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ochemical & sensory properties

검색결과 781건 처리시간 0.022초

소비톨 첨가 시폰 케이크의 품질 특성 연구 (Effect of Sorbitol on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Chiffon Cake)

  • 송유나;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45-651
    • /
    • 2015
  • 본 연구는 설탕을 소비톨로 대체하여 저장성을 높인 저열량 시폰 케이크를 만들고자, 전체 설탕 함량 중 소비톨을 0, 30, 50, 70, 100%로 대체하여 시폰 케이크를 제조하고, 가장 적합한 소비톨 대체량을 제시하였다. 케익 반죽에 소비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중은 낮아지고, 점도는 감소하였다. 이는 굽기 손실률과 구운 후의 케이크 부피에 영향을 미쳐, 대조군의 굽기 손실률이 낮고, 부피는 큰 것으로 측정되었고, 소비톨 함량이 증가할수록 굽기 손실률은 증가하고 부피는 감소하였다. 시폰 케이크를 실온($25^{\circ}C$)과 냉장($8^{\circ}C$) 온도에서 3일간 보관하면서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제조당일의 경도는 대조군에서 가장 높았고, 소비톨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시료간 경도의 차이는 감소하였으며, 저장일수의 증가에 따른 경도의 변화는 적었다. 응집성의 경우, 제조당일 시료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저장 1일부터 3일까지 50% 대체군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시폰 케이크의 내부 단면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은 내부의 기공이 크고 부드러운 내면을 보였으나, 소비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이 작고 조밀한 결과를 보였다. 저장 중 시폰 케이크의 외부를 관찰한 결과, 냉장보관 케이크에서는 저장 15일까지 곰팡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실온저장 5일차에는 100% 소비톨 대체군을 제외한 모두 시료에서 곰팡이가 발견되었으며, 저장 7일차에는 모든 시료에서 곰팡이가 발견되었다. 곰팡이의 양은 대조군에서 가장 많았고, 소비톨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줄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생균수 집락수 결과, 냉장온도에서는 저장 7일까지 모든 시료에서 균수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실온에서 보관 시에도 2일까지는 무의미한 생균수 집락수가 계수되었다. 저장 3일째부터 총균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저장 4일째는 소비톨 70%와 100% 대체군, 저장 5일째는 100% 대체군만 안전한 계수 수준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대조군과 소비톨 30, 70% 대체군은 전반적 기호도 뿐 아니라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소비톨 70%를 첨가하여 제조한 시폰 케이크는 열량 감소 효과뿐만 아니라 품질 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서도 높은 선호도를 얻었고, 저장성 향상 효과도 크게 나타나 시폰 케이크 제조 시 가장 적합한 설탕 대체량으로 판단된다.

냉동조건에 따른 반건조 홍고추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Effect of Freez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mi-dried Red Pepper)

  • 김보연;이경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62-370
    • /
    • 2009
  • 오존수로 살균처리한 반건조홍고추를 -10, -20 및 $-40^{\circ}C$ 로 각각 냉동하여 $-18^{\circ}C$로 냉동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드립손실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많았으나, 처리구간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일수가 길어질수록 두 시료간의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냉동온도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텍스처는 처리구에서 저장 3개월 이후부터 저장기간 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값은 냉동 전 반분반건조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냉동저장 3개월 후부터는 두 시료 모두 유의성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apsaicinoids 함량은 저장일수가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냉동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Carotenoids 함량은 냉동온도와 저장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반분 반건조처리구는 3개월 이후부터 carotenoids 함량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scorbic acid 함량은 반건조처리 후 약 47%의 손실을 보였고. 유리당은 약 6.5% 손실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깔과 외관에서도 대조구와 반분 반건조 처리구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율무전분의 조리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the Job′s tears flour)

