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 with parents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3초

키르기스스탄 영유아 성장발달을 위한 놀이도구 개발 및 사용효과 평가: 6~36개월 영유아의 상징적 기능 사고와 미세운동 발달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Play Toolkit for Supporting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in Kyrgyzstan with a Focus on the Symbolic Functioning and Fine Motor Development of Infants 6 to 36 Months Old)

  • 전효진;도소연;정소윤;진수현;신현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54-164
    • /
    • 2019
  • Purpose: The study aimed to develop a play toolkit to facilitate infants' and toddlers' symbolic thought and fine motor development. Methods: This study used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 including two phases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After reviewing the play culture and developmental health issues in Kyrgyzstan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local experts and parents, the toolkit was developed and evaluated using content validity and utilization tests. Results: The toolkit was based on Westby's symbolic play and the fine motor milestones in the Bright Futures Guidelines. The Toolkits were composed of an overall suggested play schedule according to the child's age, four kinds of play props, and a utilization guidebook for parents. The play props were a felt book, sorting and assembling blocks, cup blocks, and a tangram. The guidebook contained age-appropriate operating methods and alternative ways to use the materials. Conclusion: A play toolkit was developed to enhance nurturing practices among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The findings may help facilitate effective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Considering that nurturing care is critical for achieving better child health outcomes, enhancing parenting resources and parent-child relations could function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promoting child health.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Their Parents' Expectation and Their Multiple Intelligence Improvement)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03-311
    • /
    • 2020
  • 본 연구는 숲 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 학부모의 기대감과 유아의 다중지능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A지역 소재 어린이집 유아 학부모 15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여 실증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숲체험 놀이 활동의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학부모가 유아의 안전 활동 기대감과 미세먼지 염려에 미치는 요인에 있어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채택된 반면, 사회적 요인은 기각되었다. 둘째, 유아 숲체험 놀이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요인이 다중지능 향상의 하위 요인인 사회성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인지적 자발성은 감수성과 창의성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숲체험놀이 활동이 다중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부모의 기대감이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 3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숲체험 활동의 신체적, 인지적 요인이 유아 학부모의 미세먼지 염려와 안전활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그리고 사회성 요인은 유아의 어린이집 내 다양한 교육에서 충분히 습득될 수 있는 요인으로 숲체험 놀이 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기대감과는 다소 거리가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과 부모, 학생과 교사 관계의 매개효과: 초·중학생 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ve effect of student-parent, student-teacher relationship on the effect of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on depression: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최경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521-528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가 이를 매개하는지를 구조적으로 검증하는 것과 동시에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의 경로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에서 수집한 12세~18세의 청소년 자료 중 1,385명에 해당하는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의 다집단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초등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가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였지만, 중학생이 부모나 교사와 맺은 관계는 부정적인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나 교사는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서 초등학생이 겪는 우울에 대해서 부모나 교사는 특별한 역할을 하지 않았지만, 중학생에게는 학교폭력 피해로 인해서 우울을 더 많이 겪게 하는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와 이로 인해서 겪는 우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실제적인 역할을 제시하였다.

목재퍼즐에 대한 선호도 분석 (Survey of Preference for Wood Puzzle in Preschool children, Teacher and Parents)

  • 황성욱;성희미;이원희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03-412
    • /
    • 2010
  • Puzzles of various types were made of wood. Children aged 3 to 5 were play directly into a wooden puzzle, then, mainly in adults, the survey was conducted. Comparisons of affinity for the children, teachers, parents, survey were compared with the rating. As a result, the preferred material of the puzzle was in the timber. The type of puzzle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preferred picture puzzle. For colors, teachers and parents of the puzzle as unpainted wood was preferred. In addition, the favorite play was the difference in difficulty and number puzzles. Therefore, the preference for children and adults aware of the puzzle with a big difference has been clearly identified.

  • PDF

FGI 분석을 통한 놀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Play & Education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박혜진;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65-173
    • /
    • 2019
  • 최근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놀이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가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과 현재의 운영 현황을 토대로 놀이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놀이 전문가 및 학부모 대표 9명을 선정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다. FGI의 질문은 (1) 놀이 및 부모교육 지원 조직 설립과 공동운영, (2) 기존 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개선사항, (3) 놀이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4) 놀이교육 지원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 (5) 놀이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FGI 조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긍정적인 성장발달 도모 및 체계적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놀이교육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현장에서 놀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센터 설립과 동시에 놀이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예술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 지원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놀이교육에 대한 구체적 목표 달성 및 질적 제고를 위한 방향으로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 실태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Daily Outdoor Play Parents Recognize (Focused on Gyeonggi-do))

