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tic film house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34초

배추 밑동썩음병 발생과 방제 (Incidence and Control of Bottom Rot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Kuhn)

  • 강수웅;김희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93-198
    • /
    • 1986
  • 우리나라의 미기록 병인 Rhizoctonia solani Kuhn에 의한 배추 밑동썩음병(Bottom rot)에 대한 남부지방파로재배 시의 발병소장과 방제방법을 검토하였다. 본 병의 발병은 정식 20여일 경과후, 배추의 생육중기부터 발병되기 시작하여 결구기에 증가하는 경향이고, 수확기의 발병주율은 평균 $52\%$ 정도였다. 그 피해는 추파로지재배보다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반촉성재배에서 심하였고, 초기에 심엽까지 감염된 이병주는 위축되어 생육이 극히 불량하여 결구가 되지 않았다. 병주에서 분리한 R. solani의 PDA배지상에서 균사 생육적온은 $20\~25^{\circ}C$였고, 균사융합군은 제II군 제1형으로 분류되었다. 배추, 무, 참깨 및 유채의 유묘에 접종했을 때 입고율이 매우 높았고 상치, 토마토, 오이에서는 입고율은 낮았으나 발아가 $2\~3$일 지연되었다. 방제약제는 발병초기부터 pencycron Wp.를 10일간 3회 처리한 것이 방제가가 $80\%$로 우수하였다.

  • PDF

천연 Zeolite를 이용한 시설재배지 토양의 염류제거 효과 (Salts Reduction Effect of Natural Zeolite in Plastic Film House Soil)

  • 위치도;리준시;김홍림;손보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52-557
    • /
    • 2010
  • 본 연구는 천연 zeolite 처리가 시설하우스 토양의 염류집적 경감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토양의 EC수준은 5.0 dS $m^{-1}$이었으며, 제올라이트 처리는 7수준 (0.5, 1, 2, 5, 10, 15, 20%)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제올라이트 처리에 따른 토양 EC 하락은 혼합수준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특히, 제올라이트가 20%를 혼합된 토양의 처리 10일 후 EC수준은 5.01 dS $m^{-1}$에서 2.8dS $m^{-1}$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되었다. 토양 pH에 대한 제올라이트 효과는 미미한 수준에서 혼합비율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수용성 칼슘과 마그네슘 그리고 유효인산 농도는 크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관수제염과 그 밖에 방법 등을 통하여 제염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치환성 양이온과 인산의 효과적인 제염제로서 천연 zeolite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농업형태가 다른 한강 상하류 소유역의 하천수 및 농업용 지하수 수질 (Water Quality of Streams and Agricultural Wells Related to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in Small Catchments of the Han River Basin)

  • 정영상;양재의;주영규;이주영;박용성;최문헌;최승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9-205
    • /
    • 1997
  • 한강 상류와 하류의 농업 형태가 유역의 토양 및 수질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농업 형태가 다른 대표 소유역을 선정하여 소유역 하천수와 지하수질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지는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주천강 지류의 일반 농업지대, 평창군 대관령일대의 대규모 축산 단지와 고랭지 농업지대, 춘천시 소양강 지류 농업 지대일원, 그리고 경기도 구리시 왕숙천 일대의 도시 근교 농업지대이었다. 조사결과 중금속은 특정한 시기의 왕숙천을 제외하고 불검출 또는 미량으로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질소와 인, 특히 질산태 질소의 오염은 하천수와 지하수 일부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소유역의 하천수 수질중 pH, EC, COD등은 농업 용수로 적합한 수준이었으나, 시설 원예 지대에서 관개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일부 지하수 중 질산태 질소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작물을 재배할 때 물관리와 시비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하는 수준이었다. 작물 재배를 위해 농업용수를 사용할 때에는 EC와 질산태 질소의 농도 수준을 동시에 고려하여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호밀이 투입된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수량과 토양용액의 질산태질소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Cucumber Yield and Nitrate Concentration in Plastic Film House with Ryegrass Application)

