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eriodontal Disease

검색결과 1,002건 처리시간 0.031초

치주질환에 의한 심장질환 발생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 정미애;김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47-52
    • /
    • 2011
  •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 잇몸병)은 인구의 50%이상이 이환되는 만성질환이다. 치주질환을 치료하지 않으면, 치아 지지조직의 염증을 악화시켜 치아손실(tooth loss)을 가져온다. 고혈압은 성인의 30%에서 발병하며, 심혈관계통 질환의 이환(morbidity)과 사망(mortality)의 중요한 원인이다. 약 20년 전까지만 해도 두 가지 질환은 깊은 관련이 없어 보였지만, 최근 서로 연관성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심혈관계통의 위험요소에 대한 연구결과,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합병증 발생은 치주(periodontium) 질환과 관계가 있다. 즉, 뇌졸중(stroke),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질환에 대한 위험요소가 치주염이라는 증거가 있다. 이런 인과관계는 두 가지 질환이 서로 공통의 위험요소를 갖는다는 의미이다. C-reactive protein(CRP)은 치주염에서 증가하고, 치주질환 환자는 혈관운동 기능(vasomotor function)이 손상된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치주질환으로 인해 고혈압이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고찰을 통해, 치주염과 고혈압을 비롯한 심혈관계통 질환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고혈압은 당뇨와 함께 대표적인 생활습관질병이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서 적절한 치아관리를 통해 고혈압으로 인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예방하고자 한다.

제 6기(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19-39세 한국 성인의 취업과 치주질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prevalence and occupation among Korean adults aged 19-39 according to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김한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31-641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ith a focus on employment status, in a representative sample of Korean adults aged 19-39 yea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3,178 adults who completed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ealth-related questionnaires, and an oral examination. Socioeconomic, demographic, and oral health-related behavior data were adopt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socioeconomic status, oral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 factor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valence of periodontitis and the related variable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educational level, income, marital status, smoking status, prevalence of periodontitis, number of dental check-ups in a year, and unmet dental care were confirmed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in Korean adults. Howeve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was not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periodontal diseas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oral health, time available for dental treatment, smoking cessation, and use of floss.

Endodontic treatment enhances the regenerative potential of teeth with advanced periodontal disease with secondary endodontic involvement

  • Kwon, Eun-Young;Cho, Yunjung;Lee, Ju-Youn;Kim, Sung-Jo;Choi, Jeomi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3호
    • /
    • pp.136-140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role for endodontic intervention in enhancing the regenerative potential of the periodontal ligament when combined with periodontal treatment in seriously involved teeth with a secondary endodontic component. Methods: Patients who exhibited radiolucency extending to the periapical region, abnormal electric pulp testing values, and deep probing depth derived from primary periodontal disease with secondary endodontic involvement were included. Intentional root canal treatment was applied to those teeth in which the apical lesions were presumed to communicate with those of the periodontal lesion of the teeth that remained vital. In all three selected cases, regenerative periodontal therapy incorporating either bone graft 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was instituted 3 months after the endodontic intervention. Results: Remarkable enhancement in radiographic density was noticeable around the affected teeth as evidenced by changes in radiopacity.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robing pocket depth and gain in the clinical attachment level. Chewing discomfort gradually disappeared from the commencement of the combined treatment. Conclusions: An intentional endodontic intervention may be a worthwhile approach for the sophisticated management of teeth suffering from serious attachment loss and alveolar bone destruction with concomitant secondary endodontic involvement.

개에서 periodontal splint를 이용한 치아유동성의 치료 (Application of Periodontal Splint for Severely Mobile Incisor Teeth in Two Dogs)

  • 심경미;김세은;유경훈;배춘식;최석화;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9-121
    • /
    • 2008
  • A 2-year-old, intact and a 10-year-old, castrated male Maltese were referred for treatment of progressive tooth mobility and periodontal disease. The first case was presented with tooth mobility of mandibular incisors (Grade 2-3) and the second case was also presented with tooth mobility of maxillary incisors (Grade 2-3) by periodontal disease. The treatment plan included supragingival scaling, closed root planing, subgingival curettage and removable-fixed periodontal splinting of the mandibular (case 1) and maxillary (case 2) incisors to stabilize them. Three months after therapy, or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for evaluation of success of therapy. In both cases, oral malodor, periodontal disease and tooth mobility were resolved and periodontal splints were remained rigidly.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 여성의 경구피임약 복용과 치주질환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Contraceptive Use and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 김기림;노희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569-576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경구피임약 복용과 치주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피임약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2008년과 2009년 결과를 이용하였고, 19-50세 폐경 전 가임여성 1,101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인구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보건행태, 피임약 복용기간 및 치주질환 상태를 파악하여 chi-square 검정과 logistic regression 분석을 통해 경구피임약 복용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인구사회경제적 요인 중 연령과 결혼여부, 흡연상태가 경구피임약 복용과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현재 경구피임약 복용여부와 치은조직 상태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치주질환 유병율은 연령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피임약 복용기간과 흡연, 칫솔질과 치간관리를 포함한 구강보건형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logistic regression 분석 결과, 혼란변수 보정여부에 따라 큰 차이 없이 치주질환은 경구피임약 복용여부 및 복용기간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자의무기록 의료 환경에서 치주 자가설문지의 영상 판독 대체 효용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image inspection Replacement of the Periodontal disease Questionnaire i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Environment)

