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lipid hydrolysi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1초

쥐뇌 미토콘드리아 분획에서 포스포리파제 D에 대한 스퍼민의 영향 (Effect of Sperrnine on Phospholipase D Activity in Rat Brain Mitochondrial Preparation)

  • 고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48-452
    • /
    • 2000
  • 포스포리파제 D(PLD)는 인지질의 말단염기를 가수분해하여 phosphatidic acid(PA)와 염기로 분리시키는 효소이다. 본 연구는 쥐의 뇌에서 분리한 미토콘드리아 분획에서 PLD를 활성에 미치는 spermi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올레산 존재하에서 spermine이 PLD를 활성화시켰으며 $Ca^{2+}$, $Mg^{2+}$ 그리고 $Ba^{2+}$는 spermine의 영향을 더욱 강화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아민들은 별 효과가 없었으나 histamine경우 높은 농도에서 PLD를 활성화시켰다. Polylysine들도 PLD를 활성화시켰으며 그 길이가 길수옥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기질 특이성에 있어서는 phosphatidylcholine(PC)과 phosphatidylethanolamine(PE)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기질 특이성은 쥐 소장 미토콘드리아 PLD의 PE 특이성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hospholipase A2, reactive oxygen species, and lipid peroxidation in CNS pathologies

  • Adibhatla, Rao Muralikrishna;Hatcher, J.F.
    • BMB Reports
    • /
    • 제41권8호
    • /
    • pp.560-567
    • /
    • 2008
  • The importance of lipids in cell signaling and tissue physiology is demonstrated by the many CNS pathologies involving deregulated lipid metabolism. One such critical metabolic event is the activation of phospholipase $A_2$ ($PLA_2$), which results in the hydrolysis of membrane phospholipids and the release of free fatty acids, including arachidonic acid, a precursor for essential cell-signaling eicosanoid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 product of arachidonic acid metabolism) react with cellular lipids to generate lipid peroxides, which are degraded to reactive aldehydes (oxidized phospholipid, 4-hydroxynonenal, and acrolein) that bind covalently to proteins, thereby altering their function and inducing cellular damage. Dissecting the contribution of $PLA_2$ to lipid peroxidation in CNS injury and disorders is a challenging proposition due to the multiple forms of $PLA_2$, the diverse sources of ROS, and the lack of specific $PLA_2$ inhibitor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role of $PLA_2$ in CNS pathologies, including stroke, spinal cord injury, Alzheimer's, Parkinson's, Multiple sclerosis-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and Wallerian degeneration.

저분자화알긴산이 콜레스테롤식이 흰쥐의 혈청과 간장지질의 콜레스테롤 수준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Molecular Alginates on Cholesterol Level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and Liver Lipids in Cholesterol-Fed Rats)

  • 이동수;남택정;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99-408
    • /
    • 1998
  • 미역과 큰다시마에서 추출한 수용성 알긴산 및 산$\cdot$알칼리가용성 알긴산과 그 염산부분가수분해에 의하여 얻어진 저분자화 알긴산 (저분자화 범위 : 미역 약 4,000 kDa$\to$약 38kDa; 큰다시마 약 1.283kDa$\to$약 341 kDa과 약 45kDa)을 함유한 실험사료를 횐쥐 (SD계, 4주령)에 4주간 급이했을 때의 혈청 및 간장지질 콜레스테롤 수준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cdot$검토하였다. 알긴산의 급이는 식이효율이 $0.37\~0.44$로서 기초식이군에 비하여 $0.03\~0.05$ 정도 낮은 값을 보였고, 콜레스테롤 급이에 의한 간의 중량 증가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 수용성 알긴산은 산$\cdot$알칼리가용성 알긴산에 비하여 혈청 및 간장지질 중의 총콜레스테롤, 유리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triglyceride및 인지질에 대하여 현저한저감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각각의 효과는 저분자화에 의하여 현저히 증대되었다(저분자화에 의한 저감효과 수용성 알긴산 - 혈청지질: 총콜레스테롤 $59\%$, 유리콜레스테롤 $65\%$, LDL-콜레스테롤 $96\%$, triglyceride $50\%$, 인지질 $36\%$, 간장지질: 총콜레스테롤 $42\%$, 유리콜레스테롤 $62\%$, LDL-콜레스테롤 $44\%$, triglyceride $33\%$, 인지질 $44\%$$\cdot$알칼리가용성 알긴산 - 혈청지질: 총콜레스테롤 $52\%$, 유리콜레스테롤 $97\%$, LDL-콜레스테롤 $78\%$, triglyceride $32\%$, 인지질 $64\%$, 간장지질. 총콜레스테롤 $11\%$, 유리콜레스테롤 $12\%$, LDL-콜레스테롤 $10\%$, triglyceride $27\%$, 인지질 $21\%$) 저분자화 알긴산의 급이가 혈청 및 간장지질 구성지방산의 조성에 미치는 효과는 콜레스테롤 급이군에 비하여 polyene산의 함유비율을 혈청지질에 있어서는 약 $44\%$이상, 그리고, 간장지질에 있어서는 약 $70\%$ 이상으로 각각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에 비추어 저분자화 알긴산의 급이는 실험동물의 혈청 및 간장지질 조성을 생리적으로 개선하는데 그 효과가 현저함을 뒷받침하였다.

