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ospholipid and fatty acid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24초

식이지방이 흰쥐의 혈청 지질상태 및 조직 지방산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at and Oils on Serum Lipid Statu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Tissues of Rat)

  • 임정교;조성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6권1호
    • /
    • pp.10-20
    • /
    • 1983
  • In order to establish tissue lipid status in animal on feeding of various dietary fat and oils, each group of rats was fed a semisynthetic diet containing 10%(w/w) mackerel oil (MO), eel oil (EO), soybean oil (SO), rapeseed oil (RO) or beef tallow (BT) for 1, 2 and 4 weeks, After each feeding period, levels of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were measured in serum. Fatty acid ${\leftarrow}$ composition was also investigated in serum and tissue lipids. Levels of total serum cholesterol were lower but HDL-cholesterol were higher in fish oil groups, which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ratio of HDL to total cholesterol in the fish oil groups. Fish oil groups, in general, also had lower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than other groups, but S0 group maintained as low phospholipid levrl as fish oil groups. Fatty acid composition of dietary fat was reflected in all the tissues investigated but with varying degrees. Very long chain fatty acids, specific components exclusively found in fish oils were most well reflected in liver and relatively well in serum, whereas linoleic acid and erucic acid of SO and RO in the diet were better shown up in heart and adipose tissue. It attracted a particular attention that major proportions of long chain monoenoic acids $(C_{22:1})$ occurring both in MO and RO were detected separately in liver and heart plus adipose tissue, the result of which strongly indicate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tabolism between isomers $(C_{22:1}\;w\;11\;and\;C_{22:1}\;w\;9,\;respectively)$. It is suggested from this study that differences in lipid status as well as in the levels of serum lipids result from uniqueness in metabolism of each different fatty acid and give rise to distinguishable change in serum lipoprotein pattern, followed by diet with different fat sources.

  • PDF

갯장어의 일반성분과 지방산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Lipids and Fatty Acids of Sharp Toothed Eel(Muraenesox cinereus))

  • 안창범;신태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3-241
    • /
    • 2002
  • 전남 여수지역의 특산품이라 할 수 있는 갯장어의 연중 지질성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일정 시기별로 채취한 갯장어의 일반성분 및 근육지질의 각 획분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조지방 함량은 3.85∼12.59 g/100 g의 범위로 11월에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5월에 가장 낮았다. 수분함량은 지방함량이 많은 시기에 적게 나타나 역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총지질 및 중성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은 C16:0, C23:0, Cl6:1, Cl8:1, C20:5 및 C22:6이었으나 중성지질은 총지질에 비해 C22:6의 구성비율이 특히 낮았다. 인지질의 주요 구성지방산도 총지질이나 중성지질과 유사하였으나 Cl8:3n-6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적이었고, 폴리엔산의 총함량(73.93∼66.23%)은 다른 지질획분에 비해 가장 높았다. 당지질의 경우는 C20:1 및 Cl4:1의 함량이 특이적으로 매우 높았으나 EPA와 DHA의 함량은 낮았다. 총지질,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의 연평균 n-3/n-6 비는 각각 10.82, 12.27, 6.63 및 6.50이었다. 총지질과 중성지질의 지방산의 연중변화는 뚜렷한 경향을 찾을 수 없었으나, 인지질의 경우는 조지방 함량이 많은 9월과 11월에 폴리엔산의 함량이, 당지질에 있어서는 9, 11 및 1월에 모 노엔산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인지질 모델막에서의 지방산 이동에 관한 연구 방법 (Research Method of Fatty Acids Transfer between Phospholipid Model Membranes)

  • 임병순;김혜경;김을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743-750
    • /
    • 1997
  • 세포막에서의 지방산 이동은 매우 빠르게 일어나므로 방사성 원소를 사용해서는 여러가지 단점이 있고, 정확한 이동속도 측정에도 어려움이 많았다 최근에 개발된 FRET assay는 형광성 물질과 형광성 물질을 상쇄시키는 quencher를 사용한 실험방법 이다. 이는 공명 에너지 이동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형광광도계, stopped-flow장치를 사용하여 소수성 물질 이동을 직접 컴퓨터 모니터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기존방법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Donor막에는 형광성 표지를 붙인 지방산이 들어 있고 acceptor막에는 형광을 흡수하는 물질이 들어 있어서 형광성 지방산이 donor에서 acceptor로 이동하면 형광도가 감소하며, 시간에 따른 형광도 감소를 측정하여 지방산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형광성 표지를 이용하여 소수성 물질 이동에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은 self-Quenching assay이다. 형광 물질의 농도가 높아지면 서로 형광을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한 방법으로 주로 micelle에서의 물질 이동에 많이 쓰인다. Donor micelle에는 높은 농도의 형광성 지방산이 들어 있고 acceptor micelle에는 형광성 지방산이 들어 있지 않을 때 형광성 지방산이 donor에서 acceptor로 이동하면 형광도가 증가하게 되고 시간에 따른 형광도 증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 PDF

