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tosynthetic pigment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패류 양식장 퇴적물의 광합성색소 분포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photosynthetic pigments distribution of the sediment in the shellfish farm)

  • 김숙양;최민규;황동운;이인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91-301
    • /
    • 2013
  • This study researched and compared the sedimentation environment and photosynthetic pigments at Gomso (GS) -bay, Yoja (YJ) -bay and KangJin (KJ) -bay in May, 2012. It was shown that KJ-bay consist of C (clay) and M (mud), and GS-bay consists of Zs (silty sand) and Sz (sandy silt). Averagely, IL of YJ-bay was 4.98%, KJ-bay 6.10%, and GS-bay 1.45%. As for COD concentration, there were no places that exceeded Japanese sediment contamination standard 20 mg/g-dry. As for AVS concentration, in case of KJ-bay, two places exceeded Japanese sediment contamination standard 0.2 mg/g-dry. If we look into the average C/N ratio of bays, YJ-bay showed 8.50, KJ-bay 6.60, and GS-bay 5.52, thus all of them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oceanic origin. As for the plankton make-up classified by photosynthetic pigments, diatom was dominant, and both ratios of pigment and C/chlorophyll. a showed the relatively lower distribution at GS-bay than at KJ-bay and YJ-bay. It is judged that thi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 of flow-in, and it implies that predation process and decomposition by organic matters actively occurs at YJ-bay and KJ-bay.

Influence of Gamma Irradiation on Greening of Mung Bean Seedlings

  • Kim, Jin-Hong;Moon, Yu-Ran;Kim, Jae-Sung;Lee, Min-Hee;Lee, Seung-Sik;Chung, Byung-Yeoup
    • 환경생물
    • /
    • 제26권1호
    • /
    • pp.15-21
    • /
    • 2008
  • Ionizing radiation causes many alterations in photosynthetic machineries.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on the development of photosynthetic machineries in plants. We investigated the greening of etiolated mung bean seedlings after gamma-irradiation of 50 to 300 Gy. The irradiation inhibited seedling growth with great dependence on the radiation dose. In particular, growth of stems was more affected than that of hypocotyls. Irradiated leaves showed inhibition in growth, aberration in morphology, and yellowing in color depending on the radiation dose. Contents of photosynthetic pigments such as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irradiated leaves. The apparent electron transport rate for photosynthesis, ETR, was similarly changed depending on the radiation dose. However, the maximal photochemical efficiency of Photosystem II (PSII), Fv/Fm, was little affected by the irradiation. Moreover, the 50-Gy seedlings maintained the control level of light saturating for photosynthesis and showed slightly higher Fv/Fm values in spite of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and ET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ion of the overall photosynthetic capacity couldn’t be causally relatqaed with the repression in the initial development of irradiated seedlings and that the overall photosynthetic machineries can develop and work to some extent as a concerted system for photosynthesis even after exposure to acute doses of ionizing radiation.

구멍갈파래(Ulva pertusa Kjellman)의 생태생리에 대한 생육기질의 효과 (The Effect of Substrate on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Macroalga Ulva pertusa Kjellman (Chlorophyta))

  • 최태섭;김광용
    • ALGAE
    • /
    • 제20권4호
    • /
    • pp.369-377
    • /
    • 2005
  • Seashore joining with land and sea, which is typical habitat for marine macroalgae, is classified two types of shore as soft- and hard-bottom shore according to topographical (geological) and ecological features. We compared two of Ulva pertusa Kjellman from two contrasting habitats, sandy (soft-bottom, Haenam) and rocky shore (hard-bottom, Hadong) in terms of chlorophyll-a fluorescence and its parameters, and various photosynthetic pigment and nutrient content in the tissue of those. Both of habitats were different in the light environment such as light attenuation coefficient and even in nutrient concentration of ambient seawater. Electron transport rate (ETR) of Ulva from sandy shore was higher than from rocky shore. The range of photosynthetic pigment content in the tissue of U. pertusa was significantly much more in from sandy shore, and also nitrogen and phosphorus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except for carbon conte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io of among photosynthetic pigments, and N:P ratio was similar between each other, even though significantly different. Our result implied on the reason of why most of green tides in the worldwide concentrated and frequently occurred at sites with sandy, muddy and silty bottoms, being classified as soft-bottom shore.