  • 신민자;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59-67
    • /
    • 1987
  • 율무쌀을 식량으로서의 적합여부를 규명하기 위해 천안산, 횡성산, 의성산 율무쌀을 임의로 선택하여 전분의 분리, amylose 함량 측정, amylogram특성 등의 물성을 측정하고, 율무쌀가루를 여러 혼합비율로 혼합한 식빵과 떡을 제조하여 조리, 적합여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1. 율무쌀의 전분 함량은 12~20%정도로 쌀이나 찹쌀의 전분함량의 1/3정도이었으며 율무전분의 amylose와 amylopect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거의가 amylopectin으로 되어있어 찰전분임을 알 수 있었다. 2. 율무쌀전분, 쌀전분, 찹쌀전분의 amylogram에서 호화개시 온도는 각각 $69.5^{\circ}C$, $68.8^{\circ}C$, $68.5^{\circ}C$로 율무쌀전분이 다른 전분에 비해 약 $1^{\circ}C$ 정도 높게 나타냈다. 최고 점도는 율무쌀전분이 860 B.U, 쌀전분, 420 B.U., 찹쌀전분 610 B.U.로 율무쌀전분이 가장 높으며 쌀전분의 약 2배 정도였다. 그리고 $95^{\circ}C$에서부터 $50^{\circ}C$로 냉각된 때에는 쌀전분이 500 B.U.로 가장 높았으며, 찹쌀전분 310 B.U.보다는 율무쌀전분이 410 B.U.로 쌀전분과 찹쌀전분의 중간 성질을 보였다. 3. 율무쌀가루를 혼합한 때의 제빵성을 검토한 결과 l0% 혼합시 빵의 식미는 밀가루빵보다 우수하였으며 20% 혼합시에는 빵의 부피 및 내부 특성이 밀가루빵과 비슷하였다, 30% 이상일 때는 빵의 부피 및 조직과 관능검사 결과가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제빵시 율무쌀 가루를 20%정도까지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4. 율무쌀가루를 이용한 떡은 율무쌀가루를 25% 혼합시켰을 때 조직 향미, 식미등이 가장 좋았으며 50% 이상 혼합되면 떡의 부피 및 조직과 관능검사 결과가 나쁘게 판정되었다. 따라서 떡을 제조할 때에도 율무쌀가루를 25%까지는 혼합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식빵과 떡제조시 율무쌀가루를 혼합사용하여 율무의 이용면을 넓힐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발효한 더덕 차의 열처리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Tea according to Heating Processes)

  • 이지연;김병극;박홍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93-699
    • /
    • 2013
  • 본 연구는 독특한 식감과 풍미로 인하여 가공성이 낮은 C. lanceolata의 응용성을 높이기 위해 발효차를 제조하고, 열처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화학 특성 및 항산화력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갈색도, 탁도, 환원당,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0$^{\circ}C$ 15분 열처리한 시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13.71mg/100ml로 대조구에 비해 약 4.5배 증가하였다. 항산화력 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 FRAP 및 환원력에서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력이 뚜렷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 $200^{\circ}C$ 15분 열처리한 시료의 경우, 85.40%로 대조구 45.17%에 비해 약 2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FRAP 및 환원력 또한 $200^{\circ}C$ 15분 열처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약 2~3배 이상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선호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함기포장과 진공포장이 도축 후 단기 유통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and Vacuum Packaging on the Qualities of Pork during the First 4 Days Post Mortem)

