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tosa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활엽수재(闊葉樹材)의 촉매적(触媒的) 열분해(熱分解) 생성물(生成物)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atalytic Pyrolysis Products of Hardwood)

  • 민두식;이종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5권1호
    • /
    • pp.12-23
    • /
    • 1984
  • 재료(材料)는 충북대학교 구내에서 생육하는 물오리나무, 상수리나무, 아카시아나무, 은수원시시나무재(材)의 톱밥을 이용하고 촉매제(觸媒劑)는 무기염류(無機鹽類)인 연안(憐安), 유안(硫安), 염안(鹽安) 및 요소(尿素)를 농도별(濃度別)로 처리(處理)하여 건류(乾溜)함으로써 얻어지는 유출생성물(溜出生成物)과 건류탄(乾溜炭)의 생성량(生成量)과 건류탄(乾溜炭)의 품질(品質)에 미치는 발열량(發熱量)을 조사(調査)한 시험(試驗)이다. 1) Holocellulose와 pentosan 함유량이 가장 많은 수종은 은수원사시나무재(材)였으며 촉매제(觸媒劑)로 연안처리(憐安處理)를 한 것이 은수원자시나무 재(材)에서 건류(乾溜) 유출액생성량(溜出液生成量)도 많았다. 2) 촉매제(觸媒劑)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건류(乾溜) 액상생성물량(液狀生成物量)은 감소하였으며 무처리재(無處理材)의 것이 가장 많은 유출액생성량(溜出液生成量)을 보여주고 있다. 3) 건류탄(乾溜炭) 생성량(生成量)은 촉매제(觸媒劑)의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Lignin 함유량(含有量)이 많은 수종(樹種)일수록 건류탄생성량(乾溜炭生成量)도 많았다. 4) 촉매제(觸媒劑)의 종류(種類)에 의한 건류탄(乾溜炭)의 발열량(發熱量)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촉매제(觸媒劑)의 농도(農度)가 높은 것일수록 발열량(發熱量)은 감소되었다. 그러나 촉매제(觸媒劑)의 종류별(種類別)로 생성(生成)된 건류탄(乾類炭)의 발열량간(發熱量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 PDF

Fiber Dimensions and Chemical Properties of Various Nonwood Materials and Their Suitability for Paper Production

  • lahan M. Sarwar;Mun Sung Phil;Rashid Mamunur
    • 펄프종이기술
    • /
    • 제36권5호
    • /
    • pp.29-35
    • /
    • 2004
  • Fiber dimensions, their derived values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tton stalks (Gosypium hirsutum L), jute stick (Corchorus capsularis) and dhancha (Sesbania aculeate) have been examined to assess their suitability for paper production. Cotton stalks have a good derived values especially slender ratio, which is comparable to hardwood. The flexibility coefficient of these three non wood plants is better than hardwood. Anatomical analysis shows higher percentage of fibers and vessels than in general non wood plants. Lignin, $\alpha$-cellulose and pentosan contents in these three nonwood plants are within the range of hardwood. Neutral sugar analysis of cotton stalks, jute stick and dhancha shows that the glucose in the major sugar followed by xylose and mannose. The arabinose and galactose are present in minor amount. Alkaline nitrobenzene oxidation of cotton stalks, jute stick and dhancha wood meal exhibits that these nonwood plant lignins mainly consist of syringyl (S) and guaiacyl (V) units. The S/V ratios are 1.6, 1.2 and 2.1 for cotton stalks, jute stick and dhancha, respectively.

Effect of heat treatment of digestion-resistant fraction from soybean on retarding of bile acid transport in vitro

  • Han, Sung-Hee;Lee, Seog-Won;Rhee, Chul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3권2호
    • /
    • pp.149-155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heat effect of digestion-resistant fraction (RF) from soybean on retarding bile acid transport in vitro. The RFs from soybean retarded bile acid transport. A raw, unheated RF of soybean (RRF-SOY) was significantly more effective than the heated RF of soybean (HRF-SOY). The RS1 which physically trapped in milled grains and inaccessible to digestive enzyme after 18 hrs incubation level of content in RRF-SOY was found to be as high as 24.1% and after heating the RS1 of HRF-SOY was significantly reduced to 16.8%.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RF from soybean was altered after heat treatment. The RFs from soybean were characterized by peak at diffraction angles of $12.0^{\circ}$ and $20.0^{\circ}$ corresponding to RS content. Cellulose contents of RRF-SOY was 5% higher than that of HRF-SOY and pentosan contents of RRF-SOY was 5% higher than that of HRF-SOY, too. Whereas the hemicellulose content of RRF-SOY was 13% lower than HRF-SOY.