실새삼의 광합성색소 생합성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Bi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Dodder(Cuscuta australis R. Br.) Plant)

  • 김진석;곽현희;김병철;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14-324
    • /
    • 1997
  • 우리나라에서 자생하고 있는 실새삼에는 광합성색소 생합성과정이 존재하는지, 있다면 다른 식물에 비하여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광합성색소 대사과정에 작용점을 가지는 제초제에 대하여 반응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실험하였다. 1. 야외의 자연광 조건에서 자라고 있는 실새삼 생육지의 엽록소함량은 메꽃 줄기와 비교하여 볼 때 9배가 낮았고, 메꽃 잎과 비교하여 볼 때는 약 50배 낮은 경향이었다. 2. 종자로부터 발아된 실새삼 유묘의 경우 선단부위가 색소함량이 가장 높았다. 생육지의 경우는 신장지(extension stem)에서 색소함량이 가장 높았고, 권지(twining stem), 선단 15cm 아래의 절간 순으로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 함량이 낮은 경향이었다. 그리고 생장이 계속됨에 따라 오래된 줄기에서의 엽록체 퇴화가 신속하게 일어나는 경향이었다. 3. 생육지의 색소함량은 광도에 따라 생체중 1g당 엽록소 함량이 20-170${\mu}g$까지,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40-120${\mu}g$ 범위까지 변하는 경향이었다. 자연일장조건에서 채취하여 낮은 색소함량을 가진 줄기를 여러 광도에 24시간 둘 경우 91${\mu}Em^{-2}s^{-1}$PAR 내외의 광도까지는 초기색소함량의 3배까지 증가되었고, 광도가 456${\mu}Em^{-2}s^{-1}$PAR 이상에서는 엽록소 함량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4, 5mM의 ALA를 외부에서 공급할 경우 메꽃의 근경으로부터 나온 신초에서는 Pchlide가 7배 이상 증가되었으나 실새삼 생육지 선단에서는 40% 정도만 증가되었다. 한편 ALA를 공급한 후 저광도에 둘 경우 미미한 엽록소 증가경향만 보여 상대적으로 실새삼은 ALA에 대해 매우 둔감한 특정을 보였다. 5. Paraquat, norflurazon, oxyfluorfen, diuron 등의 제초제를 처리할 경우 모든 처리에서 색소소실이 관찰되었다. 아울러 oxyfluorfen을 처리하면 일반식물에서와 같이 protoporphyrin IX의 축적도 얼어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실새삼은 낮은 수준이지만 엽록소 및 카로티노이드 생합성과정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나 조직부위별로 그 수준이 다르고 주변환경의 영향 특히 광도에 따라 크게 조절되고 성장함에 따라 하부조직에서의 엽록체 퇴화가 빠른 특징을 보였다. 색소대사 과정에 작용점을 가지는 제초제들에 대하여 제초반응은 나타내지만 낮은 수준의 광합성색소 생합성 능력과 기주식물로부터의 영양분 탈취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탁월한 제초효과를 보여주지는 못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오존에 노출된 덩굴식물류, 쇠뜨기, 쑥의 광색소 함량과 SOD 활성 변화 (Photosynthetic Pigment Concentrations and Changes of SOD Activities on Liana, Equisetum Arvense and Artemisia Princeps Exposured to Ozone)