  • 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5-422
    • /
    • 2005
  • 도축 후 24시간 냉장한 지육에서 양쪽 등심을 분할하고 한쪽은 진공포장, 나머지 한 쪽은 함기포장하여 $4^{\circ}C$에 냉장하였다. 그리고 냉장 1, 2 및 3일째의 물리화학적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장 1일(도축 후 2일)째의 함기포장한 육은 진공포장한 육에 비하여 육즙 감량이 적은 반면 보수력과 관능적 조직감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냉장2일째의 함기포장육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육즙 감량이 적고 전단력이 낮은 반면 적색도가 높고, taurine과 alanine 함량이 많으며, 기호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p<0.05).냉장 3일째의 함기포장육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육즙감량이 적고, 저작성 및 전단력이 낮은 반면 VBN 함량 $(12.37\;mg\%)$이 높고 일반 세균수$(2.6\times10^4\;CFU/cm^2)$가 많았으나(p<0.05), 신선도가 유지되고 있었다. 냉장 기간이 같은 경우, 함기포장육의 pH, 지방 산패도, 명도, 황색도, 가열 감량, 경도, 탄력성, 응집성, 뭉침성, 유리 아미노산 함량 및 가열육 향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에 도축 후 유통 기간이 짧은 돈육의 경우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진공포장 방법을 재고할 필요가 있겠다.

Effects of Feeding Purple Rice (Oryza sativa L. Var. Glutinosa) on the Quality of Pork and Pork Products

  • Jaturasitha, Sanchai;Ratanapradit, Punnares;Piawong, Witapong;Kreuzer,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55-563
    • /
    • 2016
  • Purple rice is a strain of glutaneous rice rich in anthocyanins and ${\gamma}$-oryzanol. Both types of compounds are involved in antioxidant and lipid metabolism of mammals. Three experimental diet types were used which consisted approximately by half either of purple rice, white rice or corn. Diets were fed to $3{\times}10$ pigs growing from about 30 to 100 kg. Meat samples were investigated either as raw or cured loin chops or as smoked bacon produced from the belly. Various physicochemical traits were assessed and data were evaluated by analysis of variance. Traits describing water-holding capacity (drip, thaw, and cooking losses) and tenderness (sensory grading, shear force) of the meat were mostly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 type. However, purple rice feeding of pigs resulted in lower fat and cholesterol contents of loin and smoked bacon compared to white rice, but not compared to corn feeding except of the fat content of the loin. The shelf life of the raw loin chops was improved by purple rice as well. In detail, the occurrenc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fter 9 days of chilled storage was three to four times higher in the white rice and corn diets than with purple rice. The n-6:n-3 ratio in the raw loin chops was 9:1 with purple rice and clearly higher with 12:1 with the other diets, meat lipids. Level and kind of effect of purple rice found in raw meat was not always recovered in the cured loin chops and the smoked bacon. Still the impression of flavor and color, as well as overall acceptability were best in the smoked bacon from the purple-rice fed pigs, whereas this effect did not occur in the cured loin cho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rple rice has a certain, useful, bioactivity in pigs concerning meat quality, but some of these effects are of low practical relevance. Further studies have to show ways how transiency and low recovery in meat products of some of the effects can be counteracted.

친환경 유기농 채소가 첨가된 저지방 햄버거 패티의 제조 (The Manufacturing of Low-fat Hamburger Patties Added Organic Vegetable)

  • 정구용;정의룡;이주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5-170
    • /
    • 2008
  • 본 연구는 저지방 햄버거 패티를 제조하여 $7{\pm}1^{\circ}C$에서 25일간 저장하면서 물리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햄버거용 패티는 10% 돈지방을 첨가한 일반 패티(Control)와 10% 돈지방과 유기농 채소를 첨가한 햄버거 패티(T1), 3%식물성 올리브유(T2) 및 3% 돈지방(T3)을 각각 첨가한 저지방 햄버거 패티를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시료구의 pH는 저장기간 동안 올리브유를 첨가한 시료구(T2)가 대조구(T1)와 다른 시료구(T3)에 비해 높은 pH를 보였다. TBARS의 경우 대조구는 저장 15일 이후부터 현저한 품질저하 현상이 나타난 반면, 올리브유를 첨가한 식물성 저지방 시료구의 경우 저장 20일 이후 품질저하 현상이 나타났다. 총균수의 변화에서 대조구는 저장 15일 이후부터 그리고 시료구는 20일 이후부터 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관능적 평가에서는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대조구와 각 시료구간에 큰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지방의 함량을 낮추고 채소를 첨가할 경우 기호도 평가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올리브유를 첨가할 경우 식감에서는 같은 함량의 동물성 지방 첨가보다 높은 평가를 나타내어 채소와 올리브유를 첨가한 새로운 품질의 햄버거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메수수가루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Supplemented with Non-glutinous Sorghum Powder)

