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meability tests

검색결과 578건 처리시간 0.022초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공학적 특성 평가 및 경험적 상관모형 개발 (Evaluation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Aggregate Base Materials and Developing the Empirical Correlation Model)

  • 권기철;이승준;이웅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15-121
    • /
    • 2010
  •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역학적 특성평가를 위하여 15개 시료에 대해 반복재하 삼축압축시험, CBR 시험, 투수계수시험을 수행하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CBR 값은 32~110 범위(평균 81)에서 매우 폭넓게 결정되었으며, 수침조건에서 팽창량은 0.04mm 이하로 나타났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체적응력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았으며 선형체적응력모델의 적용성이 가장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는 100MPa~600MPa, 모델계수 $k_1$은 80~270, 모델계수 $k_2$는 0.1~0.6 사이에서 결정 되었다. 체가름시험과 다짐시험에서 결정된 지수물성치로부터 입도조정기층 재료의 탄성계수를 결정하는 경험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경험모형의 결정계수는 모델계수 $k_1$ 결정에 있어서는 0.423, 모델계수 $k_2$ 결정에 있어서는 0.920, 응력단계별 탄성계수 결정에 있어서는 0.872로 평가되었다.

Isolation of an Active Principle from Torilis Fructus and Its Pharmacological Activities

  • Lee, Eun-Bang;Cheon, Seon-Ah;Park, Seon-Kwan;Kim, Ra-Min;Lee, Dawei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78-178
    • /
    • 1998
  • We reported that the hexane fraction of Torilis Fructus have an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isolate the active compound, the hexan fraction of Torilis Fructus was chromatographed on silica gel column. The subfraction of hexane fraction was crystallized as colorless stout needles. The chemical structure of this compound was verified to be torilin through m.p., UV, IR, GC-MS, and NMR spectral data. In pharmacological tests, torilin exhibited strong anticarrageenan activity at the dose of 90 and 270 mg/kg, p.o. in rats, and it had inhibitory effect on the vascular permeability at the dose of 30 and 90 mg/kg, p.o. in mice. Torilin showed potent inhibition of leucocyte emigration in CMC-pouch at the dose of 3 and 9 mg/rat, s.c. Torilin have the analgesic effect at the dose of 30, 90 and 270 mg/kg, p.o. in both of the acetic acid- and phenyl-p-benzoquinone-induced writhing syndrome. It also increased the pain threshold at the dose of 30, 90 and 270 mg/kg, p.o. in the tail pressure method and the Randall-Selitto method. Torilin did not show a hypothermic action at the dose of 30 and 90 mg/kg, p.o. in mice. The acute toxicity of torilin was very weak: the LD$\_$50/ value was more than 5000 mg/kg, p.o. and 2000 mg/kg, Lp. in mice. From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orilin had potent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ies in animals.

  • PDF

팔라듐 합금 수소 분리막의 전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Pre-treatment of Palladium Alloy Hydrogen Membrane)

  • 박동건;김형주;김효진;김동원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248-256
    • /
    • 2012
  • A Pd-based hydrogen membranes for hydrogen purification and separation need high hydrogen perm-selectivity.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upport is important to coat the pinholes free and thin-film membrane over it. Also, The pinholes drastically decreased the hydrogen perm-selectivity of the Pd-based composite membrane. In order to remove the pinholes, we introduced various surface pre-treatment such as alumina powder packing, nickel electro-plating and micro-polishing pre-treatment. Especially, the micro-polishing pretreatment was very effective in roughness leveling off the surface of the porous nickel support, and it almost completely plugged the pores. Fine Ni particles filled surface pinholes with could form open structure at the interface of Pd alloy coating and Ni support by their diffusion to the membrane and resintering. In this study, a $4{\mu}m$ surface pore-free Pd-Cu-Ni ternary alloy membrane on a porous nickel substrate was successfully prepared by micro-polishing, high temperature sputtering and Cu-reflow process. And $H_2$ permeation and $N_2$ leak tests showed that the Pd-Cu-Ni ternary alloy hydrogen membrane achieved both high permeability of $13.2ml{\cdot}cm^{-2}{\cdot}min^{-1}{\cdot}atm^{-1}$ permation flux and infinite selectivity.

