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sticide degradation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31초

Enhancement of Pendimethalin Degradation Activity in Bacillus sp. MS202 using Gamma Radiation

  • Lee Young-Keun;Chang Hwa-Hyoung;Lee Ho-Jin;Park Heesoon;Lee Kyung Hee;Joe Min-Ho
    • 환경생물
    • /
    • 제23권4호
    • /
    • pp.405-408
    • /
    • 2005
  • To induce the enhanced mutants of dinitroaniline herbicide pendimethalin degrading bacterium, Bacillus sp. MS202 was irradiated with gamma radiation at the dose of $LD_{99}$ (3.35 kGy). Three enhanced mutants (MS202m7, MS202m14, MS202m18) were isolated from the candidates by the generation - isolation method. Clear zone formation and the GC analysis confirmed that the degrading activity of each enhanced mutant (MS202m7, MS202m14, MS202m18), the formation of pendimethalin metabolite, increased by $11\%,\;45\%,\;and\;32\%$ than a wild type, respectively. It suggested that these mutants induced by gamma radiation could be useful for the application of pesticide degradation.

A New Intermediate in the Degradation of Carbofuran by Sphingomonas sp. Strain SB5

  • Park Myung-Ryeol;Lee Sun-Woo;Han Tae-Ho;Oh Byung-Tack;Shim Jae-Han;Kim In-Se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8호
    • /
    • pp.1306-1310
    • /
    • 2006
  • Sphingomonas sp. strain SB5 could degrade carbofuran and carbofuran-7-phenol to a hydrolytic product, 2-hydroxy-3-(3-methlypropan-2-o1)phenol, and several red metabolites. Howeve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red metabolites have largely remained unidentified.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structure of one of the red metabolites as 5-(2-hydroxy-2-methyl-propyl)-2,2-dimethyl- 2,3-dihydro-naphtho[2,3-6]furan-4,6,7,9-tetrone by using mass spectrometric and NMR ($^1$H, $^{13}$C) analyses. It is suggested that the red metabolite resulted from condensation of some metabolites in the degradation of 2-hydroxy-3-(3-methlypropan-2-o1)phenol, a hydrolytic product derived from carbofura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paper to report a red metabolite in bacterial degradation of the insecticide carbofuran.

제초제 Dicamba의 토양미생물 및 잔디 효소에 의한 분해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dicamba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soil and phosphate extracts of turfgrass, Zoysia Japonica S.)

  • 오경석;이영기;오병렬;이병무;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6-30
    • /
    • 2000
  • 토양미생물 및 잔디 추출액에 의한 제초제 dicamba의 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Dicamba를 분해하는 토양미생물 5종을 enrichment culture에 의해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는 Acidovorax sp., Alcaligenes sp. 및 Variovorax sp.로 동정되었다. Dicamba를 10 ppm 수준으로 처리한 무기배지에서 분리균에 의한 dicamba 분해는 배양 21일 후에 평균 90% 이상이었으며, 분해산물로 5-hydroxydicamba가 검출되었다. 한국잔디 (Zoysia Japonica S.)를 phosphate buffer로 추출하여 추출액에 의한 dicamba 분해를 조사한 결과 dicamba의 반감기는 $2.5{\sim}2.7$일 이었으며, 대사산물로 소량의 4- 및 5-hydroxydicamba가 검출되었다.

  • PDF

Marsh와 Pond 형태의 인공 습지를 이용한 Parathion 농약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atment of Parathion Pesticide Using Marsh and Pond Type Constructed Wetlands)

  • 김세경;최종규;오세희;강호정;조경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4-220
    • /
    • 2004
  • The microcosm type wetland systems were constructed in order to treat wastewater contaminated with parathion. The microcosm reactor consisted of marsh and pond type.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sing batch (marsh or pond) and continuous (marsh-pond and pond-marsh type) systems. In the batch reactor, marsh-type wetland completely removed parathion in water within 8 days, while pond reactor removed 97% of parathion during the same period. During parathion degradation, the amount of 4-nitrophenol production, one of the metabolites from parathion degradation, was higher in marsh-type batch reactor. In the continuous systems, both marsh-pond and pond-marsh combination systems effectively removed parathion from water, and the production of 4-nitrophenol was also minimal. In the extraction experiment, the parathion and its metabolite were not found in the wetland soil and the plant. In order to achieve both 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the continuous wetland system combining marsh and pond type can be the alternative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s such as parathion pesticide.