  • 김용숙;윤희봉;유지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61-47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K시의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의 실태를 분석하여 바깥놀이의 질적 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모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바깥놀이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 한 후 유아교육전문가 3인의 협의 하에 수정 보완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바깥놀이터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 현황에서는 부모들은 바깥놀이에 대해 필요한 시간은 1-2시간, 형태는 "숲 놀이터"이며, 이를 통해 "재미"를 느끼고,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고가는 길에 차량의 위험" 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둘째, 바깥놀이 실태에서는 집 주변에 대부분 바깥놀이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터"이었으며, 대부분 엄마와 함께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깥놀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이유는 관리의 소홀함과 호기심과 모험심을 자극할 말한 놀이 시설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 바깥놀이 보다는 집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으며, 특히 게임 또는 TV 시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의 개선점으로 영역은 "계절별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확대", 형태는 "안전을 강조한 놀이터", 공간형태는 "놀이 공간"이며,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차량 통제 및 위험물 관리"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기관 및 연구에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

Parent-adolescent Discrepancies Regarding Adolescent Psychopathology and its Relation to Parental Characteristics in a Clinical Sample

  • Yuh, Jongil;Weihs, Karen;Reiss, David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4권2호
    • /
    • pp.15-24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own perceptions of their psychopathology and perceptions by clinically depressed parents of their adolescents' psychopathology. The study also examined parental characteristics that accounted for discrepancies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The clinical sample consisted of 61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adolescents and parents evaluated the adolescents' psychopathology in separate interviews with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and the Youth Self-Report (YSR). Parents reported on current depressive symptoms and parenting practices us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ent-adolescent discrepancies were greater in regard to affective and anxiety problems compared to oppositional defiant and conduct problems. Parental rejection was associated with differences in scores for affective problems after controlling for parents' current depressive symptoms and adolescents' age and gender.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adolescents' affective and anxiety problems when treating depressed parents. Furthermore, the findings suggest that parental rejection may play a pivotal role when interpreting the discrepancy concerning adolescents' affective problems.

영유아기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스트레스 (Infant and Preschoolers Parents' Stress due to Parent-Child Relations)

  • 이자형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6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ess of parents while they were rearing their children. Method: This study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parents' stress and breeding stress with consideration of modem society, family system and parents' role. Results: I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parents feel stressed when they found it difficult to come up with an expectation to the parents' role of rearing child. Therefore, considering the health of parents and children, it is important to mediate parents who are under stress. Moreover, since parents cannot handle this problem all alone, it should be discussed and solved not only by individual but also by family, and further by social contex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early infancy is a core element to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Parents have influence on a child's development the most and play a big role. In particular, many parents these days believe that parent-child relationship is changing in a democratic way and a couple breeds their child together. However, in reality, the relationship has not been changed and is even regarded as more difficult situation than it was in the traditional society. Parents are oppressed with not being adapted to social changes and advance, and child also feels the same. Conclusion: Parents need education and support for child rearing without having any stresses. Health care provider consider this issues and to build a healthy parent-child relationship by helping parents.

  • PDF

쌓기놀이에 대한 여아들의 인식과 여아들의 선호도 증가를 위한 교사의 전략 (Kindergarten Girls' Perception of Block Play and Teacher Strategies to Increase Preference for Block Play)

  • 이경순
    • 아동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5-113
    • /
    • 2007
  • This study used qualitative methods to understand kindergarten girls' perception of block play and to devise teacher strategies for encouraging block play for girls who had not participated in block play. Results showed that girls preferred art and home-dramatic play over block play. Girls' preference not to play with blocks was based on harassment by boys and confusion about how to build with blocks and the fact that pride in block structures could not be communicated to their parents at home. Consequently, a girls-only block play area was designed with appropriate accessories along with presentation of some Polaroid pictures. Results were that girls enjoyed block play and made ingenious block structures.

  • PDF

유아의 전자 게임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Young Children′s Video and Computer Game Uses)

  • 조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91-10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ctual trends of young children's video and computer-based game uses. Four hundred and eighty parents of 4-6 year-old children were questioned about children's game uses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m and 180 of their children were interviewed.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most of children have been playing video and computer games. Boys played them more frequently than girls and the olders than the youngers. The majority of children liked video and computer games. The first reason to play games was 'interesting'. The most parents considerably tolerated to their children playing games except the arcade games. Many parents limited their children's time of playing games. They occasionally played with their children or observed them playing gam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