  • 맹유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07-714
    • /
    • 2017
  • 최근 대표적인 구강질환인 치주질환이 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각종 전신질환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보고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전자의무기록 의료 환경에서 개인뿐만 아니라 인구집단의 치주질환 상태를 효과적이면서 경제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치주검사법인 치주 탐침법은 치과전문가들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조사해야할뿐만 아니라 침습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서 균혈증을 야기 시킬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주질환을 스크리닝 하는 대규모 역학조사에서 한국형 치주 자가설문지의 효용성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전통적 치주질환 검사 방법인 영상 사진 판독 결과와 비교하여 새로운 진단도구로써의 가능성을 찾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만과 치주질환간의 관련성에 관한 융합연구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on Convergence Study)

  • 김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71-7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과 치주질환간의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분석대상자는 4,827명이다. 치주질환은 지역사회치주지수로 평가하였다. 비만은 체질량지수로 측정하였다. 오즈비는 이분형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층화변수는 흡연과 당뇨이며, 성별, 연령, 교육수준을 공변수로 보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비만인 경우에서 치주질환 위험이 1.29배(95% CI=1.11-1.49)로 나타났으며, 비흡연군과 당뇨가 없는군을 동시에 고려한 하위분석에서는 정상에 비해 비만군에서 치주질환 위험이 1.20배(CI=1.02-1.48)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만이 치주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국민의 구강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치주질환 관리하고자 할 때 비만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성인 근로자의 치주질환 유병 관련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mong Adult Workers)

  • 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06-371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근로자의 치주질환 유병 여부와 관련하여 인구학적, 구강 행태적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은 제5기 3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64세 한국 성인 근로자 1650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주조직 유병자에 대해서 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전신질환, 수면시간, 구강건강수준, 씹기 문제 및 저작 불편함이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많은 영향력은 씹기 문제와 저작불편에 문제가 있는 근로자에서 3.5배 이상 치주조직병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 근로자에 있어서 치주질환 유병의 다양한 위험요인이 존재하고 있음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치주질환의 유병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구강검진과 건강검진, 충분한 수면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낮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의 차이와 같은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결을 위한 제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일부 성인의 구강위생관리습관에 따른 치아우식 및 치주병 이환 경험에 관한 연구 (Morbidity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based on oral healthcare of adults in Busan)

  • 차지아;유수빈;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7-35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based on oral healthcare of adults in Busa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preventive oral healthcare for the periodontal diseases and dental cari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369 people from the regular dental health checkup in the general hospital in Busan.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from October 1, 2014 to January 31,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by direct examination and toothbrushing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In the morbidity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the dental caries was most common in those having restored teeth(236 subjects, 64%), while periodontal diseases were found in mild cases of gingival inflammation in 285 subjects(77.2%), and mild cases of dental calculus in 274 subjects(73.4%). Most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did not have systemic disease or oral health related symptoms. According to toothbrushing pattern, dental caries experiences were most common in those having less frequent toothbrushing less than 3 minutes and no tongue brushing. The outbreak of dental caries was more common in 5 times than 3 to 4 times a day. Conclusions: The education of the right toothbrushing method and use of dental floss is the most important prevention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in the adults.

산업체 근로자들의 치주질환 인식 및 치주건강실태 조사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Awareness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among Industrial Workers)

  • 홍민희;김윤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6-22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체 근로자들이 치주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서 치주질환의 인식 및 치주건강상태를 검사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근로자들이 치주질환에 관한 지식을 처음으로 알게 된 경로는 치과병원에서 알게 된 근로자가 36.3%로 가장 많았으며, 근로자들의 치석제거 주기에 관해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치석제거를 6개월에 한 번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연령이 높을수록 1년에 한 번 정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근로자들이 가지고 있는 치주질환 상태를 살펴본 결과, 치주질환으로 이 사이에 음식물이 끼는 근로자가 26.5%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잇몸에서 피가 나는 경우(24.5%)와 치아가 시리고(20.6%), 잇몸이 가끔 붓는 경우(15.9%), 그리고 치아가 흔들리는(4.5%) 순으로 나타났다. 3. 치주질환의 원인에 대해 근로자들은 부적절한 잇솔질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근로자가 48.8%로 가장 많았으며, 치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올바른 잇솔질이 잇몸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인식하는 근로자가 66.8%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