님나무 추출물의 Limonoid계 살충성분 4종의 환경매체 노출 안정성 (Stability of Four Limonoidal Substances of Neem Extract under Controlled Aquatic and Soil Conditions)

  • 김진효;정두연;진초롱;김원일;임성진;최근형;박병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6-16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님 추출물 및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농자재의 limonoid계 주요 4성분인 azadirachtin A, azadirachtin B, deacetylsalannin, salannin에 대해 수중 및 토양 노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님 추출물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limonoid계 유효성분의 수중 안정성 평가 결과 탈산소 조건에서 반감기는 210일 이상으로 매우 안정적이었으며, 호기조건의 반감기는 86.6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유기농자재 제품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제품의 경우 반감기가 최대 173일로 관찰되어 추출물 원액보다 안정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님 추출물 및 제품을 대상으로 유효성분의 토양노출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건조토양의 경우 추출물 원액과 유기농자재 제품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이때 유효성분의 반감기는 43.3-57.7일로 수중 호기조건 노출보다 분해가 약 2배 가량 빨리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함수토양의 경우 총 limonoid 반감기는 6.4-12.3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조건 중 분해 반감기가 가장 짧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함수토양 내 총 세균수는 6.0 log CFU/g soil 이상에서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함수토양에서의 limonoid 성분 분해는 화학적 산화와 미생물 분해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논 토양 및 현미중 Imidacloprid의 잔류성 (Residue of Imidacloprid in Hulled Rice and Paddy Soil)

  • 문영희;양희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84-387
    • /
    • 1999
  • 논 토양과 현미 중 살충제 imidacloprid의 잔류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내 조건의 토양 중 imidacloprid의 분해속도는 1차 반응식에 따랐으며 토양온도 및 토양 종류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18-23^{\circ}C$의 토양중 imidacloprid의 반감기는 증식토에서 66.7-96.3일, 식양토에서 56.8-117.5일이었다. Arrhenius activation energy는 증식토에서 25.5KJ/mol, 식양토에서 50.3KJ/mol이었다. 포장조건하의 토양 중 imidacloprid의 분해는 처리 초기에는 매우 빨랐으나 점점 분해속도가 느려 1차반감기는 약 10일 정도이었으나 2차, 3차 반감기는 점점 길어져 처리량의 90%까지 분해되는데는 약 120일이 소요되었다. 현미 중 imidacloprid의 잔류량은 검출한계 0.01ppm이하이었다.

  • PDF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Butachlor by Laboratory-synthesized Nanoscale $Fe^0$ in Batch Experiments

  • Kim, Hyang-Yeon;Kim, In-Kyung;Han, Tae-Ho;Shim, Jae-Han;Kim, In-Se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101-105
    • /
    • 2006
  •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butachlor was investigated using laboratory-synthesized zerovalent iron ($Fe^0$). The synthesized zerovalent iron was determined to be nanoscale powder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To investigate degradation of butachlor using the synthesized nanoscale zerovalent iron, time-course batch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treating the solution of butachlor formulation with the iron. More than 90% degradation of butachlor was observed by iron treatment within 24 h. The synthesized nanoscale zerovalent iron showed an increase in particle aggregation in the batch tests. Green rust formation and a pH drop in solutions were observed, suggesting that the oxidation of the iron occurred. When the iron was extracted with dichloromethane, a negligible concentration was found in the extract, suggesting that butachlor did not bind to the iron particles. GC/MS analysis detected the dechlorinated product as a major degradation product of butachlor in the solutions. The data indicate that laboratory-synthesized zerovalent iron functioned as a reductant to remove electron-withdrawing chlorine, giving the dechlorinated product.

신규 Sulfonylurea 제초제의 합성과 제초 특성 (Synthesis of sulfonylureas and their herbicidal effect)

  • 류재욱;김병철;정근회;장해성;고영관;우재춘;구동완;김대황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20-323
    • /
    • 2002
  • N-methylureido기를 갖고 있는 새로운 benzenesulfonylurea계 유도체들을 합성하였고, 밭조건에서 발아 전 및 발아후 토양처리를 통하여 제초활성을 시험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발아후 처리에서만 활성을 나타내었고 광엽보다 화본과 잡초에서 좋은 제초 활성을 보여주었다.

