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eable

검색결과 1,045건 처리시간 0.033초

Flow control downstream of a circular cylinder by a permeable cylinder in deep water

  • Gozmen, Bengi;Akilli, Huseyin
    • Wind and Structures
    • /
    • 제19권4호
    • /
    • pp.389-404
    • /
    • 2014
  •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 circular cylinder surrounded by an outer permeable cylinder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using Particle Image Velocimetry Technique in deep water flow. In order to consider the effects of diameter and porosity of the outer cylinder on flow structures of the inner cylinder, five different outer cylinder diameters (D=37.5, 52.5, 60, 75 and 90 mm) and eight different porosities (${\beta}$=0.4, 0.5, 0.6, 0.65, 0.7, 0.75, 0.8 and 0.85) were selected. During the experiments, the diameter of inner cylinder was kept constant as d=30 mm. The depth-averaged free-stream velocity was adjusted as U=0.156 m/s, which corresponds to the Reynolds number of Re=5000 based on the inner cylinder diameter. It has been concluded that both the outer permeable cylinder diameter and the porosity have important influences on the attenuation of vortex shedding in the wake region. The presence of outer permeable cylinder decreases the magnitude of Reynolds shear stress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compared to the bare cylinder case. Moreover, the spectral analysis of vortex shedding frequency has revealed that the dominant frequency of vortex shedding downstream of the cylinder arrangement also reduces substantially due to the weakened Karman shear layer instability.

투과성 및 불투과성 경사면 상에서 지진해일의 처오름 높이에 관한 수치적 검토 (A Numerical Study on Tsunami Run-up Heights on Impermeable/Permeable Slope)

  • 이우동;허동수;구남헌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9
    • /
    • 2014
  •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sunami run-up heights on impermeable/permeable slope, a numerical wave tank by upgrading LES-WASS-3D was used in this study. Then, the model were compared with existing hydraulic model test for its verification. The numerical results well reproduced experimental results of solitary wave deformation, propagation and run-up height under various conditions. Also, the numerical simulation with a slope boundary condition has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solitary wave run-up on impermeable/permeable slope. It is shown that the run-up heights on permeable slope is 52.64-63.2% smaller than those on the impermeable slope because of wave energy dissipation inside the porous media.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numerical results with slope boundary condition agreed well with experimental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by using stair type boundary condition.

연안재해 방지 및 비점오염원 유출저감을 위한 투수블록의 특성 연구 (Permeable Coastal Pavement Structure for Shore Protection and Removal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 최윤식;김종영;한상수;권순철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97-606
    • /
    • 2019
  • Due to climate change, coastal areas are being flooded with torrential rain, typhoons, and tsunamis. In addition, non-point source pollutants (NPSs) that accumulated on the ground, streets, and buildings during the dry season are washed off by rain and stormwater runoff, which adds to the damage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e.g., pollution that makes its way into the ocean. Recently, low impact development (LID) has been considered as a means of controlling water circulation and NPSs. In the coastal area, permeable blocks have been constructed mainly to reduce the flood damage caused by waves. Some important design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to ensure long-term performance are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clogging, and the efficiency of the removal of total suspended solids (TSS), but currently there are no standardized design criteria or testing techniques that are used worldwide. Herein, we analyze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the TSS removal efficiency tendency according to the permeability area ratio with an easily-detachable, permeable block filled with calcinated yellow soils as the filter media. Our lab-scale tests indicated that, when the permeability area ratio was 25%, the reduction of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after clogged was 11%, which was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other cases. Permeability persistence increased when the permeability area ratio increased from 50% to 75%. The TSS removal efficiency decreased as the permeability area ratio increased. Our pilot-scale test indicated that the TSS removal efficiency was more than 80% higher in all cases. We also found that the permeability persistence was excellent as the permeability area ratio increased, and, in actual construction, it is effective to set 5.3% of the total area as permeable area in terms of permeabi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투수블록시설의 유출저감효과 분석 및 강우강도-지속시간 관계 분석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ect and Rainfall Intensity-Duration Time of Permeable Block Facility)

