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Daily Outdoor Play Parents Recognize (Focused on Gyeonggi-do)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 실태 분석 (경기도를 중심으로)

  • 김용숙 (중부대학교 유아교육과) ;
  • 윤희봉 (중부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
  • 유지은 (서울한영대학교 유아특수재활학과)
  • Received : 2017.10.17
  • Accepted : 2017.11.11
  • Published : 2017.1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 of children's playgrounds in K which parents recognize as in Gyeonggi-do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qualitative environment for daily outdoor play of young Children. To do so, a survey of 269 parents living in Gyeonggi-do was conducted and reconstructed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outdoor play. Also it was evaluated and revised after consultation with 3 children education specialists. The repossessed questionaries were frequency-analyzed with SPSS 20.0 program.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outdoor playgrounds is in the following. First of all, it was analyzed that parents required 1 or 2 hours for their children to play outdoors in a type of "forest playgrounds." Moreover, they said that it was really important for the children to feel "interesting and funny" during the outdoor play,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play would be helpful for the children's socialization. However, they felt that a risk factor of the outdoor play was "a vehicle risk in streets." Secondl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were outdoor playgrounds around parents' houses, and a type of the outdoor play was "a playground installed in the apartment complex." Furthermore, most of the parents weren't satisfied with the outdoor play because the apartment neglected the management of the playgrounds, and there were no playing facilities that were good enough to derive children's curiosity and adventurous spirit. The result also showed that most of the children played outdoors with "their mothers," and they participated in indoor activities, especially playing a game or watching TV rather than outdoor activities after attending a children educational institute. Lastly, when it comes to areas of outdoor play to be improved, it was necessary to "expand playgrounds that children can use for each season," build "safe playgrounds" for a type of the outdoor play," provide "playing spaces" for a spatial type, and "control vehicles around the playgrounds and deal with dangerous thing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result can expand the understanding of outdoor play for Young Children and offer discussions about the relevant organizations and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K시의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바깥놀이의 실태를 분석하여 바깥놀이의 질적 환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부모 2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바깥놀이 관련 선행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재구성 한 후 유아교육전문가 3인의 협의 하에 수정 보완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SPSS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바깥놀이터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 현황에서는 부모들은 바깥놀이에 대해 필요한 시간은 1-2시간, 형태는 "숲 놀이터"이며, 이를 통해 "재미"를 느끼고, 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고가는 길에 차량의 위험" 으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둘째, 바깥놀이 실태에서는 집 주변에 대부분 바깥놀이는 "아파트 단지 내에 설치되어 있는 놀이터"이었으며, 대부분 엄마와 함께 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바깥놀이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였으며, 이유는 관리의 소홀함과 호기심과 모험심을 자극할 말한 놀이 시설이 없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 바깥놀이 보다는 집안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었으며, 특히 게임 또는 TV 시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의 개선점으로 영역은 "계절별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 확대", 형태는 "안전을 강조한 놀이터", 공간형태는 "놀이 공간"이며,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변 차량 통제 및 위험물 관리"를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관련기관 및 연구에 논의를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하정연, 조채영, "일본 유아교육기관의 바깥놀이 운영실제에 관한 사례연구: 자유보육기관을 중심으로," 영유아보육연구, 제8권, pp.45-67, 2002.
  2. 신동주, "유치원의 실외 놀이 활동 실태 및 교사의 실외놀이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연구, 제24권, 제6호, pp.299-325, 2004.
  3. 이명덕,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 실외놀이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 임재택, 김은주, 하정연, 권미량, 조채영, 생태유아 교육 프로그램, 서울: 공동체, 2008.
  5. 이기숙, 신동주, 엄정애, "서울시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 내 실외 어린이 놀이터 현황 및 실태분석," 교육과학연구, 제37권, 제2호, pp.159-185, 2006.
  6. 김현정, 우리나라 유아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 김선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남녀 아동의 자아 존중감과 또래 괴롭힘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8. 이영미, 유아의 일상생활, 자녀양육과 어머니 양육효능감과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9. 송민영, "부모와 자녀의 세대별 유아가 일상생활 변화에 대한 고찰," 생태유아교육연구, 제4권, 제1호, pp.23-46, 2005.
  10. 임재택, 하정연, 조채영, 선생님! 바깥놀이 해요, 서울: 양서원, 2002.
  11. 김인숙, 유치원의 실외놀이 시설 설비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2. 김정원, 최은영, 김경본, "상상놀이터 그리기를 통해 나타난 유아의 실외놀이터와 놀이시설에 대항 이미지,"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14권, 1호, pp.189-211, 2010.
  13. 권연정,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에 대한 어머니 인식 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4. J. J. Wang, 한국과 중국 부모의 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5. 이미옥, 가정어린이집 영아의 실외놀이에 대한 어머니 인식 및 요구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6. 이명희,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바깥놀이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7. 정경란, 실외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가정에서 실외놀이 실행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8. 박미혜, 어린이집 실외놀이 시설실태 및 실외놀이 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진주산업대학교, 벤처창업대학원, 2009.
  19. 차유미, 어머니들이 구성하는 바깥놀이의 의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김정연, 가정에서의 유아 실외놀이 실태 및 부모의 인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1. 정수영, 생태지향 유아교육에 기초한 바깥활동 실태 및 인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2. 배하영, 바깥놀이가 유아들에게 주는 교육적 의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23. 임재택, 생태유아교육개론, 경기: 양서원, 2005.
  24. 이경미,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5. 조성은, 만5세 유아 바깥놀이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26. 유영은, 생활주제에 따른 예술 활동 중심의 협동적 바깥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창의성,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27. 이명덕,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유아 실외놀이 운영 실태 및 교사의 인식,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김성옥,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 원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9. 이숙재, 이봉선, "실외놀이에 대한 교사의 역할 인식과 실제 행동과의 관계," 교육연구, 제34권, pp.1-23, 2000.
  30. 한보라, 누리과정에 기초한 바깥놀이 실태 조사 연구,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1. 경찰청, 통학차량 신고 현황 통계자료, 2010.
  32. 전수경, 어린이집 영아반 실외놀이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정은주, 가정보육시설에서의 실외놀이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4. 김정희, 만 3세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5. 유정선, 서울시 사립유치원의 실외놀이 실태와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6. 김희정, "유아교육기관 귀가 후 유아의 일과 실태 분석: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5권, 제3호, pp.293-311, 2010.
  37. 김진금, 실외놀이터 바닥에 따른 유아의 바깥놀이 경험에 관한 연구: 고무바닥과 모래바닥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8. 류진순,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9. J. Sutterby and J. Frost, "Creating play environments forearly childhood: Indoors and out," Handbook of research on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ew York; Routledge, pp.305-321, 2014.
  40. 이상은,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 활성화를 위한 기초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7.
  41. 강은영, 유치원의 바깥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2. 김재숙, 임미혜, 김선희, 김혜경, 배선미, 유아교사를 위한 실외놀이, Guide Book, 서울: 정민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