  • PDF

밀가루 및 건면의 지방질 조성과 측정 방법에 따른 조지방 함량 차이 (Lipid Composition and Differences in Crude Fat Contents in Wheat Flour and Dry Noodles according to Determination Methods)

  • 이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81-385
    • /
    • 2010
  • 밀가루 및 5종의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정량하기 위하여 Soxhlet법을 비롯한 5종의 측정 방법과 3종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호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밀가루에서는 0.09~1.37%, 건면에서는 0.07~1.36%의 조지방이 정량되었다. 이와 같이 밀가루와 건면에서 그 측정 방법에 따라 조지방 함량이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지방질의 종류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 시중 대형 마트에서 구입한 5종의 겉면에 표시되어 있는 영양성분표를 살펴 본바, 조지방 함량은 0~1.5%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밀가루와 건면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질의 종류 및 함량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밀가루에는 1.02%의 유리 지방질과 0.21%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건면에는 0.95~1.01%의 유리 지방질과 0.21~0.25%의 결합 지방질이 함유되어 있었다.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58.5%, 33.6% 및 8.6%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49.2~58.2%, 33.3~41.6% 및 8.5~9.3% 범위였다. 또한, 밀가루 및 건면 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결합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극성 및 비극성 지방질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밀가루에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 함량은 각각 16.7%, 33.5% 및 49.5%였다. 상대적으로 5종의 건면 시료에서는 각각 13.2~15.3%, 35.6~45.7% 및 41.6~49.4%로 유리 지방질에 함유되어 있는 각 지방질의 함량과는 큰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지방질 조성 및 함량에 따라 밀가루 및 건면에서 정확한 조지방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산가수분해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세포사멸에서 Phospholipase D 동위효소의 기능적 역할 (The Functional Role of Phospholipase D Isozymes in Apoptosis)

  • 민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78-1382
    • /
    • 2014
  • Phospholipase D (PLD)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주요지질인 인지질을 분해하여, 이차신호전달물질인 phosphatidic acid (PA)를 생성함으로써 세포의 성장 및 증식, 생존신호전달등 세포내 다양한 생리현상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전달 핵심단백질로 대두되고 있다. PLD의 비정상적인 발현과 활성은 다양한 암을 비롯한 여러 질환에서 나타난다. PLD에 의해 생성된 PA는 세포사멸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켜서 세포사멸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고 있다.최근에, 세포사멸과정에서 PLD 단백질의 turnover dynamics에 관한 분자수준에서의 연구가 규명되었다. PLD는, 세포사멸시 활성화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caspases의 새로운 기질로 작용하여 세포사멸을 차별적으로 조절을 한다. Caspase에 의한 PLD동위효소의 차별적인 분해양상이 PLD의 효소활성과 세포사멸억제 기능을 조절한다. 그래서 PLD는 암치료의 표적분자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된다. 본 리뷰논문에서, 세포사멸조절 PLD의 기능적 역할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대두발아(大豆發芽)중 지질대사(脂質代謝)에 관한 연구-제2보(第2報) Lipoxygenase activity 및 지방산(脂肪酸)의 변화에 관하여- (Studies on the Lipid Metabolism of Soybean during its Germination-(Part 2) Changes on lipoxygenase activ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soybean during germination-)

