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ntachlorophenol(PCP)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Pentachlorophenol impact assessment of haematological parameter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Jee, Jung-Hoon;Min, Eun-Young;Park, Hee-Ju;Lee, Ok-Hyun;Keum, Yoo-Hwa;Kim, Su-Mi;Woo, Sung-Ho;Park, Soo-Il;Kang, Ju-Chan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89
    • /
    • 2005
  • The toxic effects of pentachlorophenol (PCP) on haematological parameter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fter chronic exposure to dietary PCP (0.1, 0.5 and 1.0 mg/kg diet) for 2, 4 and 6 weeks were studi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otal RBC count, haemoglobin concentration and hematocrit value was noted in fish exposed to PCP compared to the non-exposed fish. The PCP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concentration of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and significantly higher serum chloride, magnesium and total bilirubin levels compared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However, PCP had no major effects on serum glucose, total cholesterol, phosphate and calcium ions in flounder.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CP have induced adverse haematological impacts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ecause we found damages in blood-forming function and disruption in blood homeostasis due to chronic exposure to PCP, it is needed to develop further experimental studies for the risk assessment of this environmental pollutant.

콩과 벼 현탁배양시(懸濁培養時) PCP 수용성대사물(水溶性代謝物)의 동정(同定);2. PCP glucose conjugates의 분리(分離) 및 분석(分析) (Identification of Water Soluble Metabolites of Pentachlorophenol(PCP)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Soybean and Rice Cells;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CP glucose conjugates)

  • 김필제;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5
    • /
    • 1996
  • 수도재배환경(水稻栽培環境) 및 현탁배양세포(懸濁培養細胞) 조건에서 생성된 PCP의 수용성대사물(水溶性代謝物)을 확인에 필요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 이를 여러 chromatography로 충분히 정제한 다음 이것의 aglycons과 glycon(전보(前報)에서 ${\beta}-glucose$ conjugates인 것으로 추정)을 GC/MS로 분석, 동정하였다. Glycon, 즉 대사물의 polar부위(endocon)가 glucose임을 확인하므로써 전보에서 효소특이성을 통해 추론한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conjugates의 source에 따라 다르기는 하였지만 배양세포에서의 aglycon(exocon)s는 주로 PCP, tetrachlorophenol이성체 및 tetra chlorocatechol을, 그리고 수도재배환경에서는 이 외에도 2,4,5- 및 2,4,6-trichlorophenol을 각각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PCP glucose conjugates의 구조는 PCP뿐만 아니라 이것의 대사물인 Polychlorinated phenols가 개별적으로 glucose와 ${\beta}-anomeric$ conjugation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사초기에 이미 여러 종류의 aglycon이 생성되는 것으로 보아 PCP자체도 빠르게 PCPs로 전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Pentachlorophenol을 분해하는 세균의 분리와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entachlorophenol-degrading Bacteria)

  • 박영두;음진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1-265
    • /
    • 2000
  • 공해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Pentachlorophenol(PCP)와 2,4-dichlorophenoxyacetate(2,4-D)와 같은 난분해성의 염소계 방향족 화합물들을 폭 넓고 빨리 분해할 수 있는 우수 균주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대전, 청주, 전주 근교 지역에서 채취한 토양 표품으로부터 100균주의 세균을 분리하였다. 그 중 PCP를 단일 탄소와 에너지원으로 하는 고체 최소 배지에서 잘 자라는 균주 19균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를 동정한 결과 Pseudomonas속이 15균주, Acinetobacter속이 1균주, 3균주는 미동정되어 Pseudomonas속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분해능이 비교적 좋은 것으로 알려진 Alcaligenes의 세균은 발견되지 않았다. Pseudomonas속으로 밝혀진 MU135, MU139, MU163과 MU184 네가지 염소계 화합물들(PCP, 2,4,-D, MCPA 그리고 3CB)을 모두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Pseudomonas sp. MU139 균주가 접종 72시간 후에 가장 높은 분해도를 나타내었고, Pseudomonas sp. Mu147, MU177, MU184 그리고 MU192는 그 다음으로 높은 분해도를 나타냈다. 실험결과 선별된 19 균주 중 Pseudomonas sp. Mu139와 Pseudomonas sp. MU184는 염소계 방향족 화합물에 대한 넓은 분해능을 갖고 있으며, 특히 PCP에 대한 높은 분해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어 우수 균주 개발의 좋은 재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 of Nutrient Nitrogen on the Degradation of Pentachlorophenol by White Rot Fungus, Phanerochaete chrysosporium

