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model

검색결과 1,712건 처리시간 0.026초

PP 산업에 대한 전략집단 개념의 적용 (Applying Strategy Group Concept to Program Providers(PP) Industry)

  • 여현철;김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57-370
    • /
    • 2011
  • 본 논문은 전략집단 이론을 활용하여 PP 사업자의 분석에 대한 현황,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개선방향을 모색했다. 기존 전략집단 개념을 활용한 PP사업자 분석의 한계는 전략집단의 도출이 통계결과에 따라 PP의 채널 특징만을 반영했다. 그렇기 때문에 전략 및 전략집단의 유형을 체계적이고 정교하게 분류하기 어려웠고 일반화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PP의 전략 변수 선정은 기업 및 사업부 수준(분석수준), 자원 및 경쟁범위와 관련된 변수를 사용했다. 향후에는 보다 적절한 절차에 따라 변수를 객관적으로 선정하여 자의성에 대한 논란을 피해야 할 것이다. PP 사업자의 전략집단 연구의 개선방향은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전략 집단 분류 변수를 요인분석하고 몇 개의 요인으로 축약하여 분류기준이 되는 핵심 변수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산업 전문가들로부터 변수를 크로스 체크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셋째, 대리변수를 지양하고 PP 산업 특유의 속성을 반영할 수 있으며 경영자가 인지적 차원에서 지각할 수 있는 전략집단 모델을 연역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넷째, 전략집단의 분류 기준에 이동장벽과 분리기제 개념을 도입하고, 이를 통해 전략집단간 성과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PP 전략집단의 동태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가 시도되어야 한다.

중학생 또래따돌림('왕따')의 예측요인 (Predicting Peer Rejection of Middle-school Students with Ordered Probit Analysis)

  • 이상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357-379
    • /
    • 1999
  • 본 연구는 중학교에서의 또래따돌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서열프로빗 분석을 이용해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특히, 개인, 가족 특성이외의 폭력에의 노출, 교칙의 공정성, 부정적인 또래관계 등 환경적 요인이 또래따돌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또래따돌림의 경험이 따돌림과 같은 또래폭력에 대한 방관적 태도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알아보았다. 조사대상자들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12개 중학교 20개 학급에서 총 714명의 중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서열프로빗 분석은 LIMDEP 7.0을 통해 분석되었고, 기술통계와 변량분석은 윈도용 SPSS 8.0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대상학교의 학생들중 35.8%가 다른 학생들을 따돌려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고, 25.9%의 학생들이 또래따돌림을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로는 또래따돌림 가해경험의 차이가 없었으며, 대신 저학년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었다. 개인적 특성으로는 공격성과 교칙위반행동의 경험이 많을수록, 또래따돌림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하지만, 부모의 양육태도, 결손가족여부, 학업성적, 학업에 대한 태도 등 가족 및 학교생활 요인은 또래따돌림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반면 또래따돌림을 당한 적이 있거나, 주변에서 따돌림이 많이 발생하는 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일수록 또래따돌림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또래따돌림의 문제를 단순히 개인차원의 상담으로 풀어나가기 힘듦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울러 가해자와 피해자가 이분적으로 구분되는 형태가 아니라, 피해경험을 통해 가해경험을 학습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중첩적인 관계에 있음을 발견하였다. 궁극적으로 또래따돌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를 개입단위로 하는 예방프로그램과 전문적 원조체계의 도입이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 PDF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취·창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코로나 19 사회적 이슈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Impacts of Entrepreneu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mployment and Startup Awareness : Mediating Effects of Corona 19 Social Issue)

  • 박철우;강경란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51-6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취·창업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설정하였다. 또한, 지난 몇 개월간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사태를 계기로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이슈가 대학생들의 개인특성과 취·창업 인식 간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높은 대학생들은 경제공황에 버금가는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이슈를 위기로 인식하고 움츠러들기보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에 적응하면서 새로운 취업의 기회나 창업의 기회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택트 사회가 뉴노멀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앙트러프러십과 변혁적 리더십 함양을 통하여 새로운 취·창업 기회의 확보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잠재적 창업가, 잠재적 고용가능성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위기 속에서 기회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탐색'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 만들기 등 앙트러프러너십과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소비자의 감각적 혁신성향과 인지적 혁신성향이 신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이중 경로 (Dual Path Impacts of the Consumer Innovativeness in the New Products Adoption Situation)