  • 한상윤;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7
    • /
    • 2020
  • 비점오염은 수계에 악영향을 끼치며 그 영향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을 관리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의 연구와 다양한 효율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LID 시설 중 실제 설치된 투수 블록 시설의 강우 유출 억제를 위한 유출 저감율, 저류 강우량 분석 및 유출 지연시간 그리고 최대 유입 및 유출의 저감율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를 각 시설 간 비교했다. 불투수블록, 필터형 투수블록, 틈새형 투수블록 순서대로 분석 결과 저감 효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강우강도-유출지연시간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이 그래프를 통해 앞으로 설계 시, 본 시설과 유사한 투수블록 시설의 재현 기간에 따른 시설 용량 선정 등의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투수시트를 적용하여 잉여수를 탈수한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Characteristics of Excess Water Dewatered Concrete Using Permeable Liner)

  • 전규남;안기홍;이종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675-68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타설 시 발생하는 잉여수를 제거하여 피복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 시키고자 거푸집에 구멍을 뚫지 않은 일반 유로폼에 투수시트를 부착하여 타설한 콘크리트의 물-결합재비 종류 및 시험체 높이에 따른 강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슈미트해머 반발경도 및 압축강도의 경우 투수시트면이 물-결합재비가 높은 배합일수록 크게 나타났으며, 시험체의 높이에 따라서는 상부보다는 중부 및 하부에서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SEM 분석 결과의 경우 수화물의 생성형태는 유사하였으나 투수시트면이 일반면에 비해 공극이 확연히 감소되고 밀실해 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IP 분석 결과 투수시트를 사용하였을 경우 $0.01{\mu}m$ 이하 공극량이 최대 50%까지 감소되어 공극이 치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H-1H 로터 블레이드의 제자리 비행 시 투과면을 이용한 원방 소음 해석 (Aerodynamic Noise Analysis Using the Permeable Surface for UH-1H Rotor Blade in Hovering Flight Condition)

  • 김기로;박민준;박수형;이덕주;박남은;임동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76-38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투과면을 이용하는 음향상사법으로 제자리 비행하는 UH-1H 로터 블레이드 주위의 원방 소음을 예측하였다. 두께 소음과 하중 소음, 그리고 충격파 및 끝단 후류 등에 의해 발생하는 유동 소음을 예측하기 위해 블레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투과면을 구성하였다. 3차원 압축성 Euler 방정식 및 Navier-Stokes 방정식을 적용하여 공력 해석을 수행하고 비교하였다. 투과면의 위치에 따라 High Speed Impulsive 소음을 예측 및 검증하였다. 블레이드 끝단에서 발생하는 충격파에 의한 소음원이 지배적인 요소임을 확인하였으며, 충격파를 온전히 포함하도록 투과면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였다.

방류 흐름제어를 위한 투과성 잠제의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of Permeable Submerged Breakwater for Discharged Flow Control)

  • 허동수;이우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1호
    • /
    • pp.51-6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투과성 잠제의 형상 및 평면배치에 따른 방류 흐름제어 기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체 투과성 구조물 해저지반의 비선형 상호간섭을 직접해석 할 수 있는 PBM (Porous Body Model) 기반의 3차원 수치파동수조(NWT; numerical water tank) LES-WASS-3D를 이용하였다. 먼저 이용하는 LES-WASS-3D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과성 구조물를 통과하는 댐 붕괴파의 전파특성에 관한 수리모형실험과 계산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투과성 잠제를 고려한 방류시뮬레이션으로부터 투과성 잠제의 적절한 형상 및 평면배치는 방류유속을 저감하고 흐름을 유도하는 데 상당히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투과성 잠제의 형상 및 평면배치에 따른 흐름제어에 대한 적용성은 평균류분포, 연직유속분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시 배수성 아스팔트 포장의 기능적 평가 연구 (Study on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Permeable Asphalt Concrete Pavement in Seoul City)

