growth of Pleurotus ostreatus and its biofunctional activity)

  • 류현순;손미예;조용운;갈상완;이상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4
    • /
    • 2004
  • 버섯을 이용한 기능성 전통 장류발효식품의 개발 및 버섯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상식하고있는 7종류의 곡물배지에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을 행하고 그 배양추출물의 생리활성 등을 검토하였다. 곡물을 냉수에 4시간 수침시킨 후 물 빼기를 한 다음 곡물 중량비에 대하여 수분을 25%(V/W) 전후로 첨가하고 증자시간을 30분 행하는 것이 느타리버섯 균사생육에 효과적이었다. 7종류의 곡물배지에 느타리버섯 균사를 고체 배양한 결과 조와 보리쌀 배지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고 그 다음은 대두박과 검정콩 배지로 나타났으며 밀, 옥수수 및 현미배지에서는 생육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균사추출물들이 폐암세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옥수수, 대두박, 현미, 보리쌀 및 검정콩 배지에서 비교적 높은 항암성을 나타내었고, 조와 밀의 배지에서는 낮은 항암성을 나타내었다. 혈전용해활성은 대두박, 밀, 조, 보리쌀, 현미, 검정콩, 옥수수배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Pseudomonas aeruginosa 및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다.

  • PDF

DNA 다형성 분석에 의한 느타리버섯 단포자 분리주의 유전적 변이성 (Genetic Variability of Pleurotus ostreatus Monospore Isolates b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Analysis)

  • 송영재;정미정;김범기;노영덕;류진창;유영복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186-205
    • /
    • 1996
  • 식품으로서의 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이핵체와 이것의 자실체로부터 얻은 35 단포자분리균주의 핵산연쇄중합반응에 의한 DNA 다형성을 분석하여 몇가지 유전형질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느타리의 300개 단포자분리균주중에서 다시 이차로 분리한 35균주의 균총생장 속도를 분석한 결과 4균주는 모균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느린 것, 아주 느린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26개의 Primer를 사용한 RAPD 분석에서 모균주와 단포자분리균주간에 형성된 DNA 다형성 밴드는 345개로, 밴드의 크기는 $0.1{\sim}4.0Kb$였다. Primer J(OPA-01)와 W(OPB-04)는 균주간에 많은 차이를 보였고, 36-MI 103균주는 거의 모든 primer에서 다른 균주와 차이를 나타냈다. RAPD 분석에 의한 모균주와 단포자분리주의 유전유사도는 36-MI 103을 제외하고 약 73% 정도의 유전유사성을 보였으며, 36-MI 103 균주와 다른 분리균주간의 유사도는 49%로 낮았다. 모균주 및 단포자 분리균주들의 유전유사도는 균사 생장속도와 다소 상관이 있는 4개 군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I군은 이핵성 모균주, II군은 빠른 생장의 단핵주, III군은 중간 및 느린 생장속도의 단핵주, IV군은 아주 느린 생장속도의 단핵주였다. 그러나 교배형과 유연관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Pleurotus ostreatus) 균사체 생장 및 항산화 효과 (Mycelial growth and antioxidant effects of Pleurotus ostreatus in medium supplemented with Aronia berries)

  • 최성주;편하영;박태민;박윤진;오태석;조용구;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2-106
    • /
    • 2022
  • 아로니아 첨가 시 생육 일자에 따른 느타리 균사체 생장량 및 pH 양상을 확인하였다. 무처리 대비 아로니아 첨가 시 균사체 직경과 건물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pH의 경우 아로니아 처리 시 배지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로니아 10% 첨가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 균사체와 일반 배지에서 배양한 버섯 균사체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에서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는 61.81%, 무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는 49.65%로 약 12%의 라디칼 소거 활성 차이를 보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 59.83%, 무첨가 배지 내 느타리 균사체 52.66%로 나타나 7.17%의 라디칼 소거 활성 차이를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아로니아 첨가 배지 내 생육 균사체 6.54 mg GAE/g, 무첨가 배지 내 생육 균사체 5.77 mg GAE/g로 0.77 mg GAE/g의 차이를 나타냈다. 생육 배지에 아로니아를 첨가함에 따라 느타리 균사체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많아지며 ABTS, DPPH에 의한 항산화 효과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버섯의 자외선조사와 조리조건에 따른 $Vit.D_2$$Vit.B_2$ 함량의 변화 (The Changes of $Vit.D_2$ and $Vit.B_2$ Contents according to Ultraviolet rays and Cooking Methods of Mushrooms)

  • 오혜숙;윤선;박희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463-469
    • /
    • 200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ltraviolet rays, soaking, boiling and baking to ergocalciferol ($Vit.D_2$) and riboflavin($Vit.B_2$) contents of mushrooms, Lentinus edodes,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isporu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ushrooms were exposed to ultraviolet rays Lentinus edodes : $10J/cm^2$, Pleurotus ostratus : $2J/cm^2$ and Agaricus bisporus : $2J/cm^2$. 2. Before exposing to ultraviolet rays, the ergocalciferol contents of mushrooms were all $0{\mu}g/g$ dry base, but after exposing to it , those of Lentinus edodes,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isporus were $222.50{\pm}5.30{\mu}g/g$ dry base, $150.90{\pm}6.60{\mu}g/g$ dry base and $23.98{\pm}1.20{\mu}g/g$ dry base, respectively 3. Before and after exposing to ultraviolet rays, the riboflavin contents of Lentinus edoes, Pleurotus ostreatus and Agaricus bisporus were $18.22{\pm}0.71{\mu}g/g$ dry base and $11.72{\pm}0.50{\mu}g/g$ dry base, $4.57{\pm}0.20{\mu}g/g$ dery base and $3.26{\pm}0.15{\mu}g/g$ dry base, and $37.42{\pm}1.20{\mu}g/g$ dry base and $27.33{\pm}2.10{\mu}g/g$ dry base, respectively. 4. The ergocalciferol contents of mushrooms according to boiling tim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riboflavin contents of them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oiling time. 5. The ergocalciferol and riboflavin contents of mushrooms were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NaCl concentration and baking temperature. 6. The ergocalciferol content of Lentinus edodes after a short time soaking at $80^{\circ}C$ was higher than a long time soaking at $20^{\circ}C,\;40^{\circ}C$ and $60^{\circ}C$.

  • PDF

느타리버섯의 향기(香氣)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Pleurotus ostreatus)

  • 홍재식;이지열;김영회;김명곤;정기태;이극로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1-36
    • /
    • 1986
  • Pleurotus ostreatus로 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화인하고, 마쇄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 및 지방산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리된 향기 성분은 버섯 고유의 향(香)을 지니고 있었고 수율(收率)은 123 ppm이었다. 2. 분리 확인된 27종의 성분 중 비교적 많이 함유된 성분은 약 67%의 1-octen-3-ol을 포함하여 3-octanone, 3-octanol, 2-octenol 및 2, 4-decadienal이었으며 $C_8$화합물이 전체량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3. 버섯을 마쇄 후 시간 경과에 따라 n-hexanol, 3-octanol, 1-octen-3-ol 등의 alcohol 류는 증가하였으나 n-hexanal, 1-octen-3-one 등의 aldehyde 및 ketone 류는 감소하였으며 전체 지방산에 대한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버섯에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를 각각 첨가하여 마쇄했을 때 향기 성분 중에서 $C_6{\sim}C_{10}$화합물이 차지하는 비율도 증가하였는데 linolenic acid보다는 linoleic acid를 첨가했을 때 더 많이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