풍화도 변화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파쇄특성 (Particle Crushing Properties of Decomposed Granite Soil due to Changes in the Degree of Weathering)

  • 이강일;윤영구;이재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0
    • /
    • 2013
  • 본 연구는 포천에서 채취된 화강풍화토를 불산용액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풍화를 진행시켜서 풍화도 변화에 따른 화강풍화토의 입자파쇄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조성광물 분석을 통한 풍화지수 결정 후, 입도분석, 표준다짐시험 및 변수위 투수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풍화가 진행되면서 전체입경분포에서 입자파쇄가 진행되었으며, 입경 $D_{10}$$D_{50}$에 대한 비표면적을 비교한 결과 입경 $D_{50}$ 이하의 작은 입경분포에서 입자파쇄가 활발하게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짐에 의한 입자파쇄 결과는 최적함수비 부근에서 입자파쇄가 최대치를 보였고 풍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비표면적 증분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풍화지수가 높을수록 입자파쇄에 둔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도분포를 이용한 투수계수의 예측 (Predic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from Gran-size Distribution Parameters)

  • Song, Young-Woo;Lee, In-Koo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12
    • /
    • 2002
  • 투수계수는 지반공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인자의 하나이다. 그렇지만 현장이나 실험실에서 투수계수를 구하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이 논문에서는 입도분포를 반영하는 통계적인 계수를 이용하여 모래의 투수계수를 예측할 수 있는 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36가지 입도분포의 시료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조성하여 투수시험을 한 후 그 결과를 회귀분석하였다. 제안식은 변수로서 체분석시험에서 구한 모래 입경의 기하평균과 기하표준편차 또는 D_{10},D_{50},D_{60} 등과 같은 입도분포계수를 사용한다. 제안된 식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20개 지역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한 투수계수의 예측치와 실측치를 비교한 결과 비교적 잘 맞는 것으로 판명되였다. 또한 제안식의 성능이 Hazen 등 다른 연구자들의 식과 비교되었다.

모사 열차하중 재하에 따른 쇄석강화노반의 침하특성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the Reinforced Railroad Roadbed with Crushed Stones Under a Simulated Train Loading)

  • Hwang, Seon-Keun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5-13
    • /
    • 2004
  • 기존의 흙을 사용하여 건설된 철도 노반은 반복적인 교통하중의 증가, 열차속도의 향상, 노반상으로의 지하수의 유입, 노반의 배수능력 저하 등의 이유로 인해 시간경과에 따라 쉽게 그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대형시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씨 철도노반으로서의 쇄석강화노반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쇄석강화노반의 탄$.$소성 연직변위는 모사열차하중의 재하횟수에 관계없이 일반 흙노반에 비해 작은 응답특성을 보였으며, 동일한 노반 부설두께에서는 노반반력계수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동일한 강성인 경우 노반 부설두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쇄석강화노반의 부설두께에 비해 노반의 강성이 궤도에 발생하는 전체 소성 연직변위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고속도로 주변 급경사지재해 발생가능성 예측 (Prediction of Slope Hazard Probability around Express Way using Decision Tree Model)

  • 김찬기;박권준;김중철;송영석;윤중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67-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적용하여 개발된 급경사지재해 예측프로그램 SHAPP ver 1.0을 이용하여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하대리 일대 영동고속도로 주변에 대한 급경사지재해 예측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상지역의 총 10개소에서 토층시료를 채취하고, 이에 대한 토질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상지역에 대한 토질시험결과를 토대로 투수계수와 간극비에 대한 주제도를 작성하고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지형의 경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급경사지재해 예측을 실시한 결과 총 27,776개의 해석셀 가운데 2,120개의 셀에서 급경사지재해가 발생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때 해석셀의 크기는 $5m{\times}5m$이므로 급경사지재해 발생예상 면적은 $53,000m^2$으로 나타났다.