  • 이상염;김인태;문성호;권수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3-39
    • /
    • 2012
  • 배수성 포장에 있어 기능적 평가인 투수성 실험과 더불어 소음저감 측정을 서울시에서 시공한 구간에서 실시하였다. 소음측정은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는데 그 방법은 Pass-by 방법과 NCPX(Novel Close Proximity) 방법을 이용하였다. Passby 방법은 교통량에 따른 소음원이 전달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NCPX는 타어어와 포장 표면간의 마찰음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현장투수시험을 위해서는 총 5개의 구간에서 실시하였으며 각 구간마다 주행부와 비주행부로 나뉘어 측정하였다. 3개 구간의 Pass-by 측정을 위해서는 교통소음원 발생점으로부터 인접한 곳에서 측정을 실시하였고 또한 공원내부 혹은 단지 내부에서도 소음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NCPX 측정은 4군데서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배수성 포장의 기능인 투수성과 소음저감이 2, 3년 사이에서는 그 기능을 잘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초그속동결에 있어서 Vitrification Solution 개발과 FDA 생사판정이 수정란의 배양과 이식후 착상에 미치는 영향 I. Vitrification Solution내의 내동제 조합이 초급속동결 융해후 Mouse Morulae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Improvement of Vitrification Solution and FDA-test on the Embryo Survival and Conception Rate by Ultrarapid Freezing I.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Cryoprotectants in Vitrification Solution on the Survival of Frozen-Thawed Mouse Embryos)

  • 김종규;강민수;고경래;양병철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9-276
    • /
    • 1992
  • Studies were carried out to find the freezing media which gives no ice crystals in single(glycerol, ethylene glycol, dimethyl sulfoxide(DMSO)) and mixture solutions(glycerol+propylene glycol, glycerol+ethylene glycol) of permeable cryoprotectants in vitrification solution and to study effects of VS on the survival of vitrified mouse morula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oxicity test of permeable cryoprotectants, 30% glycerol of single solution showed the highest FDA-score(4.1) in mouse morulae frozen compared among other single solutions. The FDA-score(4.1) of 30% glycerol was higher than 30% ethylene glycol(3.6) and DMSO(1.4( (P<0.05). 2. 20, 30 or 40% single solution of permeable cryoprotectants containing m-PBS with 10% sucrose and 20% BSA was not crystallized during cooling, but crystallized during warming. However, the 30% mixture solution of the two permeable cryoprotectants was not crystallized both during cooling and warming.3. When mouse morulae were frozen in 30% mixture solutions of two permeable cryoprotectants(glycerol and propylene glycol,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highest FDA-score(4.5) was obtained in a mixture solution of 20% glycerol and 10% ethylene glycol(20G10E) than other 30% mixture solutions(10G20E, 15G15E, 20G10P, 15G15P, 10G20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0G10E and 10G20E(P<0.05).

  • PDF

투수성 보도블록의 침투능 분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alysis of Infiltration Capacity of the Permeable Block)

  • 이훈;정도준;김영복;김윤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99-10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침투형 우수유출저감시설 중 투수성 보도블록에 대한 침투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강우 조건하에서 투수성 보도블록의 침투량 산정 실험을 실시하였고 수리실험 결과와 수치모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적정성을 파악하였다. 투수성 보도블록의 수리실험을 통해 종기침투능을 분석한 결과 강우강도가 커짐에 따라 종기침투능과 유출시작시간은 급격하게 감소되어도 유출이 발생하기 전까지의 침투량은 강우강도에 관계없이 약 300.0 l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리실험과 수치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강도별 누적침투량의 통계분석에 의한 결정계수 산정결과 $0.958{\sim}0.996$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