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 film house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7초

Red Pepper Productivity and Soil Properties as Affected by Different Intervals of Side-dressing N and K Applications in Plastic Film House

  • Ahn, Byung-Koo;Im, Ga-Young;Kim, Kab-Cheol;Chon, Hyong-Gwon;Jeong, Seong-Soo;Lee, Ji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7-154
    • /
    • 2014
  • Consecutive pepper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s may lead to salt accumulation because pepper is considered a heavy nutrient feeder. For this reason, appropriate methods of fertilizer appl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hu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intervals of side-dressing N and K fertilizer applications on soil and red pepper in a plastic film house. All the amounts of recommended compost and phosphorus fertilizer were applied as basal dressing. Cultivars of the pepper plant were Cheon-Ha-Dae-Se (CHDS) and NW-BiGaLim (NW-BGL). Nitrogen and potassium fertilizers were treated as side-dressing at different intervals, 22 times in every 10 days, 15 times in every 15 days, and 11 times in every 20 days. Soil pH decreased with decreasing the intervals of side-dressing applications, whereas electrical conductivity (EC) declined with the increasing fertilizer application intervals. In particular, EC value decreased by up to 75% with CHDS cultivar in the plot of 20 day-interval and with NW-BGL cultivar in the plot of 15 day-interval. The concentrations of available phosphorus in the soil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terval. The concentration of exchangeable $K^+$ increased but exchangeable $Ca^{2+}$ and $Mg^{2+}$ decreased in all the plots, except in the control plot.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leaves of the pepper plants were lowest in the control plot. Potassium concentrations in the pepper leaves were high in the control plot and in the plots of CHDS with 10 day-interval and NW-BGL with 15 day-interval. Red pepper productivity was high in the plots of 10- and 15 day-intervals for CHDS cultivar and 15- and 20 day-intervals for NW-BGL cultivar. Therefore, the 15 day-interval of side-dressing N and K applications wa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method for cultivating pepper plants and protecting soil in plastic film houses.

플라스틱필름 하우스 수박 재배에서 육묘 포트 종류 및 정식 방법이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ind of Pot for Raising of Seedling and Planting Method on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Cultivation of Watermelon under Plastic Film House)

  • 배종향;이상욱;최준혁;강남희;김호철;은종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2-87
    • /
    • 2010
  • 본 연구는 플라스틱하우스 수박 재배 시 육묘 포트종류와 그 정식 방법이 정식 후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잎의 수, 면적 및 광합성률, 초장, 생체중량 모두 정식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관행포트 묘에 비해 이중플라스틱포트 묘에서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과의 과고, 과폭 및 과중도 이중플라스틱포트 묘에서 다른 포트 묘에 비해 다소 큰 경향이었다. 과피두께는 사각형피트포트 묘에서 가장 얇았고 관행포트 묘에서 가장 두꺼웠으며, 배꼽 직경은 과피두께 결과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중플라스틱포트 묘의 정식 깊이에 따른 초기 생육은 포트 높이의 2/3 정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시설 상추에 대한 Rhodobacter sp. SA16 처리 효과 (Effects of Rhodobacter sp. SA16 on Lettuce(Lactuca sativa L.) in Plastic Film House)

  • 이영한;정한택;윤한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3-170
    • /
    • 2008
  • 유기물이 많고 작물생육이 양호한 시설 및 논토양에서 우점하는 광합성 세균을 분리하여 대두박 등의 유기물질과 혼합하여 혼합유기질 비료를 개발하였고 상추에 대한 시용효과를 검토하였다. 광합성 세균은 시설 및 논토양에서 형태적으로 가장 분포도가 많은 균주를 선정하고 이를 SA16 균주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폭 $0.5{\sim}1.2{\mu}m$, 길이 $2{\sim}2.5{\mu}m$의 간균 혹은 구균에 가까운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16S rDNA 분석으로 1.3 kb DNA 단편을 얻어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Rhodobacter sp.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기준으로 토양 검정시비 처리구와 동량인 혼합유기질비료 0.90 Mg $ha^{-1}$ 처리구는 대조구 보다 주당 엽수는 2장 정도 많았고 뿌리길이도 2 cm 정도 길었다. 혼합유기질 비료 시용량별 수확량은 $0.90{\geqq}0.45>1.35Mg\;ha^{-1}$ 순으로 많았으며 5% 수준에서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최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는 적정 시용량을 2차 회귀곡선($y=-0.0008x^2+0.1174x+21.332,\;R^2=0.9951$)으로 구한 결과 0.72 Mg $ha^{-1}$로 나타났다. 수확 후 토양 공극율은 혼합유기질 비료1.35 Mg $ha^{-1}$ 처리구가 58.8%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유기질 비료 처리에 따른 토양중 호기성세균의 분포는 혼합유기질 비료 0.90 및 1.35 Mg $ha^{-1}$ 처리구가 12.4, 및 $12.8{\times}10^6CFU\;g^{-1}$로 가장 높았다.