  • 김형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87-197
    • /
    • 2011
  •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단일한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던 혁신성향 개념을 인지적 혁신성향과 감각적 혁신성향으로 구분하고 두 유형의 혁신 성향의 정도에 따라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의 민감성이 다름을 보였다. 이러한 지각된 위험의 유형과 수준의 차이는 각각의 혁신 성향이 소비자의 신제품 구매의도에 있어 서로 다른 영향력이 있음을 보여 줌으로써 혁신성향이 소비자의 신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경로가 이중경로임을 제시하였다. 217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과 공변량 구조 분석을 통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한 결과 감각적 혁신성향 보다 인지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사회적 위험보다 기능적 위험을 더 많이 지각하는 반면 감각적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기능적 위험보다는 사회적 위험을 더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제품 구매에 따른 기능적 위험 지각과 사회적 위험 지각이 소비자의 혁신성향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향 개념을 하나의 구성 개념으로 파악하여 신제품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으나 본 연구는 감각적 혁신성향과 인지적 혁신성향으로 소비자의 혁신성향을 구분하고 신제품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각각의 혁신성향이 신제품에 대해 인지하는 지각 위험의 경로를 달리함을 밝혔다.

Q방법론을 활용한 공직선거 광고의 주관적 수용인식 유형 (On the Use of Q Methodology in Research on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Election Campaign Advertising)

  • 양창훈;이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15-126
    • /
    • 2013
  •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공직선거운동의 전광판 광고에 대한 주관적 수용형태의 특성과 함의를 알아보고, 이에 따라 공직선거운동 과정에 있어서 전광판 광고의 효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방법론에서는 간과하기 쉬운 개별 응답자의 주관적 인식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인식유형을 다각적인 방향에서 분석함으로써 향후 실증적 연구를 위한 탐색적 과정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인식은 공직선거의 정치 현상을 쉽게 인식하기 위한 광고기법 개선형, 공직선거에서 유권자들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관심 유발형, 그리고 공직선거를 통해 유권자와 소통하기 위한 진실 유도형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수용인식의 구분을 통해 함의할 수 있는 것은 공직선거 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인식이 단순히 전광판 광고의 홍보적 측면보다는 활용성과 참여성 그리고 광고효과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선거환경 속에서 전광판 광고의 효용성 제고를 위해서는 정당이나 후보자들 뿐만 아니라 수용자들을 포함하여 공직선거 광고의 효과, 선거공약을 활용한 광고기법의 긍정적 활용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보다 더 포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IT 지원이 흡수역량을 통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의 절제 중심으로- (Study on the Impact of IT Suppor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Absorption Capacity: Focusing on Organizational Temperance)

  • 권재현;서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3-81
    • /
    • 2020
  • 본 연구는 통합역량 IT 지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직의 절제와 흡수역량이 매개했을 때의 영향에 대해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실증 분석을 위해 사기업과 공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126명의 설문을 바탕으로 Smart PLS 3.0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결과 첫째, 통합역량 IT 지원은 조직절제의 하위 요인인 조정과 적응력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흡수역량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조직의 절제는 흡수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통합역량 IT 지원과 흡수역량의 관계에서 조직의 절제를 매개로 했을 때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흡수역량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IT 기술과 조직성과 관계에서 조직 윤리 차원의 요인으로 확장하여 상관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고 있다. 또한 흡수역량의 선행 요인으로써 조직의 윤리적 요인도 선행 요인으로서 작용함을 규명함에 따라 연구의 의의가 있다. 통합역량 IT 지원은 경영자에게 균형 있고 안정감 있는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이는 구성원들에게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주어 흡수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 미친다. 흡수역량이 필수적인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IT 인프라 구축과 조직의 미덕 함양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다중빔 음향 탐사시스템(300 kHz)의 후방산란 자료를 이용한 해저면 퇴적상 분류에 관한 연구 (Surficial Sediment Classification using Backscattered Amplitude Imagery of Multibeam Echo Sounder(300 kHz))