  • Chung, Nam-Hyun;Kang, Gu-Young;Kim, Gyu-Hyeok;Lee, Il-Seok;Bang, Won-G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704-708
    • /
    • 2001
  • The effect of nutrient nitrogen on the degradation of pentachlorophenol (PCP) by Phanerochaete chrysosporium in a liquid culture was investigated. PCP disappeared at almost the same rate in both nutrient nitrogen-sufficient (NS) and -limited (NL) sttionary cultures. However, more pentachloroanisole (PCA) was accumulated in the NS culture than in the NL culture. The effect of nitrogen on the degradation of PCA was also tested in both cultures. PCA disappeared faster in the NL culture than in the NS culture, indicating that the lower accumulation of PCA during the degradation of PCP in the NL culture was due to the faster degradation of PCA in the NL culture than in the NS culture. In another experiment, PCA was added to shaking cultures rather than stationary cultures to search for any other metabolite(s). While no other metabolite but PCA was found in the NS stationary culture, 2,4,5,6-tetrachloro-2,5-cyclohexadiene-1,4-dione(TCHD) was found as the only indentifiable product in the NL shaking culture. Thus, PCP would appear to be metabolized to TCHD via PCa or directly oxidized to TCHD by lignin peroxidase. Since all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no innocuous metabolite was formed during the degradation of PCP by the fungus, it is quite feasible to use the fungus in the biotreatment of PCP.

  • PDF

대두(大豆) 및 벼 현탁배양(懸濁培養) 중 PCP 수용성대사물(水溶性代謝物)의 동정(同定);1. PCP glucose conjugates의 형성 (Identification of Water Soluble Metabolites of Pentachlorophenol ( PCP ) in the Suspension Cultures of Soybean and Rice Cells;1. Metabolic Conversion of PCP to Glucose conjugates)

  • 김필제;박창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5-223
    • /
    • 1992
  • Pentachlorophenol(PCP)가 대두(大豆) 및 벼 현탁배양(縣濁培養)과 과 수도체 중에서 수용성성분(水溶性成分)으로 전환(轉換)되는 것을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현탁배양에서 처리한 PCP의 50%가 수용성 대사물로의 전환되는 시간은 대두의 경우 4시간, 벼는 48시간 이내였다. 수용성 대사물의 생성속도와 양은 PCP의 cell 생육 저해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2. 식물 cell에서 PCP의 주(主) 대사과정(代謝過程)은 생육시기(生育時期) 및 약제(藥劑) 처리시간(處理時間)을 달리한 전환시험에서 얻은 수용성 대사물 및 glucose cunjugates 함량변화 조사와 conjugates가 가수분해 되는 성질로부터 glucose conjugates(${\beta}$-anomers)형성 반응(反應)임을 알 수 있었다. 3. Cell에서 glucose conjugates는 약제처리(藥劑處理) 초기 및 대수성장기 이전에 생성 속도가 매우 빨라 전체 수용성 대사물의 70% 이상이었으며, 점차 비가수분해성 극성성분(極性成分)으로 전환되었고, 일부는 배양액(培養液)으로 분필(分泌)되었다.