석탄재의 건설재료로서의 활용에 관한 연구-환경적 특성 검토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oal Ash as Construction Materials ln Forcus on the Environmental Analysis)

  • 천병식;고용일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1권2호
    • /
    • pp.99-106
    • /
    • 1995
  • 기본적인 성질 평가와 많은 실내실험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부산되는 석탄재는 이제 실용화 단계에 있지만, 가장 문제 제기가 되고 있는 부분은 환경적 특성 검토이다. 본 연구에서는 석탄재 발생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역학적 특성이 열악한 fly ash.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환경기 준에 의하여 폐기물 분류를 분석 확인하구 매립 및 대규모 토공재 등 건설재료로 처리 또는 사용하였을 시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에 의한 문제점이 있는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회분식 용출시험에 의하여 수소이온농도 및 오염물질 함유량을 조사.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fly ash는 일반폐기물로 분류됨을 확인하였고, fly ash의 PH는 오염 물질 배출허용 기준치보다 알칼리성을 강하게 띠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으나 이는 산성화된 토양을 중성화하는 토량개량재로서 fly ash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으며, 그 외에는 오염물질 배출허용 기준치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더구나 석탄재의 열악한 역학적 특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도의 소량의 첨가제(시멘트 또는 석회 등)에 의하여 강도 및 내구성 증가, 투수성 억제는 물론 문제가 되는 수소이온농도가 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pH 5.8~8.6) 이하로 낮아져, 석탄재의 건설재료로서의 활용에 있어 환경적인 문제의 여지는 없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제주도산 송이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 of scoria in Jeju-Do)

  • 천병식;김동훈;김영훈;이동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630-1637
    • /
    • 2008
  • Jeju-do is a island formed by the volcanic activity and has more than 360 volcanic cones distributed widely along the long axis of the elliptically shaped island. The volcanic cones consist mainly of scoria, so called "Song-I" in the local dialect. In this study the chemical and soil mechanical properties of scoria being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inland were investigated with the various tests. In the sieve-passing test the particle size of scoria had more than 10 of uniformity coefficient and gradation coefficient of 1 ~ 3, showing relatively homogenous distribution. Based on the uniformity classification, scoria was assorted into GW. In the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ed for measuring the mechanical strength of scoria the internal friction angle of red scoria was $37^{\circ}$ and that of black scoria was $36^{\circ}$. This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chanical strength between two types of scoria. On the other hand, red and black scoria had $1.24{\times}10^{-3}$ to $3.55{\times}10^{-2}$ cm/sec of k values for the static water level permeability, thus being classified into a coarse or fine sand as compared with that representing the saturated soil. They also had 1.411 to $1.477\;g/cm^3$ of notably low $r_{dmax}$ values for the compaction test as compared with common soil, which was considered to be due to their low specific gravity and high porosity. In conclusion, the soil mechanic properties of scoria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thought to be very helpful for reducing lots of trial and error happening in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 PDF

Strength and compressibility characteristics of peat stabilized with sand columns

  • Jorat, M. Ehsan;Kreiter, Stefan;Morz, Tobias;Moon, Vicki;de Lange, Wille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5권6호
    • /
    • pp.575-594
    • /
    • 2013
  • Organic soils exhibit problematic properties such as high compressibility and low shear strength; these properties may cause differential settlement or failure in structures built on such soils. Organic soil removal or stabilization are the most important methods to overcome geotechnical problems related to peat soils' engineering characteristics. This paper presents soil mechanical intervention for stabilization of peat with sand columns and focuses on a comparison betwee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undisturbed peat and peat stabilized with 20%, 30% and 40% of sand on the laboratory scale. Cylindrical columns were extruded in different diameters through a nearly undisturbed peat sample in the laboratory and filled with sand. By adding sand columns to peat, higher permeability, higher shear strength and a faster consolidation was achieved. The sample with 70% peat and 30% sand displayed the most reliable compressibility properties. This can be attributed to proper drainage provided by sand columns for peat in this specific percentage. It was observed that the granular texture of sand also increased the friction angle of peat. The addition of 30% sand led to the highest shear strength among all mixtures considered. The peat samples with 40% sand were sampled with two and three sand columns and tested in direct shear and consolidation test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number and geometry of sand columns. Samples with three sand columns showed higher compressibility and shear strength.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laboratory study it appears that the introduction of sand columns could be suitable for geotechnical peat stabilization in the field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