Orotic acid 투어가 흰쥐의 혈청, 간장(肝臟) 및 신장(腎臟)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gested Orotic Acid on Serum, Liver and Kidney Lipid Concentration in Rats)

  • 김석환;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3호
    • /
    • pp.206-211
    • /
    • 1996
  • Orotic acid의 과잉 섭취는 지질대사의 이상으로 인한 간 장해를 야기시키는 것이 알려져있다. 특히 지방간 생성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 본 연구는 orotic acid에 의한 혈청, 신장(腎臟) 및 간장(肝臟)의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시판 분말 chow 식이에 orotic acid 1% 첨가, 무첨가한 식이를 21일간 90g 전후의 성장기 Sprague-Dawley 계(系) 웅성 쥐에 급여하였다. 그 결과 orotic acid 1% 첨가 식이에서 혈청cholesterol, triglyceride 및 phospholipid 농도는 각각 5% 수준에서 유의하게 저하 하였다. 간장(肝臟)의 triglyceride 농도는 5% 수준에서 유의하게 저하 하였다. Orotic acid 첨가 식이에서 간장(肝臟)중량은 증가한 반면 신장(腎臟)중량은 저하하였다. Orotic acid 1% 첨가한 군에서 간장(肝臟) 및 신장(腎臟)의 phospholipid조성에의 영향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신장(腎臟)의 lysophosphatidylcholine은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간장(肝臟) phospholipid와 비교하여 신장(腎臟)에서는 sphingomyeline phosphatidylethanolamine은 유의하게 높은 분포를 나타냈다. 신장(腎臟) phospholipid의 지방산 조성중에서 linoleic acid(18:2)가 상승하고 arachidonic acid(20:4)가 감소하였다.

  • PDF

한국산 마의 지질 성분의 분리 및 분석 (Fraction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Lipid Components in Korean Yam (Dioscorea) Tubers)

  • 정혜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509-515
    • /
    • 1994
  • 한국산 마의 주요 품종인 Dioscorea batatas, D. aimadoimo and D. japonica 3가지 품종의 시료들을 동결건조하여 분말로 만든 다음 지질의 추출,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획,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한 지질의 분리 및 gas chromatography에 의한 지방산 조성 등을 행하였다. 총지질의 함량은 D. japonica가 다른 마에 비해 적은 편이었으며, 지질을 분획한 결과 3가지 품종 모두 중성지질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당지질, 인지질 순으로 나타났다. 분획한 각 지방의 구성 지질로는 중성지질이 sterolester, triglyceride, 1,3-diglyceride, 1,2-diglyceride 및 monoglycerid였고, 당지질에서 acylsterylglycoside, sterylglycoside, digalactosyldiglyceride 및 sulfolipid였고, 인지질에서 phosphatidylethanolamine, phosphatidylcholine 및 phosphatidylinositol 이었다. GC에 의한 총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과 리놀레산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많았다. 또한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도 총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과 같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 PDF

사람주나무 종실유의 화학적 조성 (Chemical Components of Seed Oil of Sapium japonicum Pax. et Hoffm.)

  • 최명석;양재경;강병국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74-282
    • /
    • 2000
  • 사람주나무 (Sapium japonicum) 종실유의 물리 화학적 특성과 구성성분을 다양한 분석법으로 구명하였다.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를 구성하는 지질은 중성지질이 93% 로 가장 높고 , glycolipid 가 4.9%, phospholipid가 1.3%로 나타났다. GC 분석 결과 사람주나무의 종실에는 9종의 지방산이 존재하였다.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기간 등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종실유 중 3종의 지질은 silica open column을 통해 분획하고, 이들의 지방산 성분을 조사하였다. 3종의 지질 중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채취직후의 종실유에서 지방산의 함량은 저장된 종실유의 지방산에 비해 전반적으로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사람주나무의 종실유는 화장품, 세정제, 의약품 등으로의 이용이 기대된다.