활성(活性) 알칼리 농도(濃度)가 일본잎갈나무 UKP의 탈(脫)리그닌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active alkali concentration on the delignification of Larch UKP)

  • 원종명;조병묵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권1호
    • /
    • pp.21-27
    • /
    • 1976
  • 본실험(本實驗)은 일본잎갈나무재(材)를 공시원료(供試原料)로 하여 UKP 제조시(製造時) 활성(活性)알칼리 농도(濃度)가 탈(脫)리그닌 및 펌프품질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여 그 최적(最適) 펄프화 조건(條件)을 확립(確立)코자 실시한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 잎갈나무재(材)는 비중(比重)이 0.42, 섬유장(纖維長)이 3.34 mm, 섬유폭(纖維幅)이 0.035mm로서 다른 침엽수류(針葉樹類)와 비슷하였다. 2) 일본잎갈나무는 다른 침엽수(針葉樹)와 달리 holocellulose 및 pentosan의 함량(含量)이 낮고 lignin 함량(含量)이 높아 펄프 수율(收率)을 저하(低下)시키는 결점(缺點)을 갖고 있다. 3) 활성(活性)알칼리 농도(濃度)의 증가(增加)에 따라 lignin 함량(含量)과 펄프 수율(收率)이 감소했다. 4) 활성(活性)알칼리 농도(濃度) 18~21%에서 최고(最高)의 정선수율(精選收率)이 나타났다. 5) 탈(脫)리그닌화(化)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펄프의 명해성(明解性)이 개선되었다. 6) pulp sheet의 백색도(白色度)는 탈(脫)리그닌정도(程度)와 비례관계가 있었다. 7) 일본잎갈나무 UKP의 비파열도(比破裂度) 및 열단장(裂斷長)은 평균수준 이었으나 비인열도(比引裂度)가 매우 높아 중색열지용(中色裂紙用)으로 적합(適合)하였다. 8) 활성(活性)알칼리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공시(供試)펄프의 제반강도(强度)가 개선되었다.

  • PDF

볏짚을 이용한 Glucose Isomerase 생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Straw for Production of Glucose Isomerase)

  • Han, Youn-Woo;W. P. Che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4
    • /
    • 1979
  • 독보리짚을 NaOH로 처리하여 헤미셀로오즈 부분을 추출하여 이것을 Streptomyces flavogriseus에 의한 글루코오스 이성질화효소를 생성하는데 사용하였다. 짚을 1%~24%의 NaOH를 처리함으로써 천연 헤미셀룰로오즈를 농도 25%까지 얻을 수 있었고 헤미셀룰로오즈 수율은 NaOH농도를 4%까지 증가시킬 때까지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가율은 NaOH 농도가 더 증가하면 낮았다. 독보리짚에서 헤미셀룰로오즈를 추출하는 최적조건은 짚을 4% NaOH로 9$0^{\circ}C$에서 3시간 처리하거나 3$0^{\circ}C$에서 24시간 처리하여 균체를 2% 짚-헤디미셀룰로즈에서 3$0^{\circ}C$, 2일간 키웠을 때, 글루코오스 이성질화 효소활성도(3.04 units/ml 배양액)가 최고값에 달하였다. 또한 균체를 xylan, xylose 또는 짚의 황산가수분해물에 키웠을 때 글루코오스 이성질화 효소를 상당한 량을 생성되었다. 헤미셀룰르오즈를 추출해내고 남은 짚 찌꺼기는 동물 사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젖을 갖 뗀 초원 들쥐에 그 찌꺼기를 사료로 주었을 때, 처리하지 않은 짚을 준 경우보다 75%나 더 높은 소화가 능도를 나타내며 사료로서의 효율은 20%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알 수 있었다.