  • 김현영;고지연;김정인;정태욱;윤홍태;오인석;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21-5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수 분말 함량이 반죽 분말의 총 5, 10, 15 및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의 품질 특성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수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조리 후 중량, 부피, 수분 흡수율 및 탁도는 수수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리 전 색도는 수수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조리 후 면의 색도는 조리 전에 비하여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감소하게 나타났다. 수수 분말 첨가 면의 조리 후 인장강도는 force, time 및 distance 모두 메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또한 조리 후 생면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안메수수가루를 첨가하여 생면을 만들 경우 메수수가루의 첨가는 면의 품질특성은 유지하면서 항산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ptimization of Manufacturing Conditions for Improving Storage Stability of Coffee-Supplemented Milk Beverag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Ahn, Sung-Il;Park, Jun-Hong;Kim, Jae-Hoon;Oh, Duk-Geun;Kim, Moojoong;Chung, Donghwa;Jhoo, Jin-Woo;Kim, Gur-Y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7-97
    • /
    • 2017
  • This study aimed at optimizing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of a milk beverage supplemented with coffee, and monitoring it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during storage. Raw milk, skim milk powder, coffee extract, and emulsifiers were used to manufacture the beverage. Two sucrose fatty acid esters, F110 and F160, were identified as suitable emulsifiers.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beverage manufacture, which can satisfy two conditions at the same time, determin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ere 5,000 rpm primary homogenization speed and 0.207% sucrose fatty acid emulsifier addition. The particle size and zeta-potential of the beverage under the optimum condition were 190.1 nm and $-25.94{\pm}0.06mV$, respectively. In comparison study between F110 added group (GF110) and F160 added group (GF160) during storage, all samples maintained its pH around 6.6 to 6.7,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addition, GF110 showed significantly higher zeta-potential than GF160 (p<0.05). The particle size of GF110 and GF160 were approximately 190.1 and 223.1 nm, respectively at initial. However, size distribution of the GF160 tended to increase during storage. Moreover, increase of the particle size in GF160 was observed in microphotographs of it during storage. The $L^*$ values gradually decreased within all groups, whereas the $a^*$ and $b^*$ values did not show significant variations (p<0.05). Compared with GF160, bitterness, floating cream, and rancid flavor were more pronounced in the GF110. Based on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it appears that the sucrose fatty acid ester F110 is more suitable emulsifier when it comes to manufacturing this beverage than the F160, and also contributes to extending product shelf-life.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에 따른 멸치의 건조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Anchovy (Engraulis Japonica) Subjected to Microwave Drying)

  • 금준석;박광장;이창호;임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3-109
    • /
    • 1998
  • 생멸치를 열풍건조 후 마이크로파(MW), 마이크로파/열풍(MWH), 마이크로파 진공(MWV)의 건조방법들을 이용하여 5분 건조 1분 정지를 12회 및 10분 건조 1분 정지를 6회 반복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여 품질특성을 검토한 결과 수분함량, pH, 색도, 산도, 휘발성, 염기질소는 마이크로파 건조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의 경우 포화산이 38.34%, 모노엔산이 22.91%, 폴리엔산이 38.75%로 나타났으며 마이크로파 건조방법도 각각 비슷한 구성을 나타내었고 각 건조방법 공히 palmitic acid와 docosahexaenoic acid의 함량이 많았다. 마이크로파 건조 후 마른 멸치의 palmitic acid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각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 공히 alanine, arginine, lysine, leucine 등으로 나타났다. 조직감 측정은 대조구에 비교하여 마이크로파 건조 방법이 각 측정항목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관능검사 결과 마이크로파 진공 건조 방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