쪽파(Allium ascalonicum L.) 재배기간 중 Diazinon, Iprodione 및 Chlorfenapyr의 잔류량 변화 (Temporary Persistance of Pesticide Residue of Diazinon, Iprodione and Chlorfenapyr during the Cultivation Periods in Shallot (Allium ascalonicum L.))

  • 고광용;나은식;김성헌;김상준;장영희;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32권2호
    • /
    • pp.223-231
    • /
    • 2005
  • In order to know the residual pattern of pesticides and predict to the degradation period until below MRL, we experimented diazinon, iprodinon and chlorfenapyr for shallot. They were the most detected pesticide in shallot by NAQS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management Service) survey. In this experiment, we sprayed those pesticides 15days before harvest and analyzed 0, 1, 2, 3, 5, 7, 10, 14 day sample to establish logical equation and to calculate $DT_{50}$. During the cultivating period, the residue amount of diazinon was changed from 1.02 mg/kg (0 day) to 0.01 mg/kg (14 day), $DT_{50}$ was 2.19 days, and iprodione was changed from 1.45 mg/kg (0 day) to 0.14 mg/kg (14 day), $DT_{50}$ was 4.15 days, and chlorfenapyr was changed from 1.5 mg/kg (0 day) to 0.01 mg/kg (14 day), $DT_{50}$ was 1.97 days. The $DT_{50}$ of double amount in those pesticides, diazinon was 2.24 days, iprodione was 4.82 days, and chlorfenapyr was 2.24 days, respectively.

  • PDF

Fenton 시약 및 UV 광 조사에 의한 제초제 paraquat의 분해 (Degradation of herbicide paraquat by Fenton reagent and UV light irradiation)

  • 김병하;안미연;김장억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26
    • /
    • 1999
  • Paraquat가 존재하는 수용액에 강력한 산화작용을 나타내는 Fenton시약을 첨가한 다음 UV 광을 조사하여 paraquat의 분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Paraquat의 농도에 관계없이 암 조건이나 UV 광이 조사되는 반응조건에서 hydrogen peroxide나 ferric ion을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paraquat의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Ferric ion 과 hydrogen peroxide를 동시에 처리하였을 경우에는 암 조건과 UV 광이 조사되는 반응조건 모두 반응개시 후 10시간 이내에 반응이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으며 암 조건의 경우에는 약 78%, UV 광이 조사되는 반응 조건의 경우에는 약 90%의 paraquat 분해정도를 나타내었다. 암 조건에서 hydrogen peroxide와 ferric ion의 농도 변화에 따른 paraquat의 분해 정도를 조사한 결과 $0.2{\sim}0.8$ mM의 ferric ion이 처리되었을 경우, $10{\sim}500mg/{\ell}$의 paraquat는 hydrogen peroxide의 농도에 관계없이 $20{\sim}70%$의 분해율을 나타내었다. UV 광이 조사된 반응 조건에서는 10 $mg/{\ell}$과 100 $mg/{\ell}$의 paraquat 농도에서는 ferric ion과 hydrogen peroxide의 농도와 관계없이 95% 이상의 분해율을 나타내었으나 200 $mg/{\ell}$과 500 $mg/{\ell}$의 paraquat 농도에서는 암 조건에서와 마찬가지로 ferric io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paraquat의 분해율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응시간의 경과와 ferric ion의 농도 변화($0.2{\sim}0.8$ mM)에 따른 paraquat의 분해 초기 반응속도 상수는 암 조건의 경우 $0.0004{\sim}0.0314$, UV 광이 조사되는 반응 조건의 경우 $0.0023{\sim}0.0367$로 나타났다. Paraquat의 분해초기 반응속도는 UV 광이 조사되는 반응 조건이나 암 조건에 상관없이 ferric io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암조건에서의 분해 반감기는 $20{\sim}1,980$분, UV 광이 조사되는 반응 조건에서의 분해 반감기는 $19{\sim}303$분으로 나타나 암 조건보다는 UV 광이 조사되는 반응 조건이 paraquat의 분해를 위한 반응 조건으로 유리함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