  • 신효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7권4호
    • /
    • pp.247-256
    • /
    • 1974
  • 한국산의 대두를 $21{\sim}25^{\circ}C$의 암소(暗所)에서 10일동안 발아(發芽)시키면서 2일 간격으로 두아(豆芽)를 채취하여 자엽부(子葉部)와 배축부(胚軸部)의 2부분으로 분리한 후 이 두 lipoxygenase activity와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phospholipid 및 조지방(粗脂肪)의 구성지방산의 변화를 각각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의 lipoxygenase activity는 2일 후부터 급속히 감소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2일 후부터 서서히 증가하였다. 이와같은 lipoxygenase activity의 변화는 자엽부(子葉部)에서 linoleic 및 linolenic acid의 감소경향과 배축부(胚軸部)에서 이들 지 방산의 증가경향과 동일하였다. (2)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에서 추출한 triglyceride fraction의 요오드값은 계속 감소 하였으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큰 변화없이 일정하였으며 배축부(胚軸部)의 요오드값은 자엽부(子葉部)의 것보다 낮았다. (3) 발아중 자엽부(子葉部)의 triglyceride의 구성지방산중 palmitic acid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stearic acid는 계속 증가하였고 oleic acid는 증감의 변화가 불규칙적이며 linoleic 및 linolenic acid는 계속 감소하였다. 그러나 배축부(胚軸部)에서는 palmitic acid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으며 linoleic 및 linolenie acid의 함량은 계속 약간씩 증가하였고 stearic 및 oleic acid는 불규칙적으로 함량의 변화가 심하였다. (4) 발아중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에서 추출한 free fatty acid fraction의 모든 구성지방산은 불규칙하게 그 증감의 변화가 심하였다. 이와같은 현상은 lipase의 분해로 생성된 각종 지방산은 생합성(生合成)과정이나 에너지 발생과정에 무작위(無作爲)하게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5) 발아증 기수(奇數)탄소수의 지방산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는바 이는 대두발아중 지방산은 $C_2$-unit로 분해 및 이용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6) 자엽부(子葉部) 및 배축부(胚軸部)에서 추출한 phospholipid 및 배축부(胚軸部)의 모든 구성지방산의 변화는 triglyceride fraction의 지방산의 변화경향과 비슷하었다.

  • PDF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고추 품종과 퇴비의 단기적 효과 (Short-term Effects of Cultivars and Compost on Soil Microbial Activities and Diversities in Red Pepper Field)

  • 박기춘;권태룡;장길수;김영숙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9-144
    • /
    • 2008
  • 고추 재배지 포장에서 고추 품종과 퇴비 시용 수준이 토양 미생물 활성과 다양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2007년 4월에 퇴비를 30톤과 60톤 $ha^{-1}$을 살포한 다음, 영고4호와 고은 고추를 5월에 정식하였으며 8월 초에 토양을 채취하였다. 토양 미생물 활성은 탈수소 효소활성과 fluorescein diacetate(FDA) 수화도로 측정하였으며, 토양 미생물 군락은 $EcoPlate^{TM}$와 인지질 지방산을 분석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조사 항목에서 품종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퇴비 30톤과 60톤 $ha^{-1}$처리는 토양의 pH와 미생물 군락을 변화시켰고, 퇴비 60톤 $ha^{-1}$처리는 토양 유기물과 칼리 함량 증가 그리고 탈수소효소 활성과 FDA 수화도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는 토양 화학적, 미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고추 재배 품종보다는 퇴비 등의 유기 개량제의 영향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고추재배 품종 특히 '영고4호'가 일반 재배 품종과는 다른 토양 미생물적 특성을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소고기 Stew에 야채첨가가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 (Lipid Degradation of Beef Stew with and without Vegetables)

  • 한명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3-508
    • /
    • 1990
  • 소고기 Stew의 Process, treatment과 storage가 Stew의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양을 조사했다. Process는 Stew을 조리한 후 Polyethylene 용기에서 $5^{\circ}C$에서 저장한 것(P1)과 barrier에 $0^{\circ}C$에서 저장한 것(P2)을 이용했으며, treatment은 Stew을 만들 때 쇠고기(T1), 소고기와 양파(T2), 소고기와 당근(T3) 그리고 소고기, 양파 및 당근(T4)을 넣어 만들었다. P1 Stew는 0, 2, 4일간 저장했으며, P2 Stew는 0, 2, 4주 동안 저장하였다. 조리한 소고기 Stew는 조리하지 않는 것이 비교해서 cephalin 양이 39%, lecithin 양이 21% 감소했으며, 그 외 대부분의 인지질과 지방산도 감소했다. Process의 차이나 storage의 차이에 따라 cephalin이나 lecithin의 양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소고기와 당근으로 만든 Stew에서 당근이 cephalin의 가수분해를 약간 억제했다. 특히 P1 Stew가 P2 Stew보다 높은 TBA가를 나타냈으며, P1 Stew의 TBA가는 4일간 저장하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증가했으며, P2 Stew의 TBA가는 4주 동안 현저한 변화가 없었다.