  • PDF

전자빔 공정에서 $H_2O_2$$Fe^{3+}-EDTA$의 첨가가 수산화라디칼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ydroxyl Radical Generation by Means of the Addition of $H_2O_2$ and $Fe^{3+}-EDTA$ in the Electron-beam Process)

  • 권범근;권중근;김종오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0호
    • /
    • pp.69-7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자빔공정(Electron beam process, E-beam)에서 생성되는 수산화라디칼의 생성특성을 조사하였고, 이 공정에 첨가제로 과산화수소와 $Fe^{3+}-EDTA$을 이용한 펜타클로로페놀(Pentachlorophenol, PCP)의 분해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수산화라디칼의 측정은 벤조산(Benzoic Acid, BA)에 의한 hydroxylation으로 생성된 hydroxybenzoic acid(OHBA)의 농도를 정량화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실제 측정된 수산화라디칼의 농도는 예측된 수산화라디칼에 비해 낮은 농도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아마도 E-beam 에너지의 조사와 동시에 형성되는 다양한 반응성 화학종이 수산화라디칼을 스케빈져(scavening)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1mM 이하의 과산화수소 주입은 PCP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으나 그 이상의 과산화수소의 주입은 오히려 PCP의 분해를 감소시키거나 PCP의 부산물인 염소이온과 Carbon yield(%)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반면에, $20{\mu}M$$Fe^{3+}-EDTA$ 첨가는 효과적으로 PCP를 제거하였고, 이에 따른 G-value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OHBA의 형성과 PCP의 분해를 고려하여 보면, 결과적으로 E-beam공정에 가하는 $Fe^{3+}-EDTA$의 첨가는 상대적으로 낮은 세기에서도 효과적으로 PCP를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Green Fluorescent Protein as a Marker for Monitoring a Pentachlorophenol Degrader Sphingomonas chlorophenolica ATCC39723

  • Oh, Eun-Taex;So, Jae-Seong;Kim, Byung-Hyuk;Kim, Jong-Sul;Koh, Sung-Cheol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3호
    • /
    • pp.243-247
    • /
    • 2004
  • Sphingomonas chlorophenolica ATCC39723 was successfully labeled with the gfp (green fluorescent protein) gene inserted into the pcpB gene by homologous recombination. As the gfp recombinant was easily distinguished from other indigenous organisms, the population of gfp recombinant was monitored after being released into the soil microcosms. Their population density dropped from 10$\^$8/ to 10$\^$6/ (cfu/$m\ell$) in the non-sterilized soil microcosms during the first 6 days. Moreover, the gfp recombinant was not detected even at lower dilution rates after a certain time period. The recombinant, however, survived for at least 28 days in the sterilized soil microcosms. Although the gfp recombinant did not degrade pentachlorophenol (PCP), this experiment showed the possibility of using gfp as a monitoring reporter system for S. chlorophenolica ATCC39723 and potentially other species of Sphingomonas.

SBR 처리 장치에서 활성 슬럿지의 대사에 미치는 Pentachlorophenol의 독성 효과 (Metabolic Responses of Activated Sludge to Pentachlorophenol in a SBR System)

