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 for library development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6초

지식경영 관점에서 본 기록관리와 지식경영의 연관 관계 - 지식의 정의와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ecord and Information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Management : Focused on the Definition and Management Process)

  • 노정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24
    • /
    • 2005
  •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 지적 자산, 디지털 지식자산관리 등 지시에 관한 개념은 오늘날 많은 조직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만 보더라도 '지식정보화 강국'을 표방하면서 지식경영과 기록관리를 주요시책으로 채택하고 있어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이에 대한 이론적 기반과 Best Practice에 관한 연구가 시급하다. 그러나 지식경영을 비롯 지식에 관한 종래의 많은 연구는 경영학 분야에서 주되게 연구되었거나 문헌정보학 내에서도 지식에 관한 통합적 연구 기반은 매우 부족한 형편이어서 정보통신발달(ICTs)에 따른 지식 및 관련 시스템 간의 관련성. 협업 가능성에 관한 논의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히 지식경영과 기록관리를 중심으로 지식의 범주, 관리방법 등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지식에 관한 통합관리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특히 향후 지식경영 렌 기록관리체제를 도입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에 이론적 논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지역사회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 경기도 양평군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Revitalizing Public Libraries Reflect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Yangpyeong-gun)

  • 전경선;신동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03-423
    • /
    • 2022
  • 본 연구는 양평군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공공도서관의 운영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양평군 지역특성 및 공공도서관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양평군민(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도서관의 운영 현황 및 한계점, 도서관 활성화 방안에 대한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위하여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양평군은 도서관 접근성 취약, 인력 및 장서 부족,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프로그램, 도서관 공간 부족 및 건물의 노후화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 개선을 위한 지역중심의 생활밀착형 도서관, 인력 및 장서 확충, 지역사회 변화를 반영한 프로그램 개발, 신규 도서관 건립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제공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도서관의 장서폐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eeding in Academic Library Collection)

  • 김미혜;리상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9-278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장서폐기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외 대학도서관의 장서폐기지침과 장서폐기사례를 살펴보고, 장서폐기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국내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서폐기 운영현황과 지침현황을 알아본 후에 이들 내용을 토대로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학도서관 장서폐기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공공도서관 전자정보실의 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rketing Strategy for Facilitating Electronic Information Services in the Public Library)

  • 오경묵;노영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1-276
    • /
    • 2003
  • 시민의 정보화 수준 향상을 위해 현재 서울특별시립의 공공도서관에서는 디지털 자료실을 개실하여 인터넷과 DVD 위성방송 등 다양한 전자정보원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컨텐츠들로 서비스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립 공공도서관 디지털 자료실의 활성화를 위해, S 도서관 전자정보실을 대상으로 마케팅 전략을 적용하여 디지털 자료실의 운영을 보다 체계화하여 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하며, 궁극적으로 보다 많은 이용자를 확보하여, 이용률을 높이고 공공도서관의 정보서비스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매뉴얼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nual for 'Reading Classroom' Program in Public Libraries)

  • 황금숙;김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33-251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 공공도서관에서 수행되고 있는 독서교실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을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매뉴얼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독서교실 프로그램 운영 매뉴얼 개발의 기본 방향은 현행 학교 및 사교육시장에서 수행되어져 오는 독서교육과는 차별화된 독서의 본질에 충실한 독서활동을 통한 바람직한 독서문화가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데 지향점을 두었다. 또한 독서교실 프로그램을 이용자의 요구와 인적 물적 등 도서관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영 모형 (집중형, 단기형, 중기형, 장기형, 선택형)을 제시하였으며. 운영에 필요한 단계별 세부 업무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체계 표준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ublic Library Space Guideline of Integrated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

  • 공순구;김형석;이승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66
    • /
    • 2010
  • 현대과학기술의 발전은 한 사회의 문화와 사회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던 도서관은 현대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최근 공공도서관 신축 또는 리모델링 수요의 급증이 예상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도서관의 유형과 서비스 규모를 고려한 도서관 공간운영에 대한 모델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 도서관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공간운영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과 사례를 검토하고 공간구성의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대안이 될 수 있는 공간요소의 재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공간구성체계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증하는 도서관의 조립과 리모델링 사업계획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도서관의 특성과 서비스 규모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공간운영 표준모델의 개발을 위해, 첫째, 국내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둘째, 국내 및 해외의 도서관 건축물 공간구성 사례 수집분석하며, 셋째, 향후 신축할 국내 공공도서관 건축물을 유형별로 정의하여 공간구성에 대한 합리적인 권장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농촌지역 영어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방안 (A Study on Application of English Library to Improve for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in Rural Area)

  • 함정현;김종남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7권2호
    • /
    • pp.261-277
    • /
    • 2010
  • This study is undertaken to present the facilitation plan of English library that specialized the resource-based learning to provide learning that is suited for student's own learning style and self-leading learning as the method to learn contents required for individuals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rural areas.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facilitating English library in the rural areas on the basis of consulting for structuring and operating English library in public libraries located in isolated areas clustered with low income class in the urban areas where the conditions are similar to the rural areas and results are shown as the followings. First, it displayed the possibility to have the rural area located with many closed schools or small-sized schools to facilitate the available facilities to build up the environment to specialize in English education that would be as comparable as any facilities in any urban setting. Second, it would enable the conditions to moderate the conflict on education environment for local residents who felt inequality in education by providing the benefit for fine education linked to public education through English library without going through private education. And third, English library that has the limitations in locality or economic means would actively participate by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volunteers to enhance the sense of master for the local residents and bring residents together to make positive impact on local economy facilitation.