  • 이창훈;임태준;강성수;김명숙;김유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43-948
    • /
    • 2012
  •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질소 시비량 절감에 대한 호밀 환원 효과와 수량과 토양용액 중 질산태질소와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시험 처리구는 토양검정시비구 (NPK), 호밀을 $42.3Mg\;ha^{-1}$ 환원하여 질소비료 199 kg N $ha^{-1}$의 0, 50, 75, 100%의 4 수준으로 시비하여 시설재배지에서 오이 수량과 토양용액의 질산태질소 농도를 조사하였다. NPK의 오이수량은 $68.8Mg\;ha^{-1}$이었고, 호밀의 투입은 토양검정 질소시비량의 25-50%를 절감할 수 있었다. 오이재배 기간 중 NPK 토양용액의 평균 $NO_3$-N 농도는 $32.4mg\;L^{-1}$ 이었고, 호밀처리구의 0, 50, 75, 100%에서는 각각 26.0, 30.1, 41.4, $58.5mg\;L^{-1}$으로 질소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다. 이때 시설재배 오이수량과 토양용액 중 평균 $NO_3$-N 농도와의 수식 ($Y=49.3+0.63X-0.0034X^2$, $R^2=0.778^{**}$)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오이 재배 중 토양용액 분석으로 질소 웃거름 시비량 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오이수량과 토양용액 $NO_3$-N 농도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염류집적 시설재배온실 토양에서의 Cleaning crop인 옥수수 생리적 특성과 제염효과 (The Desalinization Effects by Corn as a Cleaning Crop and It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in Salt Accumulated Soil of the Plastic Film House Cultivation)

  • 윤병성;김성무;조동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9-189
    • /
    • 2006
  • 재식거리에 따른 옥수수의 광합성율의 차이를 보면, 이식 후 23일째(5월 31일)에 재식거리 $40{\times}40cm$에서 제일 낮게 나타났으나, 시일이 지나면서 식물체의 내염성 증가로 광합성율이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식물체의 생육특성의 차이를 보면, 이식 후 23일째(5월 31일)에 염류의 영향으로 재식거리 $40{\times}40cm$에서 생육저해가 나타났지만, 시일이 지나면서 왕성한 생장을 보였다. 식물체내의 염분함량의 차이를 보면, 대체로 재식거리 $40{\times}40cm$에서 다른 재식거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염류흡수 차이를 보면 $K^{+}$ 함량이 다른 염류함량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옥수수의 재배에 따른 토양의 제염효과를 보면, 재식거리 $30{\times}30cm$에서 $K^{+}$는 28%, $Ca^{2+}$는 36.6%, $Mg^{2+}$는 30.6%, $Na^{+}$는 22.9%로 이식 후 37일째(6월 14일)에서 이식 후 23일째(5월 31)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표토의 염류함량이 심토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수박 시설 재배에서 정식 전 심경로타리 처리가 토양 이화학성, 생육 및 과실 특성에 미쳐는 영향 (Effects of Deep Tillage before Plant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Cultivation of Watermelon under Plastic Film House)

  • 은종선;한석교;강남희;김호철;배종향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30-134
    • /
    • 2010
  • 본 연구는 전북 고창의 수박 시설 농기에서 '우리꿀'을 대상으로 토양의 이화학성, 생육 및 과실품질에 대한 정식 전 심경로타리 처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정식 전에 비해 재배 및 수확 후 토양 pH 변화는 거의 없었으나 토양 EC는 크게 떨어졌다. 유기물 및 유효인산 함량은 두 처리 모두에서 증가하였는데, 유효인산의 누적 함량이 심경로타리 처리구에서 적었다. 치환성 양이온도 Mg을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한 경향이었는데 심경로타리 처리구에서 K의 감소가 뚜렷하였다. 수박의 정식 후 27일째 생육 특성 중 일반로타리 처리구에 비해 심경로타리 처리구에서 초장, 10절까지의 줄기 길이, 엽폭에서 유의하게 길었고, 1번 및 2번화의착과 절위가 낮았다. 그리고 육안 관찰 시 식물체 위조 증상 정도이 적었다. 수확기에는 일반로타리 처리구에 비해 심경로타리 처리구에서 30절까지의 줄기 길이가 유의하게 길었고, 육안 관찰 시 잎의 황변 현상이 적었다. 수확된 과실의 길이, 직경, 과피경도, 그리고 무게는 심경로타리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시설재배지에서 화학비료와 돈분 퇴비시용에 따른 토양의 화학성 및 생물상 변화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d Fauna of Plastic Film House Soil by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Composted Pig Manure)