  • 김성재;엘. 디. 베네필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323-338
    • /
    • 1993
  • 이 연구의 목적은 Sequencing Batch Reactor(SBR)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pentachlorophenol (PCP)를 함유한 폐수를 처리할 때 활성 슬럿지의 대사 작용에 미치는 PCP의 독성 효과를 시험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SBR 처리 장치는 두 가지 운전 주기 1, 2 (8시간과 12시간)와 각각의 운전 주기에 대한 두 가지 운전 조건 (I, II)으로 운전되었다. 운전 조건 I은 유입 폐수를 일시에 (5분 안에) 반응조에 부가하고 2시간 동안 폭기없이 교반만 하는 것이고, 운전 조건 II는 운전 조건 I과 똑같은 조건에서 유입 폐수를 2시간 동안 서서히 반응조에 부가하는 것이다. 각 반응조의 슬럿지 일령은 15일이었다. 합성 폐수가 유입 폐수고서 사용되었고, 그것의 COD는 대략 380mg/L이었다. 각 반응조에 대하여 기본 운전이 끝난 후 0.1, 1.0, 5.0mg/L의 PCP가 틀어 있는 유입 폐수를 사용하여 8시간과 12시간 운전 주기의 정상 상태 운전이 실시되었다. 사용된 유입 폐수의 PCP 농도에서 COD 제거는 저해를 받지 않았다 5.0mg/L의 유입 폐수 PCP 농도와 운전 주기 2의 처리 장치에서, MLVSS 농도는 감소하였고 미생물의 선택성이 증가하므로 생태 반응의 영역이 줄어들었다. 또한 SOUR이 증가하므로 활성 슬럿지가 PCP에 의하여 저해를 받았음을 보여주었고, 활성 슬럿지의 침전이 좋지 않았다. 운전 주기 2의 처리 장치에서 질산화는 사용된 유입 폐수의 PCP 농도에서 어느 정도까지 일어났으나 운전 주기 1의 처리 장치에서는 질산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그래서 질산화가 일어나는 시기는 PCP의 저해 작용으로 인하여 COD의 제거가 늦어지는 만큼 지체될 것이다. 생물학적인 인 제거는 운전 주기 I, 운전 조건 I 그리고 저농도의 PCP에서 운전되는 처리 장치에서 일어났으나 그 과정은 불안정하였고 쉽게 정지되었다. 그러나 운전 주기 2, 운전 조건 I과 II에서 운전되는 처리 장치에서 생물학적인 인제거는 유입 폐수의 PCP 농도가 1.0mg/L로 증가할 때까지 안정하게 일어났다. 유입 폐수의 PCP 농도가 5.0mg/L로 증가했을 때 생물학적인 인 제거 능력은 정지되었고 쉽게 회복되지 않았다.

  • PDF

Historical Long-term Exposure to Pentachlorophenol Causing Risk of Cancer - A Community Study

  • Zheng, Rui-Zhi;Zhang, Qing-He;He, Yi-Xin;Zhang, Qian;Yang, Lin-Shen;Zhang, Zhi-Hua;Zhang, Xiu-Jun;Hu, Jing-Ting;Huang, F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2호
    • /
    • pp.811-816
    • /
    • 2013
  • Background: Pervious studies suggested occupational workers exposure to pentachlorophenol (PCP) might contribute to increased risk of cancer.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associations between PCP and cancer risk at the community level. Objective: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cancer risk for the community population living long-term in a PCP contaminated area. Methods: All the cancer cases diagnosed in 2009-2011 in Tongling City were collected. The cancer patients' residencies were geo-referenced in each district. The historical PCP usage for each district of Tongling was calculated as the PCP pollution index, which was further used to divide into PCP exposure categories. Standardized rate ratios (SRRs) of cancer incidence were applied to detect the cancer risk as exposure grade elevate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CP pollution and cancer incidence. Results: A total of 5,288 cancer cases (3,451 male and 1,837 female) were identified. PCP usage was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leukemia (r=0.88, P=0.002) for males, and with cancer of the esophagus for males (r=0.83, P=0.008) and females (r=0.71, P=0.020). Compared with the low exposure category, significant SRRs for total cancer sites was obtained for high PCP exposure category (SRR=1.61, 95%CI=1.59-1.62). Most SRR values of the cancer sit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exposure grade elevated and exposure time extended.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community residents living in the PCP contaminated area had increased risk of cancers. Leukemias, lymphomas and nasopharyngeal and esophageal cancers are most possibly associated with PCP exposure.

섬유제품 함유 PCP 분석 및 근원 규명 (Analysis of PCP in Textile Products and Elucidation of its Source in Textile-Producing Chains)

  • 최은경;박경수;조영달;정진갑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83-286
    • /
    • 2003
  • PCP(pentachlorophenol)는 독일 법규 혹은 에코라벨 부여기준 시 고려되는 항목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규정되어 섬유제품 내에 0.5 ppm 이상 존재해서는 안 되며 특히, 유아복은 0.05 ppm 이하로 검출되어야 한다. 유럽 수출시 PCP의 검출로 인해 수출 장벽이 되었던 한 원단제품의 경우를 보면, 외국 시험기관에서 positive 혹은 negative의 판정만을 알려주므로, 원단을 생산한 염색공장이나 원단을 구매하여 수출한 바이어 모두 해결책을 찾기에 애로사항이 있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중략)

  • PDF