시설가지 연작재배토양 이화학성이 생리장해과 발생에 미치는 영향 (Properities of Plastic film house soils and Physiological Disorder of Eggplant)

  • 엄미정;한수곤;김갑철;문영훈;최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92-198
    • /
    • 2001
  • 본 연구는 시설가지 재배토망의 화학성과 미생물상의 변화 및 생리장해과 발생정도를 12개 농가포장에서 조사하여 토양이화학성이 가지의 생리장해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설작물의 안전생산과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재배토양은 시설재배년수가 많을수록, 또 깊이가 표층에 가까울수록 양분집적의 경향이 컸고, B/F비와 A/F비는 가지 재배년수가 많을수록 낮았으며, 토양 EC와 사상균, 인산과 방선균 간에는 고도의 정의상관을 보였다. 열과와 석과는 토양수분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농가에서, 비대불량과는 재배년수가 많아 염농도가 높은 농가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또한 토양 EC는 비대불량과와 이를 포함한 생리장해과 발생률과 유의성을 보였으며 각각 Y=0.210X+0.578, Y=0.769X+7.097의 관계가 있었으며 토양 (Ca+Mg)/K는 생리장해과 발생율과는 Y=-1.333Ln(X)+12.26의 관계를 보였다.

  • PDF

Strobilurin계 살균제의 시설재배 참외 중 잔류 양상 (Residual Patterns of Strobilurin Fungicides in Korean Melon under Plastic Film House Condition)

  • 박은정;이주희;김태화;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1-288
    • /
    • 2009
  • Azoxystrobin과 kresoxim-methyl의 참외 중 반감기와 잔류양상을 조사하였다. Azoxystrobin의 참외 중 0일차 잔류량은 기준량 및 배량 처리구에서 각각 0.09 및 0.14 mg/kg으로 나타났으며 농약의 반감기 소실곡선식은 y=0.0766e$^{-0.138x}$ ($r^2$=0.9424) 및 y=0.1143e$^{-0.0890x}$ ($r^2$=0.9310) 이었으며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5.0일 및 7.8일 이었다. Kresoxim-methyl의 참외 중 0일차 잔류량은 기준량 및 배량 처리구에서 각각 0.10 및 0.23 mg/kg으로 나타났으며 농약의 소실곡선식은 y=0.0896e$^{-0.1672x}$ ($r^2$=0.9428) 및 y=0.1504e$^{-0.1446x}$ ($r^2$=0.9040) 이었고 생물학적인 반감기는 각각 4.1일 및 4.8일 이었다. 재배기간 중 참외의 무게증가에 농약희석효과를 배제한 절대잔류농도는 약제 살포 후 14일 경과시 azoxystrobin은 기준량 및 배량에서 0.01 및 0.05 mg/kg으로서 각각 83.6 및 67%의 농약이 분해되었다. Kresoxim-methyl은 각각 0.01 및 0.03 mg/kg 으로서 86.2 및 87.8% 정도의 농약 분해율을 보였다.