  • PDF

환경친화성양돈사료를 위한 효소제 사용의 최근 경향 (Recent Advances in the Use of Enzymes for Environment-Friendly Swine Diets)

  • Hong Jong-Wok;Kim In-Ho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5-67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을 위한 외인성 효소 즉 Phytase, $\beta$-glucanase, pentosanase는 전 세계적으로 양돈사료에 첨가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효소의 화학적 효과는 이해가 잘 되고 있다. 하지만 돼지에서 이러한 효소들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Phytase는 곡류내 존재하는 피틴태 인의 이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배설되는 분 중 인의 오염도를 낮출 수 있고 사료내 사용하는 무기태 인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리와 귀리에 존재하는 $\beta$-glucanase와 호밀과 밀에 존재하는 용해성 Pentosans과 같은 효소들은 양돈사료에서 찾을 수 있는 항영양소 인자들을 분해하는 효과가 있다. 그래서 비전분과당류들의 소화율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는 현재 효소들의 효율적인 사용, 효과적인 다른 생산품의 개발 그리고 열 안정성 효소들의 개발들을 포함하고 있다.

  • PDF

차전자 메탄올 엑기스의 혈압강하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potensive Action of Methanol Extract of Plantaginis Seed in the Rabbit)

  • 고석태;임동윤
    • 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3-174
    • /
    • 1978
  • 차전자(Plantaginis Semen)은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원야와 노방의 자생하는 다년생 초목으로 Plantaginaceae(질경이과)에 속하는 Plantago major L. var. asiatica Decaisne 질경이의 종자를 말하며 그의 성분으로는 다량의 점액, 지방유, pentosan 및 galactan, succinic acid, plantanolic acid, adenine, choline. K-염등이 알려져 있다. 이 차전자는 한방과 민간에서 소염, 이뇨, 진해, 지사제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그의 약리작용에 관해서는 이미 저자들이 가토를 이용한 실험에서 이의 methanol extract가 자궁수축작용, 호흡흥분작용, 혈압강하작용, 장관수축작용, 심장박동의 완제작용, 항이뇨작용이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그의 기전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저자들은 위의 여러가지 작용중 특히 혈압강하작용에 관한 본태를 파악하여 그의 실용성 여부를 구명코자 이 실험을 착수하였다.

  • PDF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on)재(材)의 화학적(化学的) 조성(組成)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Wood)

  • 문창국;박종열;강위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4
    • /
    • 1980
  • 한국(韓國)의 특산수종(特産樹種) 구상나무재(材)의 화학적(化学的) 조성분(組成分)을 분석조사(分析調査)하여 본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1. 회분함량(灰分含量)의 범위(範囲)는 0.33~0.76%로서 평균(平均) 0.56%였다. 2. 냉수추출물(冷水抽出物)은 5.50~12.50% 범위(範囲)의 함량치(含量値)를 보였는데 평균(平均) 8.76%였다. 3. 열수추출물(熱水抽出物)은 4.80~13.65%로서 평균(平均) 10.16%의 함량치(含量値)를 보였다. 4. 염기추출물(塩基抽出物)은 최소(最少) 5.51%에서 최고(最高) 25.44%의 함량치(含量値)를 보였는데 평균(平均) 4.23%였다. 5. Alcohol-Benzol 추출물(抽出物)은 2.94~5.44%로서 평균(平均) 4.23%였다. 6. Holocellulose 함량(含量)은 73.68%에서 79.10%의 정량치(定量値)를 보였는데 평균(平均) 76.49%였다. 7. Cellulose 함량치(含量値)는 평균(平均) 56.30%로서 46.02~61.33%의 범위(範囲)였고 이중(中) ${\alpha}$-Cellulose가 78.34%, ${\beta}$-Cellulose가 7.66%, ${\gamma}$-Cellulose가 14.04%였다. 8. Klason lignin의 함량치(含量値)는 평균(平均) 25.30%로서 22.50~27.00% 의 범위(範囲)였다. 9. Pentosan 함량(含量)은 7.90~13.66%의 정량치(定量値)를 보였는데 평균(平均) 10.44%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회분함량(灰分含量)과 각추출물(各抽出物)의 함량(含量)은 대체(大体)로 타쇠업수재(他釙業樹材)와 비슷하였고 Holl cellulose 함량(含量)은 76.49%로서 잣나무재(材)에서 보다 정량치(定量値)가 높고 소나무재(材)와는 비슷하였으며 특(特)히 Cellulose 함량 56.30% 중(中) 78.34%의 높은 ${\alpha}$-Cellulose 함량율(含量率)을 보여 우수(優秀)한 Pulp화학(化學) 공업재료(工業材料)인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양송이 재배(栽培)에 따른 재배상퇴비(栽培床堆肥)의 성분변화(成分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al Change of Composts During Mushroom Cultivation)