  • PDF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 변화 (Variation in the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

  • 제은진;송상규;서정우;허병기
    • KSBB Journal
    • /
    • 제22권1호
    • /
    • pp.37-4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배양시간에 따른 Thraustochytrium aureum ATCC 34304 균체 내부에 저장하는 지질의 지방산조성 및 균체 막에 축척하는 지질 내의 지방산조성의 변화 과정을 정량적으로 규명하였다. 건조균체량은 배양 5일째에 3.94 g/L를 나타내었으며, 균체당의 지질 함량은 배양 3일째에 최대값 25.0%를 나타내었다. 균체 내의 triacylglyceride (TAG)량은 배양 3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하였다. 반면 세포막을 구성하는 phospholipid (PL)의 함량은 3일까지는 감소하나 그 이후에는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TAG를 구성하고 있는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배양 초기 60.3%이였으나 배양 5일 후에는 45.3%까지 감소하였으며, DHA는 42.1%에서 33.9% 까지 감소하였다.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배양 초기에는 24.9%이었으나 배양 5일 후에는 27.8%까지 증가하였다. PL 내의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은 배양시간에 따라 48.0%에서 17.5%까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오차범위 내에서의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배양시간이 경과하여 배양액내의 영양 환경이 열악하게 되는 경우 균주는 포화지방산보다 불포화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우선 사용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Effects of Brazilin on Lipid and Phosphatidyl Fatty Acid Composition of Erythrocyte Membran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Moon, Change-Kiu;Yoon, Eun-Yi;Lee, Soo-Hwan;Moon, Chang-hyun;Hwang, Daniel-H.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147-151
    • /
    • 1993
  • In diabetes, the abnormal increase of the membrane cholesterol/phospholipid ratio (C/PL) is consdered to be the main reason for the decreased membrane fluidity, which then results in impaired erythrocyte deformability and subsequent microcirculatory disturbanc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brazilin on lipid and phosphatidyl fatty acid composition of erythrocyte membran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Treatment of brazilin (10mg/kg or 100 mg/kg for 2 weeks, i.p) altered and cholesterol contents in diabetic erythrocyte membranes. The C/PL ratio of brazilin treated group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diabetic control group while no change was observed in normal erythrocyt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alterations in phosphatidyl fatty acid compositioin of erythrocyte membranes were observed and brazilin could reverse these alterations. Arachidonic acid level reumed to a normal level while linoleic acid level remained unchanged by the treatment of brazilin. The results suggest that brazilin might increase erythrocyte membrane fluidity which plays a key role inregulating erythrocyte deformability, thereby it could exert positive effects on microdiculatory disturbances.

  • PDF

Linkage Between Biodegrad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Phospholipid Profiles in Soil Isolates

  • Nam, Kyoung-Phile;Moon, Hee-Sun;Kim, Jae-Young;Kukor, Jerome-J.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77-83
    • /
    • 2002
  • A bacterial consortium capable of utilizing a variety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has been isolated from a former manufactured gas plant site. The consortium consisted of four members including Arthrobacter sp., Burkholderia sp., Ochrobacterium sp., and Alcaligenes sp., which wer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by the patterns of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 analysis) and carbon source utilization (BIOLOG system). With the individual members, the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aromatic hydrocarbons depending on different growth substrates were determined. FAME analyses demonstrated that microbial fatty acid profiles changed to significant extents in response to different carbon sources, and hence, such shift profiles may be informative to characterize the biodegradation potential of a bacterium or microbial community.

수삼의 CA 및 MA 저장이 홍삼의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rolled Atmosphere and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n the Fatty Acid of Fresh and Red Ginseng)

  • 전병선;최강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60-266
    • /
    • 1995
  • Fifteen free fatty acids including myristic acid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red ginseng processed from CA and MA stored fresh ginseng. Linoleic acid (80%) and palmitic acid (10.5%) content were the major components accounting for more than 90% of the total free fatty acid. The contents of free and identified fatty acids were not greatly changed in all the treatments. Especially when preservative was treated, the change of free fatty acid was quite stable over the control. Each fraction of neutral, glyco- and phospholipid was constant in terms of quantitie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Key words Controlled atmosphere, modified atmosphere, fresh ginseng, red ginseng, fatty aci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