전남지역 시설재배 토양환경 실태조사 (Soil Environmental Investigation of Plastic Film House in Chonnam Area)

  • 김희권;박인진;김정근;김상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46
    • /
    • 2000
  • 시설재배 토양의 화학성, 미생물상 및 경종방법을 조사분석하여 시비관리 개선 및 연작장해의 사전 방지책 마련을 위한 자료를 얻고자 고추, 오이, 참외 재배지 60농가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추, 오이, 참외 재배농가의 시비량은 표준보다 인산은 2~2.5배, 칼리 2배였으며, 퇴비는 오이재배 농가에서 3배정도 많이 시용한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토양중 무기성분 함량이 대부분 적정치 이상이라 할지라도 고추, 오이, 참외 토양의 염기포화도가 40:18:12, 55:16:14, 40:27:11로 적정치의 60:15:5에 미치지 못하였을 뿐만아니라 양분 불균형으로 작물의 흡수 장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 되었다. 시설 하우스 토양의 미생물 B/F 값은 고추 91.2, 오이 80.4, 참외 18.8로 연작 년수가 긴 것으로 조사된 참외 재배토양의 미생물상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 pH가 증가할수록 곰팡이와 Fusarium의 밀도는 감소 하고 방선균은 증가 하였으며, 토양 유기물 함양이 증가 할수록 모든 미생물의 밀도가 증가 하였으며 세균은 유의성이 안정 되었다. 세균, 곰팡이, 및 Fusarium의 밀도는 EC가 증과 할수록 감소 하였다. 따라서 시설하우스 재배시는 토양분석후 시비처방에 의해 인산과 칼리를 감비하고 염기포화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비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비료와 퇴구비를 처리한 토양과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토양의 EC에 따른 pH변화 (pH Dependence on EC in Soils Amended with Fertilizer and Organic Materials and in Soil of Plastic Film House)

  • 김유학;김명숙;곽한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47-252
    • /
    • 2005
  • 토양 pH는 토양화학반응의 결과로 토양용액으로 해리하는 수소이온을 나타내는 intensity factor이고 토양의 알루미늄에 의하여 수소이온이 완충되고 있다. 토양 양이온에 의하여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기능이 저하되면 토양 pH 양상이 달라지므로 토양 EC에 따른 토양 pH 양상은 토양의 pH 완충력 등 토양관리를 위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토양에 투입되는 양분에 의하여 토양 pH가 달라지는 현상을 구명하고 시설재배지 토양의 EC에 따른 토양 pH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양토에는 가축분과 퇴비 및 비료를 넣고 시설재배지 토양은 무처리 상태로 $30^{\circ}C$에서 5, 10, 20, 40일간 호기항온 후 토양과 토양용액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축분을 첨가한 사양토의 pH 양상은 토양에 첨가된 양이온 함량에 비례하여 pH가 올라갔으며 양분이 축적된 시설토양의 pH 양상은 양분함량이 많을수록 pH가 낮아졌다. 따라서 토양 EC가 높아질 때 토양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력이 높은 상태에서는 토양의 pH는 양이온의 양에 비례하여 올라가지만 토양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토양의 음이온의 양에 비례하여 pH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재배 부추 잎끝마름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특성 (Relationship Between Soil Properties and Tip Burn of Chinese Chive Cultivated in Plastic Film House)

  • 서영진;최영섭;박준홍;권태영;최성용;김찬용;김종수;박소득;박만;전상호;장용선;하상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80-386
    • /
    • 2011
  • 시설재배 부추의 잎끝마름증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기 위하여 포항지역 부추 재배지 토양 132 개소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고 통계적 방법으로 관련인자를 조사한 결과, pH는 7.0, 유기물함량 $41g\;kg^{-1}$로 적정 범위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며 점토함량이 많은 식질토양인 Alfisols에서 pH, 치환성 양이온, 전기전도도, 질산태 질소함량이 높았고 잎끝마름증 발생비율이 높았으며 pH와 치환성 칼슘함량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pH가 높고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이 높을수록 암모니아 가스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질산태질소와 토양유기물은 암모니아 가스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토양의 pH 변화에 따라 질산태질소의 암모니아태 질소로 환원 및 유기태질소의 무기화에 따른 암모니아태 질소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추의 잎끝마름증은 토양 pH 변화에 따른 무기태질소의 환원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생성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종 분석을 이용한 시설재배지 토양 구리와 아연의 집적, 이동성 및 유효성 평가 (Accumulation, Mobility, and Availability of Copper and Zinc in Plastic Film House Soils Using Speciation Analysis)