  • PDF

누에고치 산 가수분해물의 단백질의 질적 평가와 고콜레스테롤, 고지질, 고당질식이 흰쥐의 혈장지질에 미치는 영향 (Protein Quality Evaluation and Effect of Plasma Lipid Contents of Acid Hydrolysates of Cocoon inn Rats Fed by High Cholesterol, High Triglyceride and High Sucrose Diet)

  • 황은희;강병기;김복량;이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04-1009
    • /
    • 2001
  • 누에고치를 2N HCl 용액으로 11$0^{\circ}C$, 48시간 가수분해한후 중화하여 냉동건조하여 얻는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은 glycin이 43.25%, alanine이 34.39%, serine 10.05%, valine이 2.44%였고 필수 아미노산은 7.12% 차지하였다.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의 사료이용효율은 카제인과 같았다. 1~5% 실크분말의 첨가에 의한 간의 무게, 간효소활성(GOT, GPT), 혈청알부민, 혈청 총단백질의 함량은 영향이 없어 단백질의 질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흰주에 고콜레스테롤, 고지질, 고설탕사료를 각각 섭취시키면서 5%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을 첨가하였을 때 혈장 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중성지질의 감소, 인지질과 HDL의 증가 등 혈액지질조정에 바람직한 결과를 보였으나, LDL과 총콜레스테롤을 높이는 좋지 못한 효과도 나타냈다. 그러므로 누에고치 산가수분해물은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보다는 이를 이용한 펩타이드의 생리기능 또는 식용 이외의 화장품재료, 의약용재료, 포장제 등과 기타 물리 화학적 특성을 기초로 한 다양한 범위의 응용이 더욱 적합하다고 생각되며, 혈액지질 개선효과에 대해서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미꾸라지 간으로부터 포스포리파아제 C델타 단백질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hospholipase C$\delta$from liver of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 서정수;임상욱;김나영;이상환;오현석;이형호;정준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7-80
    • /
    • 2005
  • 미꾸라지 (mudloach, Misgunus mizolepis)의 간으로부터 클로닝한 phosphoinositide-specific phospholipase C$\delta$ (ML-PLC$\delta$)를 대장균 (E. coli)에서 과발현시켜 만든 재조합 ML-PLC$\delta$와 미꾸라지 간 조직으로부터 직접 정제한 ML-PLC$\delta$의 생화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pET28a vector (Novagen)를 이용하여 E. coli BL21(DE3)에서 과발현된 재조합 ML-PLC$\delta$$Ni^{2+}$-NTA affinity 크로마토그래피 및 gel filtration 칼럼에 의해서 정제되었다. 미꾸라지 간 조직으로 ML-PLC$\delta$는 open heparin 칼럼 및 분석용 heparin 칼럼등을 통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두개의 재조합 및 wild ML-PLC$\delta$는 phosphatidylinositol 4,5-bis-phosphate ($PIP_2$)에 대한 농도 의존적 PLC 활성을 보여주었고, 그 활성은 포유류 PLC$\delta$ 효소와 유사하게 칼슘 농도에 의존적인 활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및 wild ML-PLC$\delta$는 각각 pH 7.0 및 7.5에서 가장 큰 PI-가수분해 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재조합 및 wild ML-PLC$\delta$는 sodium doecylcholate (SDC) 및 phosphatidylethanolamine (PE), phosphatidylcholine (PC)와 같은 지질류에 대하여 농도의존적인 활성을 나타내나, spermine과 같은 polyamine류의 존재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PLC 활성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미꾸라지 각 기관들의 ML-PLC$\delta$의 발현양상 및 양등을 측정하여 보았을 때 ML-PLC$\delta$는 포유류 PLC$\delta$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태의 PLC$\delta$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서 미꾸라지로부터 얻은 ML-PLC$\delta$는 포유류의 PLC$\delta$ isozymes과 유사한 형태의 생화학적 특성을 가지나, 포유류 PLC$\delta$1과 PLC$\delta$3 isozyme의 생화학적 특성을 함께 가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