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er Quality of Streams and Agricultural Wells Related to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in Small Catchments of the Han River Basin

농업형태가 다른 한강 상하류 소유역의 하천수 및 농업용 지하수 수질

  • 정영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양재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주영규 (연세대학교 문리과대학 생물자원공학과) ;
  • 이주영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박용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최문헌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자원생물환경학부) ;
  • 최승출 (강원도 농촌진흥원)
  • Published : 1997.06.30

Abstract

Water quality of streams and ground water from areas of different agricultural practices in the small catchments of the Han River basin was investigate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upper,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Basin where three types of agricultural management have been practiced : (1) highland agriculture and livestocks in Daegwanryung area, (2) typical upland and paddy farmings in Dunnae (Jucheon River) and Chuncheon (Soyang River) areas, and (3) intensive farming in the plastic film house in Guri area (Wangsuk stream). Water quality was monitored for EC, pH, COD, TSS, N, rations and anions. Concentrations of N, especially nitrate, and phosphorus in both stream and ground water exceeded the standard water quality criteria in many cases, but those of heavy metals were non-detectable or trace in most cases, except for Wangsuk stream where a high level was detected in a specific sampling time. Chemical criteria such as pH, EC and COD of the stream were suitable for irrigation purpose, but nitrate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used in the intensive plastic film house were high enough to require a special management consideration. A model on the irrigation water quality incorporating EC and nitrate concentrations was suggested in view of fertilizer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quality.

한강 상류와 하류의 농업 형태가 유역의 토양 및 수질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농업 형태가 다른 대표 소유역을 선정하여 소유역 하천수와 지하수질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지는 강원도 횡성군 둔내면 주천강 지류의 일반 농업지대, 평창군 대관령일대의 대규모 축산 단지와 고랭지 농업지대, 춘천시 소양강 지류 농업 지대일원, 그리고 경기도 구리시 왕숙천 일대의 도시 근교 농업지대이었다. 조사결과 중금속은 특정한 시기의 왕숙천을 제외하고 불검출 또는 미량으로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질소와 인, 특히 질산태 질소의 오염은 하천수와 지하수 일부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소유역의 하천수 수질중 pH, EC, COD등은 농업 용수로 적합한 수준이었으나, 시설 원예 지대에서 관개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일부 지하수 중 질산태 질소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작물을 재배할 때 물관리와 시비 관리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하는 수준이었다. 작물 재배를 위해 농업용수를 사용할 때에는 EC와 질산태 질소의 농도 수준을 동시에 고려하여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