  • 박은희;김종갑;이재천;한심희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59-163
    • /
    • 2002
  • 덩굴식물 개머루, 계요등, 까마귀머루, 담쟁이덩굴, 댕댕이덩굴, 인동덩굴, 하늘타리 등 7수종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 등 2수종을 이용하여 광색소 함량과 SOD활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 ppb 처리구에서 볼 때 엽록소 a, 엽록소 b, 총 엽록소 함량, 카로테노이드에서 담쟁이덩굴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엽록소 b와 a의 비에서는 쇠뜨기, 카로테노이드와 총 엽록소의 비에서는 계요 등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덩굴식물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의 비교에서는 엽록소 b와 엽록소 a의 비에서 확실한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a와 b의 비에서보면 엽록소 b보다 엽록소 a가 더 민감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종에서는 담쟁이덩굴, 덩굴식물과 덩굴식물이 아닌 쇠뜨기, 쑥의 비교에서는 덩굴식물이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SOD 활성에서는 100 ppb 처리구에서 덩굴식물류 7수종과 쇠뜨기, 쑥의 처리전과 처리후의 차이는 쑥에서 3535.7 unit/g로 매우 크게 증가하였으며, 계요 등이 109.3 unit/g로 가장 적게 증가하였고, 개머루 한 수종에서 131.7 unit/g로 감소했다.

Effect of Growth Improvement in Photosynthetic Bacteria as a Function of 880 nm Light Emitting Diode Luminosity

  • ;;안진철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96
    • /
    • 2008
  • Light Emitting Diode (LED) of 880 nm was used as a function of luminosity in culture of the photosynthetic bacteria including Rhodobacter sp.. An array of 880 run LED was driven with an energy density of $6.0mW/cm^2$. In processing time, we were able to show that the cell growth were gained of significant changes in the pigment and in the dry weight. And we also showed that photosynthetic bacteria had the resonable relativity of optical density to dry weight. LED-880nm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the potential use of photo-bioreactor construction.

  • PDF

13C 추적자를 이용한 팔당호 수변역 부유 및 부착조류의 일차생산력과 광합성 색소 생산속도 연구 (Primary Productivity and Photosynthetic Pigment Production Rates of Periphyton and Phytoplankton in Lake Paldang using 13C Tracer)

  • 민준오;하선용;허진;신경훈
    • 생태와환경
    • /
    • 제52권3호
    • /
    • pp.202-209
    • /
    • 2019
  • 팔당호 수변지역 내 부유조류와 부착조류의 일차생산력은 부착조류의 일차생산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수변 지역이나 하천에서는 부착조류에 의한 유기물 생성이 주요한 수생태계 에너지 공급원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처음으로 지표색소의 생산속도 분석결과가 제시되었는데 향후 일차생산력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조류의 총 일차생산력으로 국한된 측정 방법을 좀 더 세분화하여 특정 조류의 기여도 및 개별 생산력을 판단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갈참나무 4가계에서 스트레스 평가용 생리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 (Ozone Sensitivity of Physiological Indicators for Stress Evaluation in Four Families of Quercus aliena Blume)

  • 김두현;한심희;이재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78-884
    • /
    • 2010
  • 오존에 노출된 갈참나무 4가계의 오존 내성 차이와 생리적 지표들의 오존 민감성은 광합성 특성, 광색소 함량, MDA 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과 같은 생리적 지표들을 표준화하여 결정하였다. 오존 처리 후, 갈참나무의 잎내 탄소고정효율 감소는 4가계 모두에서 관찰되었으며, 그들의 감소율은 대조구의 -24.1%에서 -56.9% 범위를 보였다. 광색소 함량은 가계 간 및 처리 간 차이가 뚜렷하였으며, 총 엽록소 함량의 감소는 SU4 가계에서 가장 높았고 (-40.6%), US2 가계에서 가장 낮았다(-18.8%). APX 활성은 가계 간 및 처리 간 차이를 뚜렷하게 보였으며, US2 가계를 제외한 3가계에서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생리적 지표들을 기준으로 한, 갈참나무 4가계의 오존 내성은 US1 > SU4 > US2 > SU1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광합성 특성, 광색소 함량과 APX 활성은 갈참나무의 오존 스트레스 내성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지표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