  • 곽한강;성기석;이남종;이상범;한민수;노기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04-310
    • /
    • 2003
  • 채소를 연속 재배하는 시설재배지에서 화학비료와 돈분퇴비시용이 토양의 화학성과 생물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양분공급량별 토양 화학성 및 생물상변화와 토양효소활성 등의 변동에 대한 연구결과 작기별 수량은 1-2작 상추재배의 경우 표준시비구나 농가 관행시비구에 비하여 토양검정시비구에서 증가하였으며, 3작 시금치 재배에서는 질소비료와 돈분퇴비 시용량이 많은 농가 관행시비구에서 오히려 감수되었다. 토양 미소동물상은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연 3작까지 표준시비나 토양검정에 의한 화학비료와 돈분퇴비를 시용할 경우 dehydrogenase는 $32-47{\mu}g\;TFP\;g\;soil^{-1}\;d^{-1}$, phosphatase는 $60-63{\mu}g\;TFP\;g\;soil^{-1}\;d^{-1}$이었으나, 농가 관행수준의 화학비료와 돈분퇴비가 시용된 처리구의 dehydrogenase와 phosphatase 활성은 각각 63, $89{\mu}g\;TFP\;g\;soil^{-1}\;d^{-1}$ 으로 표준시비구나 토양검정구에 비해 증가되었다. 또한, 연 3작 기간동안 $76Mg\;ha^{-1}$의 돈분퇴비가 시용된 농가관행구의 토양유기물 함량과 토양유효인산 함량의 증가는 각각 50, 23%이었다. 따라서 시설재배지에서 가축분퇴비를 시용하면서 연중 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건전한 토양환경의 유지를 위해 토양검정결과를 토대로 하여 가축분퇴비 중의 양분을 고려하면서 시용할 필요성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가림하우스 동계 녹비작물의 경운과 무경운이 고추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and No-tillage of Winter Green Manure Crops on Yield of Red Pepper in Plastic Film House)

  • 원종건;장길수;황지은;권오훈;권태영;조정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18-23
    • /
    • 2012
  • 본시험은 고추 연작으로 인해 염류가 집적되고 병충해가 빈번히 발생되는 고추 비가림하우스내 동계 녹비작물이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 친환경 고추재배 비가림하우스에서 우리나라에서 겨울철에 월동 가능한 자생콩과 녹비작물을 중심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섯가지 녹비작물인 재배완두, 새완두, 살갈퀴,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가을에 파종하여 이듬해 봄에 녹비작물을 경운과 무경운 상태에서 고추를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계 녹비작물의 경운 유무에 따른 건물량은 경운에서 ha 당 8.3 ton이었고, 무경운재배에서는 7.0 ton이었다. 녹비작물별 건물량은 경운 무경운 동일하게 호밀에서 16.6, 14.6 ton으로 가장 많았고, 콩과 녹비작물에서는 살갈퀴가 6.6, 5.7 ton으로 양호하였다. 식물체내 질소 함유량은 살갈퀴와 새완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ha당 질소 공급량은 경운에서 살갈퀴가 226 kg, 호밀이 251 kg이었으며, 무경운재배시 살갈퀴는 197, 호밀은 222 kg이었다. 녹비작물의 경운과 무경운재배에 따른 고추 수량에서 주당 수확과수는 경운재배에서 55.5개로 무경운의 37개보다 18.5개가 더 많아 수량은 7.5 ton으로 무경운에 비해 약 67% 증수되었다. 경운과 무경운에서 공히 녹비작물별 고추의 수량은 질소질 비교의 공급량이 많았던 살갈퀴에서 현저히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엽과비 조절이 무가온 하우스 하례조생 감귤의 비대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ulation of Leaf to Fruit Ratio on the Fruit Growth and Quality of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in Non-Heated Plastic Film House)