  • 남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8권4호
    • /
    • pp.203-218
    • /
    • 1975
  • 양송이 재배중(栽培中) 재배상(栽培床) 퇴비(堆肥)의 성분변화(成分變化)를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양송이의 대규모(大規模) 생산(生産) 조건하(條件下)에서 퇴비입상후(堆肥入床後) 수확(收穫)이 끝나는 폐상시기(廢床時期)까지의 재배상퇴비(栽培床堆肥) 및 양송이 자실체(子實體)의 여러가지 성분(成分)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으며 재배상(栽培床) 퇴비(堆肥)의 숙성기작(熟成機作)을 제시(提示)하였다. 1) 재배상(栽培床) 및 배양실(培養室)의 온도변화(溫度變化)와 양송이의 수량(收量)을 주기별(週期別)로 조사(調査)하였고 전체수량(全體收量)은 $15.6kg/m^2$이었다. 2) 입상직후(入床直後)의 퇴비(堆肥)는 pH8.2이었으나 복토시기(覆土時期)부터 pH 6.4로 떨어져 폐상시(廢床時)까지 유지(維持)되었다. 3) 재배상(栽培床) 퇴비(堆肥)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을 고형물(固形物) 기준(基準)으로 볼 때 회분(灰分)은 증가(增加)하였으나 전실소(全實素), 에텔 추출물(抽出物), 조섬유(粗纖維)는 계속으로 감소하였으며 결국 유기물(有機物)의 감소하였으며 결국 유기물(有機物)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4) 재배상(栽培床) 퇴비(堆肥)의 전실소(全實素)는 계속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부용성(不溶性) 실소(室素)의 감소량(減少量)이 수용성(水溶性) 실소(實素)보다 더 컸고, C/N율(率)은 최초(最初) 21이던것이 16으로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5) 재배상(栽培床) 퇴비(堆肥)의 탄수화물(炭水化物)중 ${\alpha}-cellulose$, pentosan, lignin은 각각 87%, 75%, 60%씩 소실되었으며 특히 ${\alpha}-cellulose$는 복토직후(覆土直後)에 크게 감소(減少)하였다. 6) 재배상(栽培床) 퇴비(堆肥)의 유리환원당(遊離還元糖)은 계속적으로 증가(增加)하였고,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을 수확초기(收穫初期)까지 증가(增加)하다가 폐상시(廢床時)에는 다시 감소하였다. 입상시(入床時)의 퇴비(堆肥)에는 alanine, glutamic acid, glycine, serine이 검출(檢出)되었으나 양송이 재배(栽培)에 따라 glycine은 크게 감소하는 반면(反面) proline이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7) 재배상퇴비(栽培床堆肥)의 무기원소(無機元素) 중 P, Zn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고, Cu은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있으며 K, Na은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8) 수확주기(收穫週期)가 다른 양송이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무기성분(無機成分), 유리환원당(遊離還元糖) 및 아미노산(酸)을 분석(分析)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조지방(粗脂肪), 환원당(還元糖), Na함량(含量)은 초기수확(初期收穫)의 것에서, 아미노산(酸) P은 후기수확(後期收穫)의 것에서 약간 높았다. 양송이중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으로는 alanine, serine, threonine glutamic acid를 위시(爲始)하여 12종(種)이 검출(檢出)되었다. 9) 본실험(本實驗)으로 재배상(栽培床) 퇴비(堆肥)의 숙성(熟成) 과정은 중온균(中溫菌)에 의한 암모니아의 생성(生成)과 탄수물화(炭水物化)의 분해에 이어 고온균(高溫菌)에 의한 단백질합성(蛋白質合成), 균경형성(菌經形成) 그리고 다실소(多室素) lignin 부식복합기(腐植複合畿)를 형성(形成)하고 이들 성분(成分)이 잔류(殘留)하는 탄수화물(炭水化物)과 함께 양송이의 영양원(營養源)을 이루게 되는 숙성기작(熟成機作)을 뒷받침 할 수 있었다.