  • 박요섭;이신제;서원진;공기수;한혁수;박수철
    • 자원환경지질
    • /
    • 제41권6호
    • /
    • pp.747-761
    • /
    • 2008
  • 다중빔 음향 탐사 시스템의 후방산란 자료를 대상으로 한 해저면 분류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KONGSBERG SIMRAD EM3000(300kHz) 후방산란 신호를 분석하고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구현하였다. 강원도 속초항 부근에서 취득한 음압 자료를 이용하여 모자익 영상을 제작하였다. 원격 분류 결과의 검증을 위해 영상 내에서 이질적인 음압 강도로 나타나는 지역에 대하여 잠수사에 의한 직접적인 표층 퇴적물 채취와 비디오 광학 영상을 취득한 후, 후방산란 음압과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지역의 수심은 5m에서 22.7m까지였으며, 모자이크 영상 내의 후방산란 강도 분포는 -15dB에서 -36dB까지 나타났다. 그리고 표층퇴적물 입도 분석 결과, 평균 입도 크기는 최대 $2.86{\phi}$에서 최대 $0.88{\phi}$까지 나타났다. 시료의 입도 분석 자료와 영상의 강도 변화 사이의 상관성을 비교해 본 결과, R값은 0.56으로 나왔다. 입도 분석 자료와 후방산란 음압 자료와의 상관성을 기반으로 구현한 해저면 자동분류 시스템의 인식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GIS시스템으로 각 대상 자료를 통합하고, 면적비교 기능을 사용하여 평가를 수행하였다. 암반 지역을 사질지역으로, 사질 지역을 암반지역으로 교차 인식하는 오인식율은 약 8.95%로, 평균 입도가 낮은 지역의 인식 면적 차이는 사용자 분류를 기준으로 약 2.06%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평균 입도 변화가 해저면 후방산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지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후방산란 음압을 평가하여 평균 입도 변화를 추적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었으며, 최종 모자이크 영상을 두 개의 퇴적체로 자동 분류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게 되었다.

추천기법별 고객 선호도 및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전자제품과 의류군에 대한 비교연구 (An Analysis of Customer Preferences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and Influencing Factors: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ic Goods and Apparel Products)

  • 박윤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59-77
    • /
    • 2016
  •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는 점차 다양한 추천기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고객 관점에서 이에 대한 사용의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베스트셀러 추천, MD(Merchandiser)추천, 내용기반 추천, 협업필터링 추천, 그리고 지인추천 등의 다섯 가지 추천기법들에 대한 고객의 사용의도를, 전자제품군 구매 시와 의류군 구매 시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어떠한 요소들이 고객의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추천서비스 사용경험이 있는 전자상거래 사용자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추천기법에 따른 고객의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전자제품군 구매 시에는 베스트셀러 추천기법이, 의류군 구매 시에는 내용기반의 추천기법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의 인물특성, 성격요인, 구매성향, 구매하려는 제품에 대한 인식 및 추천서비스에 대한 인식 등이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적인 영향요소들은 추천기법별로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들에게 제품군 및 개인의 성향에 적합한 기법을 채택하여 추천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료기관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Care Facilities)

  • 조우현;김한중;이선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5권1호
    • /
    • pp.53-63
    • /
    • 1992
  •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 and need for information on health care consumer with the significance of hospital marketing and strategic planning being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consumer by the types of medical services on a sample of 1,500 population aged 20 years and abov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When considering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into two factors, namely, quality or convenience factors, convenience factor was the major contributor for outpatient and dental services whereas it was quality factor for inpatient services. 2. Females and those residing in large cities selected medical facilities based on convenience factor in the outpatient services. In the case of inpatient service, persons who considered their present health status to be good and whose ages were 50 years old and above choose medical facilities based on quality factor. 3. Persons who considered medical facilities to be profit-making tended to choose medical facilities based on convenience factor for outpatient servic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ases of inpatient and dental services.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according to the decision maker for selection or trust on medical facilities. On the use of health service information,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was based on quality factor for those who made more use of the information in the cases of outpatient and dental services. 5. Analysis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on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 care consumer as independent variables was performed. The selection of medical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residential area, sex, and use of information on medical facilities for outpatient services and with age, average monthly income, and perception of health status for inpatient services. For dental service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residential area and use of information on medical facilities was s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spite some limitations,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marketing and strategic planning of hospital management.

  • PDF

이주노동자의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effects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level,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laborers on life satisfaction: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 김대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89-100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자의 한국어능력, 사회적지지,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희망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결과, 사회적지지 및 문화적응스트레스는 희망을 통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노동자의 한국어능력은 중간 정도이며, 읽기는 높은 반면에 듣기와 말하기는 낮게 나타났다. 희망의 매개 역할을 통계적으로 검증해본 결과, 희망은 한국어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도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결과로 희망이 생활만족도에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주노동자의 희망에 언어교육뿐만이 아니라 그들에게 가족과 이웃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식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주노동자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공동체 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이와 함께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생활 적응을 위한 효과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제공해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