  • 강석범;좌재호;문영일;이혜진;한승갑;박경진;김상숙;최영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7-212
    • /
    • 2018
  • BACKGROUND: Recently, the need for a method to cultivate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has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as this is a new Satsuma mandarin cultivar, which was bred by the RDA in 2004. Many farmers who cultivate this cultivar follow the cultivation method similar to that used for 'Miyagawa' Satsuma mandarin, and suffer low production of optimum-sized fruits.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um ratio of leaf-to-fruit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high quality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fruits in a non-heated plastic film house. Seven-year-old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trees were used in the study. Before the treatment, the leaf-to-fruit ratio ranged from 5.7 to 17.9. The treatments included 10, 20, 30, and 40 leaves per fruit. The fruits were removed if over fruiting was observed at day 60 after full bloom. We investigated the fruit size and quality on the day of harvest. Flowering and fruiting patterns in each treatment were recorded for the following year. In the experiments, the flower-to-leaf ratio was 1.12 to 1.74. As the leaf-to-fruit ratio decreased, the fruit size and weight also decreased. Contrarily, the higher the ratio of leaf-to-fruit, the higher fruit size and weight were. It was noted that the ratio of 20:1 was ideal to produce the M grade optimum-sized Satsuma mandarin fruits on the day of harvest. However, higher ratio might result in fruits weighting above 100 g.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treatments in terms of fruit quality, such as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titratable acid, and color. In the subsequent years, flowering and fruiting in the treatments were lowered when the leaf number per fruit was 10, but they were improved when the leaf number per fruit was above 20.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optimum ratio of leaf-to-fruit was found to be 20:1 for flowering and fruiting of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It is important that optimum ratio of leaf-to-fruit is set as a standard to produce good grade and quality of 'Haryejosaeng' Satsuma mandarin fruits.

Vinyl House 내의 환경조건과 인체적응에 관한 실험연구 (A Study on Experiment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Adaptation of the Human Body in the Vinyl House)

  • 심부자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1호
    • /
    • pp.59-73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eriment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adaption of the human body in the vinyl house. The study was done in spring and winter and experimental clothes were used working clothes in the vinyl hou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spring season, the indoor air temperature was $27.4{\pm}3.7^{\circ}C$ and the outdoor air temperature was $14.4{\pm}2.7^{\circ}C$. In the winter season, the indoor air temperature was $18.3{\pm}4.8^{\circ}C$ and the outdoor air temperature was $7.6{\pm}2.5^{\circ}C$ on the average. 2. Skin Temperature In the spring season, the mean skin temperatures indoor and outdoor were $33.81{\pm}0.7^{\circ}C\;and\;31.57{\pm}0.8^{\circ}C$ respectively, a difference of $2.24^{\circ}C$. In the winter season, they were $31.95{\pm}1.93^{\circ}C\;and\;29.86{\pm}0.55^{\circ}C$ respectively, a difference of $2.09^{\circ}C$. 3. Clothing Climate In the spring seas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inner layer of clothing were $34.77{\pm}0.80^{\circ}C\;and\;70.75{\pm}1.65%$ indoor, $31.9{\pm}0.52^{\circ}C\;and\;51.9{\pm}3.70%$ outdoor respectively. In the winter season, those were $32.52{\pm}1.04^{\circ}C\;and\;64.65{\pm}3.68%$ indoor, $30.27{\pm}0.96^{\circ}C\;and\;45.07{\pm}2.68%$ outdoor respectively. 4. Physiological Factors Body temperature increased slightly and the pulse rate also rises, but blood pressure decreased a little with the rise of environmental temperature both in the spring and winter seasons. 5. Psychological Factors Thermal sensation in the spring season was expressed as 'slightly warm' or 'warm' indoor and as 'neutral' in the open air, while in the winter it was expressed as 'neutral' or 'slightly warm' outdoor the house and as 'cold' in the open air. Comfort sensation was characterized as 'uncomfortable' or 'slightly uncomfortable' indoor both in the spring and winter seasons, but in the open air it was characterized as 'comfortable' in the spring and as 'slightly uncomfortable' in the wint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