  • PDF

담자균(擔子菌)을 이용(利用)한 발효(醱酵) 사료(飼料)에 관한 연구(硏究) (Conversion of Fermented Feed by Basidiomycetes)

  • 홍재식;김중만;정진철;이태규;김동한;김명곤;이극로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57-168
    • /
    • 1985
  • 담자균(擔子菌)을 이용한 발효사료(醱酵飼料)를 제조(製造)할 목적(目的)으로 분리(分離)한 균주(菌株)의 균생육(菌生育) 속도(速度)와 섬유소분해능(纖維素分解能)((여과지(濾過紙) 붕괴법(崩壞法)과 CMC 액화법(液化法))을 비교(比較)하여 1차 5균주(菌株)를 선별(選別)하였고 1차 선별(選別)된 균주(菌株)를 볏짚배지(培地)에서 생육(生育) 속도(速度)와 CMCase, xylanase, protease 활성(活性)을 비교(比較)하여 Lyophyllum decastes를 선정(選定)하였다. Lyophyllum decastes의 균생육(菌生育)과 효소생산(酵素生産)을 위한 배양(培養) 최적(最適) 조건(條件)은 $25{\sim}30^{\circ}C,\;pH\;6.0{\sim}7.0$, 수분(水分) $70{\sim}75\;%$ 범위였으며 효소생산(酵素生産)은 15일 배양시(培養時) 좋았다. 부원료(副原料)로 미곡(米穀) $30{\sim}40\;%$, 들깨묵 $10{\sim}20\;%$의 첨가(添加)로 효소생산(酵素生産)은 증가(增加)되나 균생육(菌生育)은 늦었으며 무기염(無機鹽)으로 $0.36{\sim}0.72\;%$$(NH_4)_2HPO_4$ 첨가(添加)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볏짚을 40 mesh 이하로 분비(粉碑)하거나 $0.5\;kg/cm^2$의 증기압(蒸氣壓)으로 처리(處理)하면 균생육(菌生育)은 조금 늦으나 효소생산(酵素生産)에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알칼리 처리중(處理中) $Ca(OH)_2$ 처리(處理)가 균생육(菌生育)이나 효소생산(酵素生産)에 좋았고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면 균생육(菌生育)이나 효소생산(酵素生産)은 낮았다. 볏짚발효시(醱酵時) 발효(醱酵)가 진행됨에 따라 회분(灰分), 환원당(還元糖), 총실소(總室素)는 증가(增加)하였고 섬유소(纖維素), lignin, pentosan은 감소(減少)하였다. 알칼리 처리시(處理時) 회분(灰分), 총실소(總室素), lignin은 감소(減少)하였고 환원당(還元糖)과 섬유소(纖維素)는 증가(增加)하였으며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할수록 변화(變化)는 심하였다. 발효(醱酵)가 진행됨에 따라 in vitro dry matter 소화율(消化率)은 증가(增加)하여 발효초기(醱酵初期) 55.03 %에서 45일 발효후(醱酵後)는 62.72 %로 증가(增加)하였다. 알칼리 처리시(處理時)는 KOH, NaOH의 처리(處理)가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NaOH의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면 소화율(消化率)은 증가(增加)하였고 알칼리 전처리(前處理) 볏짚의 발효사료(醱酵飼料) 제조시(製造時)도 소화율(消化率)의 향상을 가져 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