국립세종도서관 직무개발 및 조직개편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Job 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Strateg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 윤희윤;오선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9-182
    • /
    • 2023
  • 2013년 12월 출범한 국립세종도서관은 한국 정책정보 특화도서관과 세종시 복합문화시설로 각광받아 왔다. 그럼에도 본질적 정체성, 조직적 위상, 사무분장과 핵심역량, 정책자료 수집과 서비스 등은 여전히 취약하고 부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정체성 정립 및 고품질 정책정보서비스의 전국적 제공을 위한 직무모형을 개발하고, 전략적 조직개편 방안을 제시하였다. 직무모형은 기존 72개에 38개를 추가하여 총 110개로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단기 조직개편 모형(2023-2024)은 관장 직급을 현재 4급(서기관)에서 고위공무원단(직무등급은 나급)으로, 과장을 5급(사무관)에서 4급으로 상향 조정하였다. 하부조직은 현재 3과(기획관리과, 정책자료과, 서비스이용과)를 4과(기획행정과, 자료수집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과, 대중서비스문화과)로 개칭·확대하고 인력은 총 51명으로 구성하였다. 중장기 모형(2025-2032)은 하부조직을 4과 1실(기획행정과, 자료수집개발과, 정책정보서비스과, 대중서비스문화과, 정책정보연구실)로 확대하고, 소요인력을 총 61명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거시적·전략적 목표인 '한국 정책정보센터'를 표방한다는 논지로 이해집단을 설득시키고, 전략적 조직개편 및 직제개정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공공도서관의 재원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Library Finance)

  • 서혜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263-301
    • /
    • 1992
  • In recent years, Korean public libraries, placed under changing circumstances, require that some new and positive financial policies be formulated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services. T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eme to ensure the revenues of Korean public librari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Public finance theory is applied to the question of why the public library is publicly supported. The public library does not contribute to stabilization, but it does playa role in each of the other public sector functions : allocation of resources and redistribution of income. In public finance terms there is justification for at least partial subsidy of public library services, which have the attributes of public goods, merit goods and externalities. (2) Public libraries in Korea find themselves suffering from limited budgets. They are neglected in national and local budgets. The lack of adequate funding for library collections prevents libraries from rendering efficient services. (3) In order to put the finances of the Korean public library system on a firm basis, the following proposals are made: 1) It is proposed that the parallel administration under which public libraries are organized be unified to be directly under the local governments. 2) It is proposed that the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system for public library finance be strengthened. (1) Library expenses should be itemized independently in the calculation of general grants-in-aid to local governments. (2) A fixed portion of the total municipal revenue should be appropriated for public library services. It can be executed by making provisions expressly in the annual guidelines for budgeting, municipal ordinances, or in the Library Promotion Law. The rate of allocation should be specified as a part of the national public library development plan. (3) Library tax as a local tax can be imposed. An indirect tax is preferable in order to avoid public misunderstanding and antagonism. 3) The augmentation of the specific grants-in-aid for the public library is proposed. The Library Promotion Law and the Law on Budget and Administration of Grants should be amended to oblige the central government to give financial assistance to local public libraries. 4) It is proposed that strategies to encourage private endowments be worked out. Revision of the Law on Tax Reduction and Exemption and the activation of an advisory library committee at each public library are recommended. 5) Funding and utilization of the envisioned Library Promotion Foundation is proposed. Government contributions, contributions from the Culture and Arts Foundation, and donations from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enterprises can be considered as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Foundation. 6) It is proposed that the structure of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be consolidated to exercise greater influence over the formation of national policy on the public library system. 7) It is proposed as an ultimate guarantee of the health of the public libraries that the citizenry be educated to strongly support library services in responce to the active services provided by the public libraries.

  • PDF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조사 연구 -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ians on the Operation of School Library Book Curation: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in Busan)

  • 김미나;강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31
    • /
    • 2022
  • 이 연구는 부산지역 초등학교 도서관의 북큐레이션 운영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다음, 학교도서관에서의 북큐레이션 활성화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2021년 기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의 학교도서관 현황을 활용하여 부산지역 304개 학교도서관 목록을 확보하여 사서가 배치되어 있는 121개 학교도서관을 선정한 다음 설문조사에 참여하기로 한 83개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북큐레이션 운영현황과 사서와 사서교사의 인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1) 북큐레이션에 대한 전문화된 교육의 확대와 제공, 2)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운영에 관한 자료의 개발과 보급, 3) 북큐레이션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한 사서들의 지속적인 노력, 4) 학교도서관 사서 간의 협력과 정보 공유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