  • 김록영;성좌경;이주영;이예진;정석재;이종식;장병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37-944
    • /
    • 2010
  • Cu and Zn can be accumulated in plastic film house soils by long-term application of livestock manure or compost. The mo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Cu and Zn accumulated in soils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ir chemical or geochemical species in soils. In order to assess the accumulation, mo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Cu and Zn in plastic film house soils, we determined their geochemical species using a sequential extraction, grouped into three pods: the total pool, the potentially mobil pool, and the mobil pool. Total contents of Cu and Zn, ranged from 14.9 to 53.1 mg $kg^{-1}$ for Cu and from 55.4 to 169 mg $kg^{-1}$ for Zn, lied by far below the soil contamination standards, but exhibited little accumulation compared with their geogenic concentrations. Mobile contents of Cu and Zn and their percentage of total contents were strongly affected by soil pH in addition to total contents and soil organic matter. Mobile contents of Cu, ranged from <0.01 to 1.71 mg $kg^{-1}$, showed their minimum between pH 5.0 and 6.0 and increased above pH 6.0 to 8.0. In contrast, mobile contents of Zn, varied from <0.01 to 12.4 mg $kg^{-1}$, showed their minimum above pH 7.0 and increased strongly with decreasing pH below 5.5~6.0. Potentially mobile and total contents of Cu and Zn rose with ascending soil organic matter. To assess ecological and toxic effects of Cu and Zn in soils, mobile and potentially mobile contents, as bioavailable and potentially bioavailable pools, should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total contents.

Effect of LED Irradiation on Growth Characteristids of Ginseng Cultivated in Plastic Film House

  • Seo, Sang Young;Cho, Jong hyeon;Kim, Chang Su;Kim, Hyo Jin;Kim, Dong Won;An, Min Sil;Yoon, Du Hye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45
    • /
    • 201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artificial clay and LED in the plastic film house (irradiation time: 08:00~18:00/day). Seedlings (n = 63 per $3.3m^2$) of ginseng was planted on May 17, 2018. LED was combined with red and blue light in a 3:1 ratio and irradiated with different light intensity. The average air temperature from April to September was $12.3^{\circ}C$ $-26.0^{\circ}C$ and it was the the highest at $26.0^{\circ}C$ in August. The test area where fluorescent lamp was irradiated tended to be somewhat higher than the LED irradiation area.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 soil are as follows. pH levels was 5.3~5.5, EC levels 0.45~0.52 dS/m and OM levels 33~37%.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0.35~0.47% and the available $P_2O_5$ contents was 13.7~16.0 mg/kg, which was lower than the suitable level of 70~200 mg/kg. Exchangeable cations K and Mg contents were within acceptable ranges, but the Ca contents was $28{\sim}38cmol^+/kg$ levels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2{\sim}6cmol^+/kg$). Germination of ginseng leaves took 8~9 days and the overall germination rate was 70~75%. The photometric characteristics of LED light intensity are as follows. The greater the light intensity, the higher the PAR (Photosynthetic Action Radiation) value, illuminance and solar irradiation. Photosynthetic rate was also increased with higher light intensity was investigated at $1.7{\sim}3.2{\mu}mol\;CO_2/m^2/s$. Leaf temperature ($23.7{\sim}24.8^{\circ}C$) by light intensity was the same trend. The growth of aerial parts (plant height etc.) were generally excellent when irradiated with 3 times the light intensity, the growth of the ginseng aerial parts were excellent as follows. The plant height was 42.6 cm, stem length was 25.2 cm, leaf length was 9.6 cm and stem diameter was 5.0 mm. The growth of underground part (root length etc.) was the same, and the root length was 24.4 cm, the tap root length was 6.0 cm, diameter of taproot was 18.2 mm and the fresh root weight was 17.2 g. There were no disease incidence such as Alternaria blight, Gray mold and Anthracnose. Disease of Damping off occurred 2.2~3.6% and incidence ratio of rusty root ginseng was 14.6~20.7%. Leaf discoloration rate was 13.